• Title/Summary/Keyword: 유연한 형상

Search Result 16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s for Application of MDMS (Message Definition and Management System) (메시지 정의 및 관리시스템(MDMS) 적용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Ryu, J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888-890
    • /
    • 2015
  • 많은 개발자가 참여하는 대형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는 컴포넌트 간 인터페이스의 효과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MDMS는 컴포넌트간의 인터페이스 정의 및 변경 이력 관리, 인터페이스 기술서 자동 생성, 소스 코드 자동 생성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도구이다. 한화탈레스는 1998년 MDMS를 처음 개발하여 적용한 이후 다양한 국방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에 적용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 향상에 효과를 보았다. 하지만, MDMS를 다양한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최초 개발시 고려하지 못했던 여러 문제점 및 한계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및 한계는 다양한 프로젝트의 특성 지원 미흡, 형상관리 및 유지보수 문제, 프로젝트 간 메시지 재사용 미지원, 취약한 보안 등 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네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 다양한 프로젝트에 적용이 가능한 유연한 SW 구조로 개선해야 한다. 두 번째, 통일되고 일관된 형상관리와 함께 전담 개발 및 유지보수 조직이 필요하다. 세 번째, 프로젝트간 메시지의 재사용 지원을 위한 방안으로 프로젝트 별 MDMS 운용이 아닌 통합된 MDMS의 운용이 필요하며, 그를 통하여 다른 프로젝트의 인터페이스 정의를 상호 참조할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외부 협력업체와의 협업을 위한 보안 대책을 수립하고, 관련 보안 기능을 지원하여 사외의 협력업체의 개발자가 직접 MDMS에 접속하여 개발할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Fiber Finite Element Mixed Method for Nonlinear Analysis of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강-콘크리트 합성구조물의 비선형해석을 위한 화이버 유한요소 혼합법)

  • Park, Jung-Woong;Kim, Seung-Eoc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6A
    • /
    • pp.789-798
    • /
    • 2008
  • The stiffness method provides a framework to calculate the structural deformations directly from solving the equilibrium state. However, to use the displacement shape functions leads to approximate estimation of stiffness matrix and resisting forces, and accordingly results in a low accuracy. The conventional flexibility method uses the relation between sectional forces and nodal forces in which the equilibrium is always satisfied over all sections along the element. However, the determination of the element resisting forces is not so straightforward. In this study, a new fiber finite element mixed method has been developed for nonlinear anaysis of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in the context of a standard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The proposed method applies the Newton method based on the load control and uses the incremental secant stiffness method which is computationally efficient and stable. Also, the method is employed to analyze the steel-concrete composite structures,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ABAQUS. The comparison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consistently well predicts the nonlinear behavior of the composite structures, and gives good efficiency.

Fatigue Safe Life Analysis of Helicopter Bearingless Rotor Hub Composite Flexbeam (헬리콥터 무베어링 로터 허브 복합재 유연보 피로 안전수명 해석)

  • Kim, Taejoo;Kee, Youngjoong;Kim, Deog-Kwan;Kim,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1 no.7
    • /
    • pp.561-568
    • /
    • 2013
  • After we designed Bearingless rotor hub system for 7,000lb class helicopter, flexbeam fatigue analysis was conducted for validation of requirement life time 8,000 hours. sectional structural analysis method applying elastic beam model was used. Fatigue analysis for two sections of flexbeam which were expected to weak to fatigue damage from result of static analysis was conducted. Extension, bending and torsion stiffness of flexbeam section shape was calculated using VABS for structure analysis. S-N curve of two composite material which composed flexbeam was generated using wohler equation. Load analysis of bearingless rotor system was conducted using CAMRAD II and load analysis result was applied HELIX/FELIX standard load spectrum to generate bearingless rotor system load spectrum which was used flexbeam fatigue safe life analysis.

폴리이미드 필름의 초발수화를 통한 금속배선화 공정 개발

  • Na, Jong-Ju;Lee, Geon-Hwan;Choe, Du-Seon;Kim, Wan-Du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2-12.2
    • /
    • 2009
  •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요성과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정보기기로써 유연한 기판을 사용한 소자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산업에 응용되기 위해서는 저비용, 고생산 공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인쇄전자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금속배선은 모든 소자의 기본이면서 낮은 저항과 높은 신뢰성을 동시에 요구하고 있어 인쇄전자 기술이 해결해야 할 가장 어려운 난제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낮은 저항과 높은 신뢰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금속배선 공정으로서 폴리이미드 필름을 초발수 처리한 후 친수 패턴을 하여 전도성 잉크에 함침함으로서 친수 패턴을 따라 금속배선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폴리이미드 필름의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표면에 나노돌기를 형성시키고 불소기를 함유한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물에 대한 접촉각이 $150^{\circ}$이상이 되도록 초발수 처리할 수 있었다. 초발수 처리된 폴리이미드 기판에 쉐도우 마스크를 사용하여 UV조사함으로써 조사된 부분만 친수성을 가지는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친수 패턴이 제작된 초발수 폴리이미드 유연기판을 실버잉크에 함침함으로써 선폭 $200{\mu}m$를 가지는 금속배선을 형성시켰다. 형성된 금속배선의 단면 형상을 측정하였으며, 열처리를 통하여 비저항이 $30{\mu}{\Omega}$-cm를 얻을 수 있었다. 통상 1회의 함침으로는 금속배선의 두께가 150nm정도로 금속배선으로 사용하기에는 얇아 배선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수 회 함침을 시도하여 $2{\mu}m$의 두께로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이때 선폭과 선간 간격은 크게 변하지 않고 두께만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이는 금속배선을 형성한 후에도 폴리이미드 유연기판의 초발수성은 그대로 유지되어 여러번 함침할 때 잉크가 이미 형성된 배선에만 묻게 되어 두께는 증가하나 선폭과 선간 간격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사용한 실버잉크는 실버의 함량은 10~20wt%인 수계 잉크였다.

  • PDF

Effect of the Leading Edge and Vein Elasticity on Aerodynamic Performance of Flapping-Wing Micro Air Vehicles (날갯짓 초소형 비행체의 앞전 및 시맥 탄성이 공력 성능에 미치는 영향)

  • Yoon, Sang-Hoon;Cho, Haeseong;Shin, Sang-Joon;Huh, Seokhaeng;Koo, Jeehoon;Ryu, Jaekwan;Kim, Chong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9 no.3
    • /
    • pp.185-195
    • /
    • 2021
  • The flapping-wing micro air vehicle (FW-MAV) in this study utilizes the cambered wings made of quite flexible material. Similar to the flying creatures, the present cambered wing uses three different materials at its leading edge, vein, and membrane. And it is constrained in various conditions. Since passive rotation uses the flexible nature of the wing, it is important to select an appropriate material for a wing. A three-dimensional fluid-structure interaction solver is developed for a realistic modeling of the cambered wing. Then a parametric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aerodynamic performance in terms of the elastic modulus of leading edge and vein. Consequently, the elastic modulus plays a key role in enhancing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FW-MAVs.

Structural Design of Domed Roof (광명 경륜 경기장 돔 구조설계)

  • Kim, Jong-Soo;Kim, Dong-Hwan;Park, Hyung-Suk;Kim, Yong-Nam;Shin, Chang-H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5a
    • /
    • pp.255-263
    • /
    • 2004
  • 광명시 경륜 경기장은 국민 체육진흥공단에서 턴키(Turn key)공사로 발주하였고, CS구조+공간건축+대우건설, 삼성건설, 태영건설의 제출안이 당선되어 현재 시공중에 있다. 경기장의 저층부는 PC로 설계되었고, 지붕은 철골 트러스를 사용한 Dome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돔 지붕의 개념은 지붕에 물을 부었을 때 가장 흘러가기 쉬운 방향으로 트러스를 배치하여 유연한 힘의 흐름을 유도하는 것이다. 143.6m(폭)${\times}$183.5m(길이)${\times}$21m(높이)의 지붕엔 지붕의 개념인 Flow Truss를 물이 흐르는 방향의 방사형으로 배치하고, 내부에 압축링(Compression Ring Truss)과 외부에 인장링(Tension Ring Truss)를 설치하여 힘의 흐름을 단순화시켰고, 실내에서 보기에 플로우 트러스의 간격을 넓게 유지함으로써 개방감을 극대화시켰다. 또한 Flow Truss는 동일한 곡률과 길이로 설계하여 표준화시킴으로써 시공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토록 하였다. 현재 저층부 시공은 거의 완료된 상황이고, 곧 지붕을 설치할 예정이다. 본 고에서는 돔 지붕의 형성 개념과 설계 과정을 살펴보고, 접합상세 등의 해결에 대해 살펴보겠다.

  • PDF

STUDY OF RELIABILITY BASED FLEXIBLE WING SHAPE DESIGN OPTIMIZATION (신뢰성을 고려한 유연 날개 형상 최적 설계에 대한 연구)

  • Kim S.W.;Kwon J.H.
    • Journal of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 /
    • v.11 no.1 s.32
    • /
    • pp.21-28
    • /
    • 2006
  • Reliability Based Design Optimization(RBDO) is one of the optimization methods that minimize the product failure due to small changes of operating conditions or process errors. It searches the optimum that satisfies the safety margin of each constraint, and it gives stable and reliable designs. However, RBDO requires many times oj computational effort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eterministic optimization(DO) to evaluate the probability of failure about each constraint, therefore it is hard to apply directly to large-scaled problems such as a flexible wing shape design optimization. For the efficient reliability analysis, the approximate reliability analysis method with the two-point approximation(TPA) is proposed In this study, the lift-to-drag ratio maximization designs are performed with 3-dimensional Navier-Stokes analysis and NASTRAN structural analysis, and the optimization results about the deterministic, FORM and SORM are compared.

Elastic Boom Modeling of a Floating Crane based on Finite Element Formulation (유한 요소 정식화를 이용한 해상 크레인 붐(boom)의 탄성체 모델링)

  • Park, Kwang-Phil;Cha, Ju-Hwan;Lee, Kyu-Yeul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92-19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해상 크레인과 중량물의 동적 거동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유한 요소 정식화(finite element formulation)를 이용하여 해상 크레인의 붐(boom)을 탄성체로 모델링 하였다. 붐은 3차원 탄성 빔(beam) 요소로 가정하고, 각 요소의 변형에 의한 변위는 형상 함수(shape function)과 절점 좌표(nodal coordinate)를 이용하여 정의하였다. 변형 변위를 이용하여 탄성 붐의 강성 행렬(stiffnes matrix)을 유도하고, 탄성 변위를 포함하는 위치 벡터를 이용하여 질량 행렬을 유도한다. 해상 크레인과 중량물로 이루어진 운동 방정식에 탄성 붐을 포함하여 유연 다물체계(flexible multibody system) 운동 방정식을 구성한다. 외력으로는 선박 유체정역학적 힘, 유체동역학적 힘, wire rope의 장력, 중력 그리고 계류력(mooring force)이 고려되었다. 먼저 요소의 개수를 변경하며 탄성 붐의 동적 거동을 시뮬레이션 하여, 유한 요소 정식화를 이용한 모델링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해상 크레인과 중량물의 동적 거동 시뮬레이션에 탄성 붐 모델을 적용하였다.

  • PDF

Design of LQ-servo PI controller considering Weight (가중치를 이용한 LQ-Servo형 PI 제어기 설계)

  • 서병설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5 no.3B
    • /
    • pp.570-576
    • /
    • 2000
  • This paper proposed LQ-Servo PI controller by considering LQ-Servo structure as PI controller with a partial state feedback and concern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flexible design algorithm by introducing weights to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previous LQ-Servo design method. the propose algorithm improves the matchings of the maximum and minimum singular values at high and low frequencies of the design loop transfer function as well as its loop shaping for performance.

  • PDF

Damp-heat 시험에 의한 유기태양전지 단위층 열화특성연구

  • Kim, Min-Ji;Park, Seong-Hwak;Sin, Hyeon-Jin;Kim, Se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317.1-317.1
    • /
    • 2013
  • 유기 태양전지는 다른 무기계 태양전지에 비해 물질 자체의 쉬운 가공성과 유연한 특성으로 차세대 플렉시블 태양전지로 각광받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짧은 수명으로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유기 태양전지의 짧은 수명의 원인으로는 수분과 산소에 의한 광활성층의 화학적 열화 및 표면의 변화, 전극의 열화, 전자-전공 수송층의 흡습현상 등이 있다 [1].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적인 열화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일정한 수분과 산소 분위기에서 각 단위층들이 열화되는 현상을 광학적, 화학적 분석을 통해 짧은 수명의 원인을 밝혀내고자 한다. 유기 태양전지의 가혹시험은 $85^{\circ}C$의 온도와 85%의 습도 조건에서 이뤄졌으며, 가혹시간에 따른 열화현상 비교를 위해 0, 50, 100, 250, 500 h 동안 시험을 진행하였다. C-O, C=O 결합 형성에 의한 광활성층의 ${\pi}$공액의 변형은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과 XRD (X-ray diffraction) 측정을 통해 분석하였고 변화된 표면 형상은 FE-SEM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측정을 통해 관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