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식물체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초

작약의 미세번식에서 배지성분이 배양의 변색과 괴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um Components on Discoloration an Necrosis of Cultures i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Micropropagation)

  • 최상진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3-176
    • /
    • 1994
  • 작약절편을 접종하면 배지와 절편이 흑갈색으로 변하고 수 이로부터 배양이 죽기 시작하는데 배지성분 중에 이를 조장하는 물질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변색의 주원인은 철분과 염화칼슘(Cacl$_2$)이었고, 절편을 괴사시키는데 가장 큰 영양을 미친 것은 NO$_3$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피해가 비교적 적은 1/4 MS를 번식용 배지로 이용하여 식물체의 모든 부분을 배양하였을 때 조직으로부터 재생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다만 줄기절편에서 이미 형성된 액아가 유식물체로 성장하기도 하였으나 건전한 것으로 계속 성장하지 못하였으며 이것을 다시 번식체로 이용할 때는 초기 배양의 절편에서 나타나는 현상과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생존하지 못하였다.

  • PDF

오이 떡잎의 발달에서 지방 대사관련 유전자의 발현과 아세틸 단위체의 2차 경로 가능성 (Metabolic Gene Expression in Lipid Metabolism during Cotyledon Development in Cucumbers and the Possibility of a Secondary Transport Route of Acetyl Units)

  • 차현정;김대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055-1062
    • /
    • 2014
  • 본 연구는 떡잎의 발달 동안 지방의 유동 및 대사와 관련된 오이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사하여 유전자의 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글라이옥시좀과 미토콘드리아 사이의 탄소원(아세틸 단위)의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네 곳의 세포 내 소기관인 글라이옥시좀(퍼옥시좀),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및 세포질에서 작동하는 중요 대사경로의 10개 유전자들이 조사되었다. 나아가 암소에서 발아한 유식물체의 발아 초기 반응과 이후 3일간 빛을 주었을 때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에 따르면, 유식물체의 발달 동안에 저장지방의 유동과 관련된 Thio2, ICL 및 MS 유전자는 항상 유사한 유전자 발현 양상을 나타냈다. 오이의 발아 초기에 BOU 유전자와 함께 ICL 및 MS 유전자의 공조된 발현은 퍼옥시좀과 미톤콘드리아 사이에 아세틸 단위의 2차 통로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강한 증거이다. 앞서 보고된 연구에서 보여준 BOU 활성에서처럼 BOU 유전자는 빛 의존성으로 암소에서는 세포막의 미약한 발달로 인하여 활성이 저하됨을 암시한다. 나머지의 유전자들은 떡잎이 초록색으로 발달하고 노쇠화 할 때까지 떡잎의 전 발달 기간 동안에 활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아세틸 단위의 운반에 대한 새로운 추가적 제안으로써 지방 저장 종자의 발아와 오이 떡잎의 발달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라벤다의 기내증식과 RAPD에 의한 체세포 변이체 분석 (Micropropagation and RAPD Analysis of Somaclonal Variants in Lavandula spica cv. Marino)

  • 이현일;성은수;김일섭;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4-100
    • /
    • 1999
  • 라벤다의 기내배양을 통한 대량증식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식물체 부위별 절편, 생장 조절물질 및 배지가 캘러스 유지 및 유식물체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기내증식 개체의 변이에 대해 조사하였다. 캘러스 유도는 잎 절편을 이용한 2, 4-D 1 mg/l 와 NAA 2 mg/l 의 단독 또는 BAP 0.05 mg/l 와의 조합 처리 조건에서 양호하였다. 신초의 분화에는 경정을 이용한 BAP $2{\sim}4\;mg/l$ 단독 또는 BAP 4 mg/l +NAA 0.2 mg/l 조합 처리가 가장 양호하였다. $B_{5}$ 배지에 BAP 0.5 mg/l 와 NAA 0.01 mg/l 가 조합 첨가되었을 때 신초의 증식이 9.1배로 높게 나타났다. 분화된 신초의 뿌리 형성은 NAA $0.1{\sim}1\;mg/l$ 와 IAA 1 mg/l 에서 양호하였다. 기내에서 증식된 유식물체는 peatmoss:vermiculite:perlitc (1:1:1, v/v/v) 혼합 상토에서 90% 이상의 높은 활착율과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재분화 식물체의 RAPD 분석 결과 primer OPA14에서 하나의 변이 band가 나타났다.

  • PDF

마늘의 경정배양에서 기내인경구 대량생산을 위한 2단계 배양의 도입 (Introduction of two-step culture method for multiple seed bulb development from shoot tip culture of garlic (Allium sativium L.))

  • 황혜연;이영복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75-80
    • /
    • 2008
  • 마늘의 경정을 기내배양하여 대량의 기내종구를 생산하기 위한 다신초의 유기 및 기내구의 비대조건을 찾고자 배지의 당의 농도를 다르게 하고 또한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하여 신초의 대량발생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대형배양용기를 이용하여 대량생산을 하기 위한 tank배양에서 신초의 분화와 기내구의 발달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경정배양에서의 shoot 발생이나 기내구 형성 모두 3% sucrose 첨가 MS고체배지에서 8% 보다 양호하였으며, 생장조절물질의 효과는 2 mg/L 2iP와 0.2 mg/L IAA의 혼합처리에서 shoot 발생과 bulb의 형성수가 양호하였다. 이 처리구에서 발생한 shoot와bulb의 수는 각각 3.3 및 2.7개로 나타났다. 다신초를 유도할 수 있는 조건의 배지에서 경정을 2개월 동안 배양하여 다신초를 분화시킨 후, 20 L water tank를 이용하여 sucrose 농도를 3%와 8%로 설정한 MS액체배지에 옮겨 45일간 배양한 후에 bulb형성을 조사하였을 때 유식물체의 생육에 있어서는 3% sucrose 첨가조건에서 8% 첨가배지보다 양호하였다. 그러나 기내구의 형성이나 생장에 있어서는 sucrose의 농도가 8%일 때 보다 효과적이었다. 경정배양에서의 다신초의 초기생산에는 3% sucrose조건에서 양호한 효과를 보이고 있으므로 마늘의 인경구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신초의 생산과 구비대 과정을 구분하는 2단계 배양법을 도입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Tank배양시 배지에 0.2 mg/L BA, 0.02 mg/L NAA를 첨가한 처리에서 양호하였으며 NAA 농도가 높을 수록 유식물체의 생육이나 구비대의 효과는 현저하게 저하되었다.

땅콩(Arachis hypogaea)에서 분리한 Bean common mosaic virus와 Peanut mottle virus (Bean common mosaic virus and Peanut mottle virus isolated from Peanut in Korea)

  • 구봉진;신혜영;성정현;강동균;장무웅
    • 식물병연구
    • /
    • 제8권2호
    • /
    • pp.92-100
    • /
    • 2002
  • 한국산 땅콩에 감염되어 있는 바이러스를 동정하기 위하여 땅콩 재배지 에서 모자이크, 괴저를 동반한 얼룩무늬, 황화, 줄무늬, 엽맥녹대, 위축 등의 바이러스 감염 증상을 나타내는 땅콩잎 및 땅콩을 채집하였다. 이들 시료로부터 기주범위, 면역전자현미경(ISEM), 감염 세포내의 바이러스의 존재양식, direct immune staining assay(DISA), RT-PCR 등에 의하여 Bean common mosaic virus(BCMV-PSt)와 Peanut mottle virus(PeMoV)를 분리하였다. 이들 시료를 DN법에 의거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길이가 약 780 nm의 사상형 입자와 세포질 봉입체를 관찰하였다. 초박절편의 시료 관찰에서도 길이 약 700 nm의 사상 입자가 엽육세포 등의 세포질과 액포에 산재 혹은 병행 배열로 존재해 있는 영상 및 세포질 봉입체가 반드시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시료를 BCMV-PSt와 PeMoV의 항혈청으로 ISEM을 실시한 결과, 두 항체에 모두 decoration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두 바이러스가 종자전염이 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땅콩을 직접 BCMV-PSt와 PeMoV의 항혈청으로 DISA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BCMV-PSt 및 PeMoV 항혈청에 발색이 되었으며, 이들을 발아시켜 유식물체를 획득하였다. 이들 유식물체에서도 바이러스 감염 증상인 얼룩무늬 증상이 관찰되었고, 이들을 BCMV-PSt와 PeMoV의 항혈청으로 ISEM방법으로 검경한 결과, 두 항체에 모두 decoration 되었다. 또한, 자연감염 식물체 및 DISA에 의해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된 종자를 발아시킨 2년생 식물체로부터 생물검정 법 및 ISEM에 의해 두 종의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Rl-PCR을 실시한 결과, 약 1.2Kb크기의 BCMV-PSt coat protein유전자가 증폭 되었다. 이 연구결과, 한국산 땅콩에 BCMV-PSt가 가장 많이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삼의 액체배양에서 체세포배 형성에 대한 치상조직과 생장조절제의 영향 (Effects of Explants and Growth Regulators on Direct Somatic Embryogenesis in Liquid Culture of Scrophularia buergeriana)

  • 송지숙;임완상;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4-298
    • /
    • 1998
  •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대량 번식 방법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현삼 조직의 액체배양에서 직접 체세포배 발생에 미치는 치상조직과 식물 생장조절제의 상호영향을 조사하였다. 식물체의 부위에 따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잎, 줄기 및 엽병조직을 치상한후 체세포배 발생 정도를 살펴본 결과 줄기 절편을 배양하였을 때 체세포배 발생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유식물체로 발달되기까지 약 3주의 기간이 소요되어 빠른 속도로 성장이 이루어진 반면, 뿌리의 형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엽병을 접종 재료로 하여 3주간 배양하였을 때는 직접체 세포배를 통한 shoot는 형성은 되었으나 줄기 절편에 비해 체세포배 발생율은 낮았으며, 뿌리 발생도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잎조직을 액체 배지에 치상하였을 경우 체세포배 발생에 소요되는 기간이 줄기와 엽병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었으며 , 배양 8주 후에는 완전한 식물체로 발달하였다. 액체배양에서 체세포배 형성에 영향하는 생장조절제로는 BA효과가 컸으혀, BA에 옥신류인 IAA와 NAA를 첨가함에 따라 탈분화가 진행되어 체세포배 발생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짧은 배양 시간 동안 많은 유식물체를 얻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은 BA 05 mg/ l 나 1.0 mg/ l 로 첨가시킨 NS 액체배지에 줄기 부위를 치상 조직으로 이 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이었다.

  • PDF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에 의한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분류 (Classification of Perennial Ryegrass Varieties by the Dry Weight of Plant per pelative Tiller Appearnce pates ( DW/RTAR ))

  • 이주삼;김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11
    • /
    • 1991
  • Perennial ryegrass 유식물체의 가을철 생육과 1변초의 개처중 및 수량구성요소와의 관계를 검토하여 월동성을 나타낼 수 있는 형질을 션발하고 품종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1. 1 번초의 척체중은 유식물체의 개체당 경수와 유의힌 정상관을, 초세와는 유의한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2. 1번초의 개체중은 출수경중, 개체당경수, 영양경수, 출수경수, 1 경중 및 출수율과 유의한 정상관이 인정되었다. 3 .상대경수출현솔이 낮은 품종은 가을철에 분얼의 발생이 많으며 상대경수출현율이 높은품종은 봄철에 분얼의 발생이 많은 특성을 나다내었다. 4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은 1번초의 개체중, 초장, 출수정중, 개체당 경수, 출수경수, 1 경중 및 출수율과 유의한 정상관을 나타내었다. 5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에 의하여 2품종군으로 분류되었다 즉,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이 1.0 이 상의 품종에는 7 개 품종이, 1. 0 미만의 품종에는 9 개품종이 포함되었다. 6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에 의하여 분류된 품 종군에서는 수량구성요소의 차이가 인정되었다.7 .상대경수출현율당 개체중은 월동성을 나타내는 유효한 형질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염과 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톨 페스큐의 종자 발아율과 유전자 발현 변화분석 (Effects of Salt and Drought Stresses on Seed Germination and Gene Expression Pattern in Tall Fescue)

  • 이상훈;이기원;최기준;김기용;지희정;황태영;이동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4-119
    • /
    • 2014
  • 염 또는 건조 스트레스 처리에 의한 톨 페스큐 종자의 발아율 변화와 유식물체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in vitro 조건에서 NaCl과 PEG를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NaCl 처리시 톨 페스큐 품종별 발아율은 50 mM 농도에서 발아율이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350 mM의 농도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발아가 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NaCl 처리 농도에 따른 발아율 감소율은 Fawn 품종이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Kentucky-31(E-) 품종이 가장 강한 내성을 보였다. 또한, PEG 처리시 톨 페스큐 품종별 발아율의 변화도 NaCl 처리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고농도인 30% PEG 처리구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발아가 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으며 Kentucky-31(E-) 품종이 가장 강한 내성을 보였다. 톨 페스큐 유식물체 수준에서 염해와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유전자 발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DEGs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탐색을 위한 ACP-based GeneFishing$^{TM}$ PCR 분석을 통해 NaCl 또는 PEG 처리에 따른 발현량의 차이를 보이는 총 4개의 DEG를 선발하여 클로닝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무처리구에 비해 NaCl 처리시 4개의 DEG가 증가하였고 감소하는 DEG는 확인 되지 않았으나, PEG 처리에서는 3개의 DEG (DEG 1, 3, 및 4)가 증가하였고 1개의 DEG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굴된 DEG들을 blastx 검색에 의하여 rubisco large subunit (DEG1), microsomal glutathion S-transferase (GST) 3-like isoform 1 (DEG2) 유전자로 동정되었다.

고려인삼의 조직배양에 의한 기관형성과 원형질체배양에 관한 연구 (REDIFFERENTIATION FROM TISSUE CULTURE AND ISOLATION OF VIABLE PROTOPLASTS IN PANAX GINSENG C.A. MEYER)

  • 최광태;양덕춘;김남원;안인옥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11
    • /
    • 1984
  • 인삼의 대량증식 방법과 원형질체배양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인삼의 자엽 callus 조직에서 많은 유식물체를 생산하는데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영향을 구명하고, 또한 일반 식물과는 전혀 다른 인삼의 생존력이 있는 원형질체를 나출하여 배양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고저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Murashige & Skoog(MS) 배양기조성 성분의 반량($\frac{1}{2}MS$)에 2, 4 - D 0.5mg/$\ell$ Kinetin 0.5mg/$\ell$를 첨가한 배양기에서 가장 많은 양의 배상체가 유기되었다. (2) 유기한 배상체를 동일배기에서 계속 배양할 경우에는 다시 탈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frac{1}{2}MS$ 배양기에 BA와 GA를 같은 농도(BA : GA=1 : 1)로 첨가한 배양기에 옮겨서 배양하였던 바 배상체의 발육이 진전되어 유식물체로 발달하였다. (3) 인삼은 1년근 세포에서 원형질체를 나출할 경우의 최적요건은 효소로서 cellulase $2\%$, macerozy-me $0.5\%$ 였으며, osmoticum으로서는 mannitol 0.9M, pH 5.2였고, 처리기간은 $28{\pm}1^{\circ}C$에서 $7\~8$시간이었다. (4) 인삼 callus조직세포에서 원형질체 나출할 시에는 cellulase $2\%$, macerozyme $2\%$, driselase $1\%$씩 첨가한 효소용액으로 28{\pm}1^{\circ}$에서 25시간 이상 처리하는 것이 나출원형질체의 수와 생존율면에서 볼 때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상추 유식물체 절편의 조직배양에 의한 고빈도 기관발생과 식물체 재분화 (High Frequency Organ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Tissue Cultures of Lettuce Seedling Explants)

  • 정민;우제욱;정원중;유장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9-222
    • /
    • 1999
  • 부정아를 유도하기 위하여 발아 7∼10일된 일본 결구상추 2품종과 국내 잎상추 (Lactuca sativa L.)4품종의 하배축 및 자엽절편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시스템을 확립하였다. 하배축 및 자엽절편을 BA와 NAA가 조합 처리된 MS 및 SH배지에 치상하여 5주 동안 명배양하였다. 일반적으로 하배축보다는 자엽절편에서, SH 배지보다는 MS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에 부정아 형성률이 높았다. MS배지에 BA는 0.5 ㎎/L, NAA는 0.1∼l ㎎/L로 처리하였을 때에 최고의 부정아 형성률을 보였으며, 품종에 따라 30% ( '만추대청치마')에서 86% 까지의 부정아 형성률을 나타내었다. 형성된 shoot의 95% 이상이 MS 기본배지에서 발근하여 소식물체로 발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