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산 간균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19초

캡슐및 비캡슐 비피더스균 첨가 요구르트의 섭취에 따른 장내균총 및 분변성상의 변화 (Changes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and Fecal Properties by Intake of Yoghurt Added Capsulated or Uncapsulated Bifidobacteria)

  • 류병희;조수현;하상우;박기문;강국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1-225
    • /
    • 1998
  • Y-CB와 Y-UCB를 음용하였을 때, 장내 비피더스균수, 유산간균수, 대장균수 및 분변의 pH, 수분함량(%) 등 장내환경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시험 대상자는 20~30세의 건강한 성인 남녀 14명으로 하였으며 평상시의 분변 상태를 조사한 다음 요구르트를 하루 2병씩 식후에 음용하도록 하였다. 음용시험의 방법은 Y-CB와 Y-UCB를 2주간 1차 음용 시험후 2주간의 음용 중단 기간을 가졌으며, 다음 제2차 음용시험으로서는 1차 음용시의 공시요구르트를 교차음용 하면서 분변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Y-UCB의 음용중에는 음용전과 비교하여 비피더스균수(p<0.01)와 유산간균수(p<0.05)는 유의성있게 증가하였고, 수분, pH, 대장균수에는 변화가 없었다. Y-CB의 음용은 음용전과 비교하여 비피더스균수는 증가하였고(p<0.01), 대장균수는 감소하였으며(p<0.05), 유산간균수, 수분, pH는 변화가 없었다. 두 개의 공시 요구르트를 음용 전과 비교하면 음용중단 후에도 비피더스균수가 증가하였고, 낮은 pH를 지속하였으며, 유산간균수, 수분, 대장균수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유산균발효유의 음용효과(비피더스균수, 유산간균수, 대장균수, pH, 수분함량의 변화측정 ) 비교에 있어서 본 실험에 사용한 Y-CB나 Y-UCB는 어느 것이나 거의 동등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 PDF

유산균 Plasmid DNA의 신속 간편한 분리방법 (Rapid and Simple Method for Isolating Plasmid DNA from Lactic acid Bacteria)

  • 배형석;백영진;김영기;유민;박무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9-296
    • /
    • 1985
  • 본 연구는 유산간균 및 유산구균으로부터 plasmid DNA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포벽 형성 억제 인자인 glycine을 0.5% 첨가한 TCM 배지에서 유산균을 배양하였고 plasmid DNA는 mutanolysin을 처리한 cells로부터 alkaline-detergent lysis 법으로 분리되었다. 유산간균은 효소 처리 때 mutanolysin의 농도를 30$\mu\textrm{g}$/$m\ell$로 하고 37$^{\circ}C$에서 5-10분간 반응되었을 때 plasmid DNA가 아주 잘 추출되었다. 유산구균의 경우는 그 최적 조건이 조금 달랐다. 본 방법은 L. casei, L. acidophilus, L. helveticus, S. lactis, S. faecalis, S. faecium과 S. cremoris 균주로부터 plasmid DNA를 신속하게 분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었다. 본 방법을 이용하여 배양액 $1.5m\ell$로부터 분리된 plasmidsDNA가 gel상에서 쉽게 확인될 수 있었다.

  • PDF

정상인과 정신지체인의 치아우식증과 치아우식 원인균, 타액내 면역항체의 비교 (COMPARISON OF THE DENTAL CARIES, CARIOGENIC MICROORGANISMS AND LEVELS OF SALIVARY IMMUNOGLOBULIN BETWEEN NORMAL PERSON AND MENTAL RETARDED PERSON)

  • 최세원;양규호;최남기;강미선;임회순;오종석;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70-382
    • /
    • 2007
  • 본 연구는 정상인과 정신지체인의 치아우식증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요소들을 비교 평가하고자 정상인 63명과 정신지체장애인 31명을 대상으로 우식경험지수, 치태지수를 조사하고, Dentocult 키트를 이용하여 뮤탄스 연쇄상구균과 유산간균의 분포정도와 타액의 완충능을 측정하고, ELISA(효소면역분석법)를 이용하여 타액의 면역항체 IgA와 뮤탄스 연쇄상구균-특이 IgA 농도를 측정하였다. 우식경험 영구치면지수와 치태지수는 정신지체인에서 정상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타액 항체 IgA 농도는 두 군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뮤탄스 연쇄상구균 특이-IgA 농도는 정상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완충능은 정신지체인에서 정상인에 비해 더 낮았으며, 뮤탄스 연쇄상구균 수와 유산간균 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령별 비교시 우식경험 영구치면지수와 치태지수는 15-18세군에서 정신지체인이 정상인에 비해 높았다. 뮤탄스 연쇄상구균 수와 유산간균 수는 9-11세군에서는 정신지체인보다 정상인에서 더 높았으나 12-14세군부터는 정신지체인에서 더 높은 양상을 보였다. 15-18세군에서 치아우식경험치면수는 완충능과 역상관관계를 보이고, 치태지수, 뮤탄스 연쇄상구균, 유산간균과 상당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정신지체인은 나이가 증가할수록 정상인보다 우식경험치면수가 많았고, 치태가 많았으며, 뮤탄스 연쇄상구균과 유산간균의 수가 많고, 타액의 완충능과 뮤탄스 연쇄상구균 특이-IgA 농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구취를 유발하는 혐기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유산 간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obacillus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halitosis by anaerobic bacteria)

  • 김미형;김선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53-163
    • /
    • 2004
  • There are normal inhabitants doing medically useful functions in the body. There are many kinds of bacteria performing specific functions in the oral cavity. Two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normal inhabitants of children 's oral cavity, which inhibited the the production of halitosis by anaerobic bacteria. The authors identified the isolates by the lest using API 50 CHL medium kit. 1. Two isolates were Gram-positive bacilli and produced hydrogen peroxide. 2. The optical density was 1.286 in the supernatant of Fusobacterium nucleatum after vortexing for 30 minutes, whereas in the supernatant of combined Fusobacterium nucleatum and each isolate, they were reduced to 0.628 and 0.497, which the percentages of coaggregation between them were 29.4% and 57.8%, respectively. 3. The optical density of Fusobacterium nucleatum precipitate was 1.794 in the culture media containing cysteine and $FeSO_4$, being reduced to 1.144 and 0.915 in the coaggregated precipitates of Fusobacterium nucleatum and each isolate. 4. The optical density of Porphyromonas gingivalis precipitate was 1.932 in the culture media, being reduced to 1.170 and 1.266 in the coaggregated precipitates of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each isolate. 5. When two isolates were tested with API 50 CHL medium kit, those were identified as Lactobaciallius salivarius and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lactis.

  • PDF

식이에 따른 장내세균의 효소활성 및 장내세균층의 비교 (Fecal Microflora of Mice in Relation to Diet)

  • 최성숙;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8-132
    • /
    • 1999
  • 식이에 따른 장내세균의 균총의 변화와 장내미생물의 효소활성을 비교하였다. 동물성 식이를 실시한 군에서는 식물성 식이를 실시한 군과 비교시 유해한 혐기성 균의 수가 약 10배 정도 많게 관찰되었으며, 식물성 식이를 실시한 군에서는 비피더스균이나 유산간균의 수가 동물성 식이를 실시함 군보다 10배 정도 많게 관찰되었다. 또한 대장암 발병과 상관관계가 깊은 것으로 알려진 장내미생물 유래효소활성을 비교한 결과 $\beta$-glucosidase, $\beta$-glucuronidae, tryptophanase, urease 등의 효소활성이 동물성 식이를 실시한 군에서 1.8배-2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즉 식이에 따라 장내 세균총의 차이 및 장내세균의효소활성의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산간균 Bacteriophage의 증식억제물질 (Effect of Phosphates on Lytic Activity of Bacteriophages Infected in Lactobacilus Cells)

  • 강국희;박기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53-258
    • /
    • 1982
  •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인산염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서 유산균의 증식과 phage 감염후의 유산균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특히, phage 증식억제를 나타내는 물질은 sodium metaphosphate, sodium pyrophosphate, sodium phosphate (dibasic), potassium phosphate(dibasic)으로써 각각 0.2∼0.4%, 0.1∼0.2%, 0.2∼0.3%, 0.2∼0.35%에서 phage 감염 후 유산균의 증식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phage 감염 후에도 증식한 유산균 배양액을 새로운 배지에 1,2차 계대 하였을 때, 역시 인산염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배양액에 존재하는 phage에 의해 유산균의 증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sodium pyrophosphate의 경우, 0.17%이상에서는 1차 계대 후에도 phage의 증식이 억제되어 유산균이 증식하기 때문에 starter 배양액용 P.R.M제조에 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 진다.

  • PDF

배지의 pH 조정에 의한 홍삼 추출물 첨가가 Lactobacillus SP., Escherichia coli와 Listeria monocytogene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Growth of Lactobacillus sp.,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pH Controled Medium)

  • 배형철;이조윤;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57-264
    • /
    • 2005
  • 홍삼 추출물이 유산간균 3종(L. acidophilus, L. casei 및 L. salivarius ssp. salivarius)과 병원성 균으로서 E. coli 및 L. monocytogenes에 대한 성장 촉진과 억제 효과를 홍삼 추출물 0, 1, 2, 5와 $10\%$ 농도로 조사하였으며, 홍삼 추출물에 의한 pH 저하를 buffer제를 사용하여 조정하고 미생물의 성장을 대조구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유산간균 3종의 경우 홍삼 추출물 $1\%$ 농도까지는 무처리구와 유사한 성장을 보였으나, $2\%$이상의 홍삼 추출물 첨가 시 농도가 높아질수록 유산균의 성장도 둔화되었다. E. coli의 경우 홍삼 추출물이 $1\%$부터 높아질수록 성장이 억제되었고, L. monocytogenes의 경우 $5\%$ 이상의 처리구에서 억제 효과가 있었다. Buffer제를 사용하여 pH를 조정하고 홍삼 추출물을 $10\%$ 첨가한 구와 pH를 조정하지 않은 구를 비교하여 보면 유산간균과 병원성 균의 성장이 두 구간에 모두 억제되므로 미생물의 억제 효과가 홍삼 추출물 중의 유기산에 의한 pH 저하가 원인이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미생물의 성장억제 효과는 홍삼 추출물 중 다른 유효성분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유산간균 Phage에 대한 Sodium Pyrophosphate의 용균억제작용 (Inhibition of Phage Lytic Activity in Lactobacilli Cells by Sodium Pyrophosphate)

  • 박기문;강국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
    • /
    • 1983
  • CaC $l_2$를 제거한 MRT 액체배지에 phage가 MOI =$10^{0}$ 이상으로 감염된 경우에는 0. 15% sodium pyrophosphate 농도에서 유산균이 용균되었으나. 0.175% 이상의 농도에서는 유산균이 정상적으로 증식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phage 감염 후 유산균의 증식은 sodium pyrophosphate농도와 phage 감염수에 의해 결정된다고 사료된다. 이 때에 sodium pyrophosphate의 phage 증식억제 농도에서 phage불활성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0.15% sodium pyrophosphate를 첨가한 배지에서는 MOI=$10^{-1}$ 이하로 phage가 감염되면 유산균이 증식하여 배양 24시간 후 약 $10^{8-9}$/$m\ell$의 균수를 나타냈으며, 무첨가 배지에서는 MOI =$10^{-3}$ 이상일 때 유산균이 거의 사멸하였고 $10^{-4}$ 일 때는 약 1$\times$$10^{5}$ /$m\ell$로 용균됨을 나타내었다.다.

  • PDF

김치 종류에 따른 유산균의 생물학적 및 기능적 특성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n Different Kimchi)

  • 고강희;유문려;이현희;은걸;김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9-95
    • /
    • 2013
  • 갓김치, 배추김치, 열무김치, 깍두기로부터 348종의 유산균을 분리하여 각 김치 종류에 따른 유산균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열무김치의 유산균은 다른 3종의 김치에 비해 간균+단간균:구균의 비가 5.6:1로 구균의 함량이 적었다. Leuconostoc 속으로 추정되는 구균의 함량은 4종의 김치가 모두 유사하였으나 Lactobacillus 속으로 추정되는 간균과 단간균의 함량은 깍두기에서 60.7%로 높게 나타났다. 다른 김치에 비해 배추김치 유래 유산균 중 18.7%가 plasmid가 없었으나 plasmid를 지닌 유산균 중에는 열무김치 유래 유산균에 평균 $4.1{\pm}0.5$개의 plasmid bands가 나타났다. 세포 외 다당(EPS)을 5 mg/mL 이상 생산하는 유산균은 무를 주재료로 한 깍두기와 열무김치에 각각 11.1%, 10.9%로 갓김치와 배추김치보다 많았지만 배추김치 유래 유산균이 $8.4{\pm}2.0mg/mL$의 EPS를 생산해 다른 김치 유래 유산균들보다 1 mg이상 높았다. 갓김치에는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력을 지닌 유산균이 많은 반면 열무김치, 배추김치, 깍두기에서 Bacillus 속, L.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항균력을 지닌 유산균이 갓김치보다 2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열무김치와 깍두기 유래 유산균 중 43.3%, 45.5%가 내산성을 지녔으며, 특히 깍두기의 유산균 중 36.3%가 내담즙성을 나타내 다른 김치보다 많았다. Caco-2 세포에 대한 장내부착능을 지닌 유산균은 18.6%의 비율로 갓김치에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에서 볼 때, 김치에 함유된 유산균은 종이 한정적임에도 불구하고 김치 종류에 따라 각 김치에 함유된 유산균의 생물학적 특징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내산성, 내담즙성, 장내부착능을 지닌 유산균이 김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남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가 프로바이오틱 기능성을 지닌 유산균을 선별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