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사도 가중치

Search Result 57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ethods of computing Toll Road Weights when Calibrating Road Networks in a Transportation Planning Model (교통계획 모형내 유료도로의 요금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Eung-Cheol;Kim, Do-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1 no.1
    • /
    • pp.47-58
    • /
    • 2009
  • Calibrating toll roads of highway networks needs additional weights within volume delay functions not like other general highway lints. However, current methods assigning additional weights in the volume delay function of toll roads are not sufficiently enough to predict real toll road volumes measured, since it does not consider discounting rates and an extra charges. This study develops methods to improve relevant and reliable volume delay functions. Suggested ideas include a method of weighting volume delay functions considering a value of time of vehicle types, a method of weighting volume delay functions considering lane distributions of vehicles, and a method of weighting volume delay functions considering percentages of link lengths per a number of lanes of toll roads. It is found that the method of weighting volume delay functions considering lane distributions of vehicles show most reliable and appropriate results, while the first method shows overestimation and the third method does underestimation of highway link volumes. In terms of assignment methods, total OD equilibrium assignment shows better results than PCU based assignment.

  • PDF

Improvement of Retrieval Performance Using Adaptive Weighting of Key Frame Features (키 프레임 특징들에 적응적 가중치 부여를 이용한 검색 성능 개선)

  • Kim, Kang-Woo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7 no.1
    • /
    • pp.26-33
    • /
    • 2014
  • Video retrieval and indexing are performed by comparing feature similarities between key frames in shot after detecting a scene change and extracting key frames from the shot. Typical image features such as color, shape, and texture are used in content-based video and image retrieval. Many approaches for integrating these features have been studied. However, the issue of these approaches is how to appropriately assign weighting of key frame features at query time. Therefore, we propose a new video retrieval method using adaptively weighted image features. We performed computer simulations in test databases which consist of various kinds of key fram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better performance than previous works in respect to several performance evaluations such as precision vs. recall, retrieval efficiency, and ranking measure.

Real-time blending method development of radar-based QPF and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s for hydrological application (수문학적 활용을 위한 레이더와 수치예보모델 예측강우의 실시간 병합 기법 개발)

  • Yoon, Seong-Sim;Lee, Do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9-99
    • /
    • 2018
  • 기상이변으로 인해 국지성 호우의 발생 증가와 그로 인한 수재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수재해를 사전에 예측하고 저감하기 위해 비구조물적 대책인 실시간 홍수예보시스템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수예보시스템은 대피선행시간 확보를 위해서 초단시간 혹은 단기 수치예보모델을 수문해석모형이나 예보기법의 입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초단시간 예측은 기상레이더를 기반으로 외삽, 이류, 셀 추적 등의 기법을 활용하여 0~3시간 이내의 강수예측을 수행한다. 그러나 역학이나 물리적 과정이 동반되지 못하여 0~ 2시간 이내에서의 예측성은 높은 반면, 예측시간이 길어질수록 예측력이 낮아진다. 단기수치예보모델은 종관관측에 의존하면서 역학이나 물리과정을 동반하므로 0~6시간 혹은 12시간 이상의 예측을 수행하지만, 수치모델의 고유특성인 스핀업 등의 예측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어 예측 초기시간에서의 예측력이 낮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강수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레이더와 수치예보모델의 병합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분석을 통해 경험적으로 산출된 시간적 가중치를 이용한 기존 병합기법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호우에 따른 가변성을 반영하는 실시간 병합기법을 개발하고, 수문학적인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예측강우 자료는 레이더 기반인 MAPLE, KONOS, 공간규모분할 예측강우와 수치예보모델 기반인 UM와 ASAPS의 예측강우이며, 제시한 가중치 산정기법은 직전 예측강우의 오차가 현 시점의 예측강우의 오차와 유사하다는 가정하에 오차항을 포함한 과거 1시간 예측강우들간의 가중치 조합이 과거 지상관측강우와의 평균제곱근오차가 최소가 되도록 화음 탐색법을 이용하여 찾는 것이다. 가중치 조합은 예측강우의 생산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매 10분마다 산정하며, 미래 3시간 예측까지 산정된 가중치를 적용한다. 수도권 영역을 대상으로 병합된 예측강우와 레이더 관측강우를 비교한 결과, 정량적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측강우의 수문학적 활용성은 도시유출해석모의를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병합된 예측강우로 모의된 수심이 관측수심과 유사하여 수문학적 활용성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ast Stereo Matching Using Graphic Hardware (그래픽 하드웨어를 이용한 고속 스테레오 정합)

  • Lee, Sang Hwa;Oh, Jun Ho;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11a
    • /
    • pp.262-26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그래픽 하드웨어와 그래픽 프로그램 기술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스테레오 영상의 시차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선, 컬러 스테레오 영상에 대하여 mean-shift 기법을 이용하여 컬러를 이용한 영역분할을 수행한다. 분할된 컬러 영역 단위로 가중치를 계산함으로써, 화소단위로 가중치를 계산하는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블록정합함수를 계산하는 과정에서는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을 채택하여, 새로 블록안으로 들어오는 화소열과 빠져나가는 화소열의 정합함수값을 가감하여 화소마다 반복적으로 합산되는 정합함수의 계산량을 크게 줄인다. Middlebury 스테레오 영상을 이용하여 실험 및 평가를 수행한 결과, VGA 급 스테레오 영상을 기준으로 10 프레임 이상을 처리하면서도 기존의 적응적인 가중치를 갖는 블록정합 방식의 성능과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고속화 방법을 통하여, 기존의 적응적인 가중치를 이용한 블록정합 방식에 비하여 훨씬 고속으로 스테레오 정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시간 시차추정이 필요한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PDF

Comparison of Weight Functions in Iterative Technique for Image Reconstruction of Gamma-ray CT (감마 CT 영상재구성을 위한 반복적인 방법의 가중치 함수비교)

  • Lee, Na-Young;Jung, Sung-Hee;Kim, Jong-Bum;Kim, Jin-Sup;Kim, J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c
    • /
    • pp.480-484
    • /
    • 2007
  • 일반적으로 x선 CT는 물체 투과율이 짧기 때문에 대형 산업공정 내부의 영상진단 시 대상체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액체, 고체, 기체 등 고밀도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계측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물체 투과율이 x선에 비해 긴 감마선을 사용하였다. 대형 산업공정 내부의 단면영상을 재구성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영상재구성 방법의 가중치 함수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감마 CT 영상에서 빔 통과 여부에 따른 가중치 함수보다 빔 길이나 면적에 의한 가중치 함수로 복원할 경우, 원 영상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 PDF

an Automatic Calculation Method of Feature Weights in k Nearest Neighbor Algorithms (kNN 알고리즘에서의 속성 가중치 자동계산 방법)

  • Lee, Kang-Il;Lee, Cha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423-426
    • /
    • 2005
  • 기억기반학습의 일종인 최근접 이웃(k 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은 과거의 데이터들 중에서 새로운 개체와 유사한 데이터들을 이용해서 새로운 개체의 목적 값을 예측하는 것이다. 이 경우 속성의 가중치를 계산하는 방식은 kNN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다른 이론들과 달리 정보이론에서 사용되는 엔트로피 개념을 이용해서 속성의 가중치를 이론적이고, 효과적으로 계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한다. 제안된 방법은 각 속성이 목적속성에 제공하는 정보의 양에 따라 가중치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kNN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방식의 성능을 다수의 실험을 통해 비교하였다.

  • PDF

Inter-Layer Kernel Prediction: Weight Sharing and Model Compression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Motivated by Inter-frame Prediction (Inter-Layer Kernel Prediction: 프레임 간 Prediction에 기반한 컨볼루션 신경망 가중치 공유 및 모델 압축 방법)

  • Lee, Kang-Ho;Bae, S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136-13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심층신경망 압축 연구에서 가중치 공유와 관련하여 심층신경망 모델 압축방법 Inter-Layer Kernel Prediction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영상 압축에서 사용되는 프레임 간 prediction 방법을 응용한 컨볼루션 신경망 가중치 공유 및 모델 압축 방법이다. 본 논문은 레이어 간 유사한 kernel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기반으로 Inter-Layer Kernel Prediction을 사용하여 기존 모델 가중치를 보다 더 적은 비트로 표현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CIFAR10/100으로 학습된 ResNet에서 약 4.1 배의 압축률을 달성했으며 CIFAR10으로 학습된 ResNet110에서는 오히려 기존 Baseline 모델에 비해 0.04%의 성능 향상을 기록했다.

  • PDF

A Text-based Similarity Measure for Scientific Literature (논문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텍스트 기반 유사도 계산 방안)

  • Yoon, Seok-Ho;Kim, Sang-Woo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8D no.5
    • /
    • pp.317-322
    • /
    • 2011
  • This paper addresses computing of similarity among papers using text-based measures. First, we analyze the accuracy of the similarities computed using different parts of a paper, and propose a method of Keyword-Extension, which is very useful when text information is incomplete. Via a series of experiments, we verify the effectiveness of Keyword-Extension.

A Study of measurement for National Information Index (국가정보화지수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 Jee, K.Y.;Kang, S.W.;Kim, J.R.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4 no.3 s.57
    • /
    • pp.95-105
    • /
    • 1999
  • 일반적으로 정보화 수준을 측정할 때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산술평균의 개념에 의한 대표값 산출방식이다. 그러나 이는 항목간의 통합문제의 관점에서 각 항목의 정보화 기여도가 무시되고, 급격한 정보화의 구조변화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며, 기본지표의 측정항목이 많아질 경우에는 해당 측정항목이 상대적으로 작은 기여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정보화 수준 측정방법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정보화지수의 측정.비교.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측정방법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본 고에서는 서로 상관된 국가정보화 지표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가중치를 구하는 인자분석 및 대표성분점수화법 등 세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방법별로 정보화지수를 산출한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보았다. 세 가지 방법들에 의한 가중치 및 지수는 다소 값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전체적인 추이는 같음을 보았다. 방법 1과 방법 2는 요인분석에 의한 분석 결과로서 가중치나 지수에서 다소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유사성이 매우 크며, 방법 3에 의한 분석결과는 앞의 방법들과는 가중치 및 지수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방법 3은 다른 측정 방법과는 달리 상관성이 높은 변수들에게 가중치를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방법 1과 방법 2보다 더 객관적으로 각 지표의 가중치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어 어느 정도 이 방법에 의한 분석이 유의함을 보여주었다.

Comparison of Customer Satisfaction Indices Using Different Methods of Weight Calculation (가중치 산출방법에 따른 고객만족도지수의 비교)

  • Lee, Sang-Jun;Kim, Yong-Tae;Kim, Seong-Y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2
    • /
    • pp.201-211
    • /
    • 2013
  • This study compares Customer Satisfaction Index(CSI) and the weight for each dimension by applying various methods of weight calculation and attempts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the study classified the methods of weight calculation into the subjective method and the statistical method. Constant sum scale was used for the subjective method, and the statistical method was again segmented into correlation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weights from the subjective method and the statistical method. The order of the weights by the analysis methods were classified with similar patterns. Besides, the weight for each dimension by different methods of weight calculation showed considerable deviation and revealed the difference of discrimination and stability among the dimensions. Lastly, the CSI calculated by various methods of weight calculation showed to be the highest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followed by in the order of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rithmetic mea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nstant sum scale and factor analysis. The CSI calculated by each method showe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