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량 측정

Search Result 1,99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rmal Performance of Plate Cooler for Cooling Medium Speed Engine Lubricant Oil (선박용 중속엔진 오일냉각용 판형쿨러의 전열성능에 관한 연구)

  • Park,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7 no.1
    • /
    • pp.83-90
    • /
    • 2020
  • Plate heat exchangers(PHE) have been commercialized since the 1920s. Since then, although the basic concept of PHEs has changed little, its design and construction have progressed significantly to accommodate higher temperatures, higher pressures, and large heat exchanging capacities. The development trend of PHEs is consistent with heat plate developments with better thermal efficiency, lower pressure drop, and good flow distribu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main development processes of a plate cooler for medium-speed engine lubricant oil cooling in vessels which i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trend of PHEs and to provide its thermal performance data that were found out during experimental tests. The plate cooler in this study cannot measure the wall temperatures directly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so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using the modified Wilson Plot method. The water-to-water tests were first conducted experimentally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heat transfer coefficients and pressure drops on the water side and then the water-to-oil tests followed to obtain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s on the oil side.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heat transfer coefficients and pressure drops on both water and oil side increased with flow rates, and it was also found that all the development targets of the plate cooler in this study were achieved successfully.

An Investigative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Cefaclor Decomposition in UV/H$_2$O$_2$ Process (UV/H$_2$O$_2$공정에 의한 Cefaclor 분해 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 Cho, Chun-Ki;Han, Ihn-Su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0 no.10
    • /
    • pp.1039-1046
    • /
    • 2008
  • The combining process of UV irradiation and H$_2$O$_2$ was us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cefaclor decomposition in the aquatic environment. The separate mixing tank was used to minimize the decreasing effective of contact area caused by sampling. Four baffles were installed inside the UV reactor for the complete mixing of the sample and outside of the reactor was wrapped with aluminum foil to protect the emission of photon energy. Production of OH radical was measured using pCBA(p-Chlorobenzoic acid) indirectly and rate constants were withdrawn pseudo-frist order reaction. Optimum condition for the maximum production of OH radical was found to be pH 3, hydrogen peroxide of 5 mmol/L and recirculation rate of 400 mL/min. Pseudo-frist order reaction rate constant was 0.1051 min$^{-1}$. In the optimum condition, cefaclor was completely decomposed within 40 min and rate constant was 0.093 min$^{-1}$. Decomposition by OH radical producted intermediate anions such as chloride, nitrate, sulfite and acetic acid and phenylglycine. After 6 hr most cefaclor was decomposed by UV/H$_2$O$_2$ process and converted to CO$_2$ and H$_2$O, resulting of operation in the decrease of TOC and acetic acid and the disappearance of phenylglycin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Acid mine Drainage from the Abandoned Ilgwang Mine (일광 폐광산 갱내에서 유래된 산성광산배수의 중금속 유출특성)

  • Kang, Dong-Hwan;Kwon, Byung-Hyuk;Yu, Hun-Sun;Kim, Sun-Ok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0 no.1
    • /
    • pp.79-87
    • /
    • 2010
  • Field water qualities (temperature, pH, Eh, EC, DO) was monitored by 6 times March to September 2009 on background water (BW) and acid mine drainage (AMD0, AMD1, AMD2 and AMD3 points), and flow rate was measured on AMD0 point. Acid mine drainage flowed out from abandoned Ilgwang mine were high acid waters that lower than pH 3, and Eh component was ranged 400 to 600 mV. EC measured on acid mine drainage were higher over 10 times than background water, DO component was increased by reaction on the air during the water flow from AMD0 point to AMD4 point.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acid mine drainage were ordered Fe > Cu > Zn > Mn > As > Cd, and Fe concentration was highest for 81.870~474.30 mg/L. Monitoring periods measured maximum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were May for As and Cd, June for Fe, July for Cu, Zn and Mn. The periods measured minimum concentrations were monitored April for Cd and Mn, September for Fe, Cu, Zn and As. Discharge mass of heavy metal components were calculated 53.44 kg for Fe, 6.25 kg for Cu, 5.26 kg for Zn, 2.13 kg for Mn, 0.14 kg for As and 0.04 kg for Cd, respectively. Total discharge mass of heavy metal components were calculated 67.26 kg for 1 day, and Fe component was taken 79% of total mass.

Accuracy Evaluation of DEM Construction for River Region using ALS & MBES (ALS와 MBES를 이용한 하천지역 DEM 구축의 정확도 평가)

  • Kwon, O-Chul;Kwon, Jay-Hyoun;Lee, Ji-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7 no.4
    • /
    • pp.421-428
    • /
    • 2009
  • In Korea, the change of river flux due to seasons change is so considerable because of the mountainous terrain with the sharp slope and leaned rainfall. This unfavorable natural condition and the difficulties in precise grasping of the river status made the water resource management difficult so that the necessity of the precise river management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In this study, a precise river-region DEM using the latest equipments of ALS and MBES is constructed. After acquiring DEM from each senor on the river region, a single DEM was generated by combining them. Also, the field inspection was carried out in the overlapped region of ALS and MBES in order to verify the quality of DEM. The verification of DEM was carried out by comparison between TINs obtained from the combined result of ALS and MBES and the surveying result from total station at more than 10 points in the selected two test areas. As a result, NO.1-area's RMSE of 0.322m and 0.113m are obtained for NO. 1 and NO. 2 areas, respec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e feasibility of DEM construction for river region using ALS and MBES as seen in the case of NO. 2 area. At the same time, it was appeared that a better method on the data fusion should be developed as seen in the result of NO. 1 area.

Multi-stage Process Study of PEI-PDMS Hollow Fiber Composite Membrane Modules for $H_2/CO_2$ Mixed Gas Separation ($H_2/CO_2$ 혼합기체의 분리를 위한 PEI-PDMS 중공사 복합막 모듈의 다단 공정 연구)

  • Lee, Chung Seop;Cho, Eun Hye;Ha, Seong Yong;Chung, Jong Tae;Rhim, Ji Won
    • Membrane Journal
    • /
    • v.23 no.1
    • /
    • pp.1-11
    • /
    • 2013
  • Poly(ether imide) (PEI)-poly(dimethylsioxane) (PDMS) composite membranes and their modules were prepared, which are capable of selective $CO_2$ separation from the mixture gas. The gas flow rate, concentration, recovery ratio of $H_2$ and removal ratio of $CO_2$ outflowing by stage-cut were characterized at $25^{\circ}C$ and the constant pressure. In addition, to increase the recovery ratio of $H_2$, one stage, two stage series connection, and three stages series + parallel connection tests were carried out. When the stage-cut was 0.32 for the three stages connection operation, the concentration $H_2$ of the produced gas and the recovery ratio of $H_2$ was 97% and 85%, respectively. And also the removal ratio of $CO_2$ was 90% was obtained and the recycled gas concentration was similar with that of the feed gases.

Development of 80 kW RF Thermal Plasma Torch System for Mass Production and Research of Si Nano-Powder Manufacturing Process (양산용 80 kW급 RF Plasma Torch System 개발 및 Si 나노분말 제조 공정 연구)

  • Song, Seok-Kyun;Son, Byungkoo;Kim, Byunghoon;Lee, Moonwon;Sin, Myungsun;Choi, Sunyong;Lee, Kyu-Hang;Kim, Seong-In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22 no.2
    • /
    • pp.66-78
    • /
    • 2013
  • In order to develop of 80 kW RF plasma torch system, we achieved three-dimensional simulations for the extraction of more information as temperature in torch and fluid behavior analysis, etc. The position of powder injection tube, the plasma discharge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input current and various length of ceramic tube, and the plasma temperature characteristics with process gas flow rate such those was simulated. RF thermal plasma torch designed by simulation was manufactured that was measured to the maximum of 89.3 kW power. The mass production using developed 80 kW RF thermal plasma torch system were investigated by characteristics manufactured of Si nano powder. The mass-production level of Si nano-powder was average of 539 g/hr and high yield rate of 71.6%, respectively.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D_{99}/D_{50}$ of manufacturing nano-powder was investigated to 1.98 as a good uniform.

The parameter investig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odel to predict responses of vegetation to hydrological conditions (수문생태 모델의 개발을 위한 요소 검토)

  • Hong, Il;Lee, Ji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76-1080
    • /
    • 2007
  • 최근 국내에서는 하천변 생태계를 대상으로 생태구조 및 서식처 평가 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태적 변화를 예측하고 예측된 결과에 따라 생태복원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연구는 현재까지 미흡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생태복원 연구에 있어 주요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유럽과 미국에서는 수문학적 서식처 조건에 따른 식생 반응 예측 등 수문생태 모형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며, 최근에는 습지, 홍수터 등을 대상으로 생태보전 복원분야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의 수문생태모형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적용가능성 및 문제점에 대한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대상으로는 유역 내에 홍수량 분담을 위한 천변저류지를 적용하였으며, 의미상으로 홍수터(범람원), 습지 역시 해당 범위에 포함할 수 있다. 천변저류지는 홍수기와 비홍수기에 따라 활용 측면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런 맥락에서 천변저류지의 수위변화는 식생 변화의 중요한 요소(factor)가 될 수 있다. 그 외 범람시기, 범람일수, 건조기간 등을 포함한 수문요소 역시 수문생태 모델의 예측 변수인 식생 성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수문/생태시스템의 상호관계를 활용하고 모형의 형태를 국내 식생에 대한 생리학적 특성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면 국내 천변저류지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잠재적으로 식생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환경조건 예를 들면 영양물질, 토양구조, 토사 퇴적 등을 적용대상지 환경에 맞게 포함하거나 고려할 수 있다면 모형의 재현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분석된 인자들은 수달 서식지를 위한 하천정비의 기초자료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 PDF

Turbid Water Simulation Model for Downstream of the Imha and Andong Dam (임하 및 안동댐 하류하천 탁도모의 시스템 구축)

  • Noh, Joon-Woo;Kim, Jeong-Kon;Lee, Sang-Uk;Park, Sa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115-1119
    • /
    • 2007
  • 우리나라는 몬순기후대에 속하여 매년 홍수가 발생하고 이시기에 저수지로 유입된 탁수로 말미암아 저수지 인근 및 하류하천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역, 저수지, 및 하천을 포함한 포괄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유역과 저수지 그리고 저수지와 하천을 연계한 통합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탁수의 거동을 고려한 저수지 운영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안동 및 임하댐의 연계운영을 통한 하류하천 탁도관리 방안을 수립하고자 동적수질모형인 Koriv1-win 모형을 구축하여 저수지 수질모의 시스템과 연계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형은 안동댐하류로부터 구미수위표 지점까지 134 km에 달하는 구간에 대하여 구축하였으며 대상구간 내에는 내성천을 비롯 5개의 주요지천이 존재하게 된다. 그림 1에는 수리모듈 및 수질모듈의 검증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탁도모의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임하댐 관리단에서 측정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리해석결과 구미지점의 유량변동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모의되었고 수질해석결과도 관측치와 상당히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안동댐방류수와 임하댐 방류수가 혼합되는 영역에서 2차원적 흐름양상과 각 댐으로부터 방류되는 방류수의 수온과 탁도의 혼합양상을 모의하였으며 실측을 통하여 모의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저수지 하류하천에 대하여 1차원 및 2차원적 수리해석과 수질해석결과를 통하여 하천에서의 탁수전파 거리 및 고탁도 탁수의 도달 시간을 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수지 연계운영을 통한 하류단 탁도저감에 대한 계획수립이 가능하다.을 것으로 판단된다. 철거 선정 체계는 보 철거를 위해서 보 주변 지역 거주민을 설득하며, 하천의 환경 개선을 위한 합리적인 대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선정 체계를 바탕으로 주민 협의 및 대안 제시를 통해 결정된 대상 보는 선정 체계 안에서 보 철거 영향 판단 절차에 따라서 보 철거로 인한 수문, 수리, 지형, 수질, 생태 영향을 판단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사회 경제적인 영향을 평가하게 된다. 평가결과에 따라서 보를 완전히 철거하거나 다른 대안을 고려하여 보를 부분적으로 철거하거나 개량하게 된다.곳으로 1/3의 자기 생산을 담당하고 있었다. $\ulcorner$경상도지리지$\lrcorner$(慶尙道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

  • PD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requency of Appearanc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River Habitat for Otter (Lutra lutra) (수달(Lutra lutra)의 서식지 출현빈도와 하천환경의 상관관계 분석)

  • Park, Eui-Jung;Kim, Dae-Young;Jin, Young-Hoon;Kim, Chul;Lee, Doo-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63-1069
    • /
    • 2007
  • 우리나라의 하천환경은 1990년대 이전의 산업화와 인구증가를 수반한 고도성장기를 거치면서 이수성 및 치수성만을 강조하며 개수되고 관리되었다. 그 결과 하천은 획일적인 단면과 저수로 및 제방이 콘크리트화되면서 하천의 자정능력은 감소되었고, 하천을 중심으로 생활하는 동물들의 서식처 기능을 상실해 하천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하천공사에 자연형 하천공법이 도입되기 시작하여 자연형 하천공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생태환경의 관점보다는 조경 및 경관적, 그리고 위락적인 관점에서 공원화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하천의 생태적 특성의 반영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듣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의 하천공법이 자연적 기능들 중 생물서식처 기능을 보다 깊이 다루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고려하여, 먹이사슬의 최상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환경의 건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수환경의 지표종이라 불리는 수달(Lutra lutra)을 대상으로 배설물에 의한 출현빈도와 하천환경 요인들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수달 서식지 복원을 위한 하천정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수달이 서식하고 있는 섬진강 지류인 서시천을 연구 대상지점으로 하여 5개 구간을 선정하였으며, 각 구간에 대한 계절별 수달의 배설물 분포를 조사하여 출현빈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먹이, 지형, 식생, 기상인자를 포함한 하천환경 요인들에 대한 자료를 각 계절별로 구축하였으며, 이를 수달의 출현빈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는데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 기술적으로는 멸종위기종의 복원, 사회경제적으로는 하천정비사업의 방향제시 등의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리라 생각되며 분석된 인자들은 수달 서식지를 위한 하천정비의 기초자료에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따른 유량측정망을 구축하는 것이다.의 의사결정 지원 도구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 및 취득에서부터 물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파악, 물순환 개선 기법 및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 및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적용이 활발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WEP, SHER, SWMM)의 적용사례를 통하여 국내 도시하천의 물순환 해석에 활용함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적용절차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엽 경제적 태평과 함께 백자의 수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자의 확대와 발전에 걸림돌이 되었다. 둘째, 동기(銅器)의 대체품으로 자기를 만들어 충당해야할 강제성 당

  • PDF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Site by Thermal Desorption-Cryofocusing-GC/FID/FPD (열탈착-저온농축-GC/FID/FPD에 의한 도시 생활폐기물 매립장에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측정에 관한 연구)

  • Kim, Man-Goo;Jung, Young-Rim;Seo, Young-Min;Nam, Sung-Hyun;Kwon, Young-Ji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4 no.3
    • /
    • pp.274-285
    • /
    • 2001
  • In this study, the thermal desorption-cryofocusing-gas chromatographic(TD-C-GC) method was developed for determin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in ambient air and was applied at the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sites. On-column cryofocusing was possible only with a 100 ml dewars bottle in TD-C-GC method with a stainless steel column. However, high operating pressure was needed for purging VOCs from the absorbent trap, which was able to solve by pressure programming with a electric pressure controller. By using both pressure and temperature programming brought increasing of resolution power in on-column cryofocusing method, but the high pressure caused a leakage of sample tube with repeated use. A loop cryofocusing devise was also developed and compared with the direct on-column method. In loop cryofocusing method, VOCs were concentrated on a 0.8mm i.d. loop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injector and separation column by using liquid nitrogen. In order to purge VOCs from the absorbent trap, only 0.4 psi of pressure was need in the loop cryofocusing method. Dual detection system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of VOCs; a FID was used for hydrocarbons and a FPD was used for sulfur-containing compounds. Qualitative analysis was done by on-column cryofocusing GC-MS system. Among the large number of VOCs, toluene was the most abundant. Hydrogen sulfide, dimethyl sulfide, carbon disulfide, dimethyl disulfide and methyl propyl disulfide were detected at landfill site by FP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