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동안정성

검색결과 602건 처리시간 0.03초

비정상 유동을 포함한 파이프계의 안정성 해석 (Stability Analysis of Piping System Conveying Unsteady Flow)

  • 박철희;이우식;홍성철;김태룡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512-1521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유속과 압력등이 시간과 위치의 함수로 표현되는 비정상 유체 가 흐를 때 그 유동 특성이 파이프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비정상 유동을 포함한 파이프계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하고 유동 변수가 파이프계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600MW(e) CANDU PHTS Flow Instability and Interconnect Effect

  • Won Jae Lee;Jin Soo Kim;Goon Cherl Par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290-301
    • /
    • 1985
  • 600MW(e)급 CANDU형 원자로의 1차 냉각재계통은 2개의 “8자” 모양 루프로 구성되며 정상운전중 원자로 출구헤더 (ROH)의 설계 quality는 4%이다. 이러한 루프내 2부분에 압축성 유체의 존재 및 유동-quality-기포율의 정궤환 효과는 1차 냉각재계통 유동 불안정의 주요인이 된다. 계통의 안정을 위하여 설계 변경사항으로서 같은 루프의 ROH-HOH간 interconnect가 설치되었다. 본 논문은 정상운전시 1차 냉각재계통의 유동 불안정현상을 조사연구하며, 또한 interconnect가 유동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및 계통 고유의 유동 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시간 영역의 안정성 분석은 ATHER코드로부터 보완된 ATHER/MOD-I 코드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가장 보수적인 계통 모형, 즉 대칭형 루프의 유동은 발산하며, interconnect를 설치함으로써 계통의 유동 안정성은 크게 향상되어 안정된다. 그러나 보수적인 가압기 모델을 사용 분석하였을 경우라도 계통의 유동 안정성은 보장됨을 알 수 있다. 실제적인 계통 즉 가압기와 interconnect를 모사한 경우의 계통 안정성은 크게 보장된다. 결론적으로 비록 interconnect는 계통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키나 가압기 등 계통 고유의 유동 안정성은 매우 커서 interconnect가 설치되지 않았더라도 1차 냉각재 계통의 유동 안정성을 보장함을 알 수 있다.

  • PDF

비압축성 이상 유동에서 기포의 동적 안정성 연구

  • 이성재;이원재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469-474
    • /
    • 1998
  • 이상 유동 지배 방정식에 두 상의 경계면 두께 개념을 도입하여 액체 내부에서의 기포 거동에 대한 동적 안정성을 이론적으로 해석하였다. 현재까지 기포의 안정성은 실험과 거시적인 물리적 이론에 의하여만 정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상간의 압력 불연속성을 표면장력 모델링을 이용하여 해석적으로 해결 함으로서 기포 안정성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그 결과 기포의 안정성은 기존의 무차윈 Weber수 이외에 Reynolds수 그리고 유체의 점성력과 Capillary파와 관련된 무차원 수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2차원 벽면제트의 선형안정성해석 (Linear Stability of Plane Wall Jet)

  • 차정훈;박승오;김문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7
    • /
    • 2006
  • 포물형안정방정식을 이용한 2차원 벽면제트의 선형안정성해석을 수행하였다. 벽면제트유동은 노즐의 출구근방을 제외하고 경계층근사가 매우 잘 성립하며, 국소상사성의 도입으로 기본유동의 유동방향속도성분은 출구에서의 레이놀즈수에 무관하게 된다. PSE를 사용해 얻은 벽면제트의 안정성특성은 이전의 실험결과들과 좋은 일치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단순전단유동에서 Doi-Edwards 모델의 불안정성 (Hadamard Instability of the Doi-Edwards Model in Simple Shear Flow)

  • 권영돈
    • 유변학
    • /
    • 제10권3호
    • /
    • pp.160-164
    • /
    • 1998
  • 본 연구에서 Doi-Edwards 점탄성 조성방정식의 Hadamard 안정성 분석을 행하였 다. Hadamard 안정성은 방정식의 탄성 성질과 연관되는 특성으로 파장이 짧고 진동수가 큰 파동에 의한 외란 하에서 식의 안정성을 의미한다. 먼저 안정성을 위한 일반 3차원 조건을 수립하고 단순한 1차원과 2차원 외란하에서 필요조건을 구하였다. Doi-Edwards 이론을 따 르는 물질의 단순전단유동을 고려함에 의하여 순간 전단변형률이 1.8786을 넘어설 때 파장 이 짧고 진동수가 큰 외란에 의하여 불안정성이 나타남이 증명되었다. 이 안정성의 임계치 는 실제 고분자공정 뿐 아니라 실험실에서도 쉽게 도달할수 있는 값으로 이와 같은 불안정 유동은 mi-crophase separation과 같은 물리적 현상과는 관련이 있다는 증거가 없으므로 조 성방정식 자체가 지니는 수학적 모순점에 기인한 것이라 할수 있다.

  • PDF

마요네즈의 유동 특성과 유화 안정성에 미치는 초산 농도의 영향 (Effects of Acetic Acid Concentration on Rh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mulsion Stability of Mayonnaise)

  • 배효미;오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13
    • /
    • 1989
  • 초산용액의 초산농도를 0, 1, 2, 4, 6%로 변화하여 제조한 마요네즈의 유동 특성, 유화 안정성, 색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마요네즈의 유동은 항복응력을 가지는 소성유동이며, 초산농도가 높아질수록 항복응력 및 점주도지수가 커져서 초산농도가 높아질수록 마요네즈의 물성이 점주해지는 것을 나타내었다. 마요네즈의 유화안정성은 초산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초산노도 4%일 때 가장 안정성이 낮았다. 색도는 초산함량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이 증가하고 b값(yellowness)은 감소하였다.

  • PDF

연소 반응을 가지는 후류 유동의 불안정성 (Stability Analysis of Wakes with Chemical Reaction)

  • 신동신;홍성제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0-37
    • /
    • 1998
  • 연소 반응을 가지는 비압축성 및 압축성 후류유동에 대하여 선형 불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따. 기본유동의 속도장 및 온도장은 해석적 함수 및 연소 반응을 포함하는 유동 계산의 결과를 사용하였다. 후류유동은 두 개의 변곡점을 가지며 sinuous mode와 varicose mode의 두 개의 불안정성 모드가 존재한다. 후류유동에서는 sinuous 모드가 varicose 모드보다 더 불안정하여 자유 유동에 가까운 위상 속도를 가지는 sinuous 모드에 의해 지배된다. 해석적 함수의 형태를 가지는 후류 유동의 경우 속도구배가 클수록, 밀도구배가 클수록 운동량의 차이가 커지므로 더욱 불안정하여진다. 계산되어 일관된 유동장과 온도장을 사용한 비압축성과 압축성 후류유동의 경우 모두 완전연소에 가까울수록 유동장의 온도가 증가하고 유체의 점성의 증가로 유동이 안정되어진다. 압축성 후류유동의 경우에는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점성소산에 의한 열발생으로 유동이 안정되는 경향을 보인다.

  • PDF

비압축성 Navier-Stokes 방정식의 해석을 위한 MQUICK 상류해법 (MQUICK Upwind Scheme for the Incompressible Navier-Stokes Equations)

  • 신병록;정소추 이명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1-52
    • /
    • 1999
  • 이 논문에서는, QUICK해법의 불안정성을 개량하므로써, 수치계산에 있어서 수렴이 빠르고, 수치적으로 안정한 계산을 할 수 있는 새로운 MQUICK 상류해법을 제안하고, 이를 비압축성 층류유동의 계산에 적용하였다. 또한, 해법의 정확성, 안정성, 수렴속도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본 MQUICK 상류해법의 유효성과 타당성이 평가되었다. 이 해법에서는 인공산일의 가감을 조절하기 위하여 가중계수 α를 써서 정식화 하였고, 위의 검토를 통하여 α의 최적값을 조사하였다. 이 해법을 SMAC 음해법에 적용하여 2 차원 공동유동, 3 차원 덕트유동과 같은 몇몇 표준문제를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를 실험값 또는, 3 차 정확도의 상류해법 및 QUICK해법에 의한 결과 들과 비교 하므로써, 본 MQUICK 상류해법이 위의 다른 해법에 비하여 안정하고, 유효성이 높은 해법임을 확인 하였다.

  • PDF

완전 연동된 수리지질역학적 모델을 이용한 사면 내의 지하수유동과 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강수의 영향 평가 (Evaluation of Rainfall Impacts on Groundwater Flow in Slopes and Slope Stability Using a Fully Coupled Hydrogeomechanical Model)

  • Kim, Jun-Mo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19-526
    • /
    • 2000
  • 강수량 변동에 따른 사면 내의 지하수유동과 사면의 안정성 변화를 동시에 분석.평가하기 위하여 하나의 완전 연동된 수리지질역학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 모델은 변형성 지질매체 내에서의 지하수유동을 설명하는 일련의 지배식들과 Galerkin 유한요소법에 기초하여 개발되었다. 1990년부터 1999년까지의 서울지역의 건기 (1월) 및 우기 (8월) 강수량 하에 있는 토양 사면에 대해 개발된 모델을 적용하여 일련의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치실험의 결과는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면의 수리역학적 안정성이 전반적으로 악화됨을 보여준다. 즉 강수량이 증가할수록 공극수압이 증가하고 지하수면이 상승한다. 그 결과 불포화대가 축소되고 삼출면이 팽창되며 사면의 전단부를 따라 지하수유동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동시에 강수량이 증가할수록 사면 전단부를 향해 전반적인 변위량이 증가한다. 그 결과 안전율이 1 이하인 불안전한 지역이 사면 전단부에서 사면 상부 쪽으로 전파.팽창되며 그 두께도 증가한다. 수치실험의 결과는 또한 사면의 표면에서는 전단파괴와 더불어 인장파괴도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등온 수직 원통표면을 연하여 흐르는 자연대류 유동의 파형 불안정성 (Instability Analysis of Natural Convection Flow along Isothermal Vertical Cylindrical Surfaces)

  • 유정열;윤준원;노승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61-169
    • /
    • 1989
  • 본 연구의 목적의 하나는 기본 유동장과 온도장의 비평행성을 고려함으로써 등온 수직 원통표면 바깥에서의 자연대류 유동의 파형 불안정성에 대한 안정성 문제를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기본 유동양들의 평행성을 고려한 단순화 가정하에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안정성 특성에 대한 원통 곡률의 영향을 정성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