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 화합물

검색결과 1,393건 처리시간 0.024초

TCE와 그 외 몇 가지 휘발성유기화합물 처리에 관한 자외선 광화학분해 특성 고찰 (A Study on Photo-oxidation of Trichloroethylene(TCE) & another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Air)

  • 정창훈;서정민;김찬훈;안병주;최금찬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5-266
    • /
    • 2000
  •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은 새로운 유형의 스모그의 광화학반응 촉진제로서의 작용 및 환경학적 문제점들을 제기하고 있으며 공단 주변의 악취발생 및 환경 오염사건등을 유발시키고 있다.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지대책의 여러 가지 방법들이 국내외적으로 활발히 연구되어지고 있다. 산업현장에서 이들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기술 보유 및 개발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미비한 단계에 있으며 보유기술의 현장적용의 측면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지니고 있는 특이한 물리적 성질 등에 의해 많은 어려움을 가진다. (중략)

  • PDF

Model-System으로서의 몬트모릴로나이트의 층간화합물에 한 연구(V) (A Study of Intercalations-complex of Montmorillonite as Model-system (V))

  • 조성준
    • 공학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19-12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양이온교환방응에 의해 몬모릴로나이트 층 내의 금속 양이온을 긴 알킬 사슬을 갖는 유기 양이온으로 치환시켜 물성이 전혀 다른 유기 점토화합물인 몬모릴로나이트 층간 화합물을 합성한 후, 이 층간화합물을 증류수, 메탄올, 아세톤, 에테를 및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상이한 팽윤액체와 반응시켜 팽윤거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연구에 사용된 점토로는 한국산과 터키산의 두 가지 상이한 몬모릴로나이트를 선정하여 두 점토의 층간화합물 및 팽윤거동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 PDF

해수 중 용존 아연의 화학적 존재 형태 연구 동향 (Review of Chemical Speciation of Dissolved Zinc in Seawater)

  • 김태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5권3호
    • /
    • pp.67-80
    • /
    • 2020
  • 해양 환경에서 용존 미량금속 원소 중 하나인 아연(Zn)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필수적인 미량영양염으로 알려져 있다. 외양 표층에서 대부분의 용존 아연은 용존 유기배위자와 강하게 결합하여 아연-유기착화합물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생물 가용한 자유이온 형태의 아연(Zn2+)의 농도는 총 아연 농도의 5% 이내로 존재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아연의 화학적 존재 형태에 대한 개념과 측정 방법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 주요 연구 사례를 통하여 미량금속의 화학 종조성이 해양 생지화학에 미치는 영향 및 의미, 아연-유기착화합물이 아연의 생물가용성에 미치는 영향, 아연과 결합하여 유기착화합물을 형성하는 용존 유기배위자의 기원에 대해 기술하였다.

전자선 조사한 캠벨얼리 포도(Vitis labrusca L.)의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Effect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Vitis labrusca L.)

  • 심성례;노기미;김경수;송기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1-159
    • /
    • 2010
  • 전자선 조사에 따른 캠벨얼리 포도의 휘발성 유기성분의 조성과 저장 후(0, 30일)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캠벨얼리 포도에 0.25, 0.5, 0.75 및 1 kGy의 선량으로 전자선 조사한 후 SDE 방법으로 휘발성 유기성분을 추출하고 GC/MS로 분석하였다. 포도와 전자선 조사된 포도의 주요 화합물로는 butanol, hexanal, [E]-2-hexenal, hexanol, 3-methyl-butanol 등이 동정되었으며 전자선 조사에 따른 전체적인 휘발성 유기성분의 조성은 변화가 없었고 정량적인 변화만 관찰되었다. $4^{\circ}C$에서 30일 동안 저장된 포도에서는 대부분의 화합물의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추숙의 영향으로 일부 ester 류 및 aldehyde 류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일부 화합물의 감소와 증가는 조사선량과 관계없이 불규칙적인 양상을 나타내어 전자선 조사가 저장된 포도의 휘발성 유기성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전자선 조사된 포도의 휘발성 유기성분은 1 kGy 이하 선량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위생화 처리 방안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 방법을 통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광양만의 유기주석화합물 오염과 생물농축

  • 심원준;김남숙;임운혁;홍상희;오재룡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
    • /
    • pp.25-32
    • /
    • 2002
  • 유기주석화합물은 선박방오도료에 살생물제로 쓰이는 독성이 강한 물질로서 내분비계장애물질의 일종으로 알려지고 있다. 광양만에서 유기주석화합물의 오염현황을 파악하고자 표층퇴적물 및 생물체 중의 농도를 정성 및 정량분석하였으며,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복족류의 임포섹스(암컷에서 수컷의 성기가 발현되는 현상)를 측정하였다. 표층퇴적물 및 생물체 체내에서 phenyltin은 일부 정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검출한계 이하의 값을 보였으나, butyltin은 대부분의 정점에서 검출되었다. 표층퇴적물, 참굴, 대수리 체내의 tributyltin (TBT)의 농도는 각각 미검출-29 ng/g, 178-2458 ng/g, 47-236 ng/g 범위를 보였다. TBT 화합물의 공간적인 분포는 선박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항구가 위치한 여수 인근을 제외하고는 광양내만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한편 대수리 중의 임포섹스는 11개 정점에서 모두 관찰되었으며, 상대성기길이 지수는 47.9-107.8%의 범위를 보였다.

  • PDF

유기-무기 혼성화합물로 부터 정육면체 Cu2O 합성 (Synthesis of Cubic Cu2O from Organic-Inorganic Hybrid)

  • 허영덕;송하철;국원근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0-64
    • /
    • 2006
  • 구조의 유기-무기 혼성화합물 Cu2(OH)3(CH3COO)·H2O를 선구물질로 사용하여 Cu2O를 합성하였다. 75oC의 수용액에서 Cu2(OH)3(CH3COO)·H2O를 글루코오스로 환원시켜서 정육면체 Cu2O를 합성하였다. 선구물질과 글루코오스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Cu2(OH)3(CH3COO)·H2O의 구조는 균일한 크기의 Cu2O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추(Allium tuberosum R.)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성분 변화 (Effect of γ-Irradiation o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Leek (Allium tuberosum R.))

  • 한병재;양숙영;김준형;심성례;;이성진;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13-51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부추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조사되지 않은 부추와 20 kGy의 선량으로 조사된 부추를 SDE방법으로 유기화합물을 추출한 후 정유를 GC/MS로 분석하였다. 비조사 시료와 조사시료에서 각각 56종 ,54종의 화합물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alcohol류, aldehyde류, ester류, ketone류, 함질소화합물과 함황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조사된 부추에 함유된 특징적인 휘발성 유기성분은 조사되지 않은 부추에서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그 농도에 있어서는 눈에 띄는 차이를 보였다. 두 시료 모두에서 함황화합물이 다량 검출되어 주요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성분들 중에서 다량의 dimethyl trisulfide와 methyl-(Z)-1-propenyl trisulfide가 함황화합물의 상대적 농도에 크게 기여하고 그 외 dimethyl disulfide, 3-ethyl-1,2-dithi-1,2-ene, methyl allyl disulfide와 (E)-2-hexanal도 휘발성 유기성분의 조성에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 중 주된 화합물로 확인된 dimethyl trisulfide와 methyl-(Z)-propenyl trisulfide는 조사된 후 크게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외에도 (E)-2-hexanal과 3-ethyl-1,2-dithi-5-ene, diallyl trisulfide 역시 눈에 띄게 감소하였다. 이에 반하여 dimethyl disulfide는 조사 후 그 함량이 크게 증가하여 앞의 화합물들과는 다른 경향을 보였으며, 이외에도 diallyl sulfide와 allyl methyl sulfide, pyridine 등도 크게 증가하였다.

은행(Ginkgo biloba L)의 잎으로부터의 Flavonoids 화합물의 선택적 흡착 (Selective Adsorption of Flavonoids Compounds from the Leaf of Ginkgo biloba L.)

  • 윤성용;최원재박종문
    • KSBB Journal
    • /
    • 제11권6호
    • /
    • pp.726-732
    • /
    • 1996
  • 은행나무( Ginkgo bilaha 1.)의 잎으로부터 flavo­n noids 화합물틀을 Amberlite XAD-7으로 흡착시 키 는 최적 조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흡착제의 투입량, 수용액의 pH, 수용액의 조성 등의 흡착 조 건을 달리 하면서 flavonoids 화합물들의 흡착 경향 을 조사한 결과 20% 의 에탄올이 첨가된 pH 5.0의 수용액에 XAD-7이 15g/L의 양으로 투입된 경우 가장 선택적인 흡착이 이루어졌다. 이 경우 유기용 매 추출에 비해 약 98% 이상의 flavonoids 화합물 이 XAD-7에 흡착되었으며 selectivity도 약 50% 이상 증가된 85%를 나타내었다. 잎 내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화합물들 중 극성인 물질들은 수용액 내 에 용해되어 분리가 이루어졌고 flavonoids 화합물 에 비해 비극성인 지용성 물질들과 polyphen이류 등 은 흡착제가 투입되면 hydrophobic attraction에 의해 aggregation을 이루면서 석출이 되었다. 이로 인해 flavonoids 화합물들만이 흡착제로 이통하게 되 었다. 이와 같은 흡착 공청은 기존의 유기용매 추출 법에 비해 공정에 소요되는 경비와 시간을 크게 감 소시켜 새로운 분리 방법의 지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옥포만내 퇴적물, 해수 및 참굴 중의 유기주석 화합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Organotin Compounds in Sediments, Seawater and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Okpo Bay)

  • 홍상희;심원준;이수형;이인숙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1호
    • /
    • pp.19-26
    • /
    • 2001
  • 대형조선소가 위치한 옥포만내 퇴적물, 해수, 참굴(Crassostrea gigas) 중의tributyltin(TBT)과 triphenyltin(TPhT), 그리고 분해산물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퇴적물과 참굴 내 TBT 농도는 각각 5~2,650 ng/g, 387~l,190ng/g dry wt.(as Sn)으로 검출되었다. 해수 중의 TBT 화합물은 19~84 ng/ $\ell$ 농도범위를 나타내었다. 조선소 내 dry-dock에 인접한 정점에서 최고값을 보이며, 조선소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농토분포를 나타내었다. 이는 조선소가 옥포만내 주 오염원임을 의미한다. 퇴적물 중의 TBT 화합물의 구성비는 약 57%로 dibu-tyltin(DBT)와 monobutyltin(MBT)보다 높게 나타났다 만을 가로지르는 방파제를 경계로 하여 부틸주석 화합물(butyltin)의 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방파제가 옥포만 내 유기주석 화합물의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페닐주석화합물은 참굴 중 nd-52 ng/g으로 검출되었으며, 퇴적물과 해수의 전 정점에서 검출한계 이하의 값을 보였다. 참굴 중의 TBT 농도는 대조구인 해금강의 시료보다 높은 값을 보였고, 생물농축계수(biological concentration factor, BCF)는 1.1$\times$$10^4$의 값을 보였다.

  • PDF

저온 플라즈마 처리된 투과증발막의 부탄올 분리/농축 연구 (Butanol Separation/Concentration by Plasma Treated Pervaporation Membrane)

  • 김현영;임군택;김성수
    • 멤브레인
    • /
    • 제10권4호
    • /
    • pp.198-204
    • /
    • 2000
  • 생물 발효 공정에서 생산되는 부탄올 수용액으로부터 부탄올을 농축시키기 위한 투과증발 공정의 flux와 선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온 plasma 처리 공정으로 막을 제조하였다. 플라즈마 처리 조건인 공급 power, 반응 시간, 단량체 공급 속도 등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여 (W/FM)t의 최적값이 4.0389$\times$10(sup)9 J.min/kg임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최적의 막 제조 공정을 확립하였다. 여러 가지 유기 화합물로서 저온 플라즈마 처리된 막에 대하여 부탄올 분리 성능을 조사하였으며, 플라즈마 처리된 막에 대하여 물과 부탄올의 상대적 sorption 비와 접촉각을 측정하여 표면 분석을 하고자 하였으며, 그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접촉각과 상대적 sorption 비가 증가함에 따라 부탄올의 선택도는 0.186에서 3.525로 향상되었고, 부탄올 질량 flux는 0.042에서 0.567 kg/$m^2$.hr로 향상됨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막의 소수서이 증가함에 따라 막과 부탄올과의 친화력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용된 유기 화합물과 물 또는 부탄올과의 친화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heat of mixing을 측정하여 분리 성능과 비교하였으나 뚜렷한 경향성을 얻지 못하였다. 이것은 플라즈마 처리 시 유기 화합물이 분해되어 새로운 화합물을 형성하게 되어 유기 화합물 본래의 특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