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생지식

검색결과 485건 처리시간 0.028초

경남 일부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anitary Knowledge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Gyeongnam)

  • 안정미;김현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139-1147
    • /
    • 2013
  • 본 연구는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1년 5월 13일부터 6월 10일까지 창원시 진해구에 소재하고 있는 초 중 고등학교 32개 학교의 조리종사원을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총 276부가 회수(회수율 92%)되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의 평균 점수는 16.60점(20점 만점 기준)이었다.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5), 학교형태(P<0.001), 일일 급식횟수(P<0.001)에 따라서는 위생지식이 차이를 보여 조리사 자격증이 있는 집단이 위생지식 수준이 높았으며, 고등학교의 위생지식 수준이 초 중학교의 위생지식 수준보다 높았고 하루 2 3식을 제공하는 학교가 1식 제공하는 학교보다 위생지식 수준이 높았다. 둘째, 전체 위생관리 수행도는 4.77점(5점 척도 기준)이었으며, 영역별로는 교차오염(4.88)> 배식관리(4.83)> 채소소독관리(4.81)> 세척관리(4.77)> 냉장 냉동관리(4.72)> 개인위생 관리(4.69)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리사 자격증 소지 여부(P<0.05), 1일 학생 급식인원수(P<0.001), 일일 급식횟수(P<0.05)가 전체 위생 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조리사 자격증을 소지한 집단이 미소지 집단보다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았으며, 1일 학생 급식인원수 701~1,100명인 집단이 700명 이하인 집단보다 수행도가 높았고, 1일 급식회수가 2 3식인 집단이 하루 1식을 제공하는 집단보다 수행도가 높았다. 셋째,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도의 관계 분석 결과 우선 위생지식 점수 수준이 높은 집단의 위생관리 수행도가 평균 4.85로 나타나 위생지식 점수 수준이 낮은 집단(4.66)에 비해 위생관리 수행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P<0.001). 또한 위생지식은 위생관리 수행도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위생지식이 높은 조리종사원이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생지식이 위생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7.6%로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어(P<0.001) 위생지식이 위생관리 수행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이 높을수록 위생관리 수행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조리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와 일일 배식횟수가 2 3식인 조리종사원의 위생지식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조리사 자격증이 없는 경우와 배식횟수 1식인 종사원에 대한 교육이 좀 더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급식위생에 있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한 개인위생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수행도가 낮게 나타났으므로 향후 경남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원 대상 위생교육 시 개인위생에 대한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조리사 자격증이 없으며, 학생수가 적고 일일 배식횟수가 적을수록 위생관리 수행도가 낮게 조사되었으므로 이들을 위한 반복적인 위생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동시에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낮은 수행도의 원인을 밝혀 개선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위생지식이 위생관리 수행도에 영향 미치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향후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위생교육의 실시를 통하여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수준의 향상이 이루어질 때 궁극적으로 위생관리 수행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조리 종사원의 위생 지식과 위생 관리 수행도간의 관계에서 위생 교육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anitation Educ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anitation Knowledge an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of Culinary Employees)

  • 김동진;김기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1-307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단체급식의 위생 및 식품안전에 질적 향상을 위해 단체급식 조리 종사원의 위생 지식 정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조리 종사원의 위생 지식이 위생 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위생 지식과 위생 관리 수행도의 관계에서 위생 교육의 필요성, 이해도, 만족도, 적용도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대구 경북 지역의 36개소 단체급식소(중 고등학교, 대학교, 기업체, 병원) 등의 각 업체마다 100부의 설문지를 각각 배포하였고, 361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조리 종사원의 위생 지식은 개인 위생 지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위생 지식과 위생 관리 수행도 간은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위생 지식이 위생 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위생 교육의 필요성은 긍정적인 조절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위생 교육의 이해도, 만족도, 적용도는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렇지만, 개인 위생 지식을 제외한 식품 보관 지식, 식품 취급 지식, 기기 및 기구 취급 지식이 위생 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4개 조절변수가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였다.

  • PDF

전주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Sanitary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Jeonju)

  • 한은희;양향숙;손희숙;노정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210-1218
    • /
    • 2005
  • 본 연구는 전주시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에 대한 위생교육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전주시 초$\cdot$$\cdot$고 급식학교 88개교의 조리종사자 508명을 대상으로 2002년 11월 13일부터 11월 28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0.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리종사자의 연령층은 41세 $\∼$50세가 62.2$\%$로 많았고, 84.4$\%$가 임시직으로 근무하고 있었으며 학교급식 경력은 10년 미만이 3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52.4$\%$로 가장 높았고 54.1$\%$가 조리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다. 위생교육 경험은 84.0$\%$가 월1회 이상 교육을 받고 있었으며 82.8$\%$가 교육받은 내용을 작업 시 적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평가 결과는 개인위생관리영역에서 정답율(91.1$\%$)이 가장 높았으나 생산단계별영역은 75.3%으로 가장 낮았다 조리종사자의 인적특성이 위생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령과 학력은 위생지식 전체영역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p<0.01),특히 생산단계별 위생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경력은 기기설비위생영역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p<0.05), 5년 미만의 그룹이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자격증 소지여부도 위생지식 전체영역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었으며(p<0.05), 생산단계별위생영역에서 자격증을 소지한 집단이 유의적으로(p<0.01)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조리종사자 위생관리수행수준 평가결과 기기설비위생(4.90/5점 ), 식중독 및 미생물(4.86/5점), 개인위생(4.79/5점), 생산단계별위생(4.70/5점)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조리종사자의 인적특성이 위생관리 수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고용상태는 개인위생(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경력은 기기설비위생(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학력은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생산단계별위생(p<0.05), 기기설비위생(p<0.01)등 위생관리 수행수준 전체영역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위생교육 횟수는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생산단계별위생(P<0.01), 식중독 및 미생물(P<0.05) 및 위생관리 수행수준 전체영역(p<0.01)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근무학교별로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과 위생관리 수행수준을 조사한 결과, 위생지식에 있어서는 중학교에 근무하는 조리 종사자가 개인위생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고(p<0.01), 생산단계별위생에서는 초등학교 조리종사자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1). 위생관리수행수준에 있어서는 개인위생(p<0.01)과 기기설비위생(p<0.01)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초등학교 조리종사자의 기기설비위생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점수와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위생지식의 기기설비위생은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합계(p<0.01)에서 유의적인 상관관계(p<0.01)를 나타내었으며, 위생지식의 식중독 및 미생물은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개인위생(p<0.01)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생지식의 점수합계는 개인위생(p<0.05)과 식중독 및 미생물(p<0.05)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이 위생관리 수행수준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위생관리 수행수준의 합계가 위생지식의 기기설비위생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p<0.001), 설명율은 2.4$\%$로 매우 낮아 거의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위생관리 수행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행되고 있는 위생교육이 전체적인 위생습관의 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지식의 전달에만 그치고 있으며 내용면에 있어서도 편중된 교육이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조리종사자의 연령 및 교육수준, 근무경력 등을 고려한 실제적인 위생교육 내용을 구성할 필요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평가결과, 식중독 및 미생물 영역의 점수가 매우 낮아 위생지식 개념부족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의 우려가 높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 및 훈련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관련 지식 확산 (Diffusion of Knowledge Related to Systemic Disease among Dental Hygienists)

  • 김영진;임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7
    • /
    • 2016
  • 이번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지식 확산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종합(대학)병원 치과, 치과 병 의원 및 보건(지)소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11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31일부터 9월 20일에 걸쳐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으며 회수된 자료는 서술통계와 t-검정,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관련 지식 정도는 전체 평균 0.64점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신질환 지식에서는 연령, 학력, 경력, 교육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관련 지식에 대한 유용성 인식 정도는 전체 평균점수가 0.61점(1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전신질환 관련 지식의 유용성 인식에서는 연령(p<0.001), 학력(p<0.01), 경력(p<0.001), 교육경험(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관련 지식에 대한 실무적용 정도는 전체 평균 0.86점(2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전신질환 관련 지식 실무적용에서는 연령(p<0.01), 학력(p<0.01), 경력(p<0.01), 교육경험(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지식 확산정도는 2.17점으로 '실무에 유용하다고 생각함' 단계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 지식의 확산 과정을 파악하고 장애요인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치과위생사에게 전신질환 지식에 대한 실무 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위탁급식업체 조리종사자의 위생교육과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수행도 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anitary Education, Sanitary Knowledge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f Cooks in Contracted Foodservices: Focusing on Busan & Gyeongnam Region)

  • 성태종;최선경;김기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5-119
    • /
    • 2014
  • 본 연구는 위탁급식업체의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위생교육 횟수, 위생교육의 필요성, 위생교육의 만족도, 위생교육의 이해도, 위생교육의 적용도가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이 위생관리수행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에 위치한 공장, 대학교, 병원, 오피스, 관공서 등의 위탁급식업체 31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10월 1일부터 2012년 10월 15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320부를 배포하였고, 302(94.3%)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부실 기재된 13부를 제외한 289부(90.3%)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조리종사자들이 지각하는 위생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질수록, 위생교육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아질수록, 위생교육에 대한 적용도가 높아질수록 위생지식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위생교육에 대한 만족수준이 위생지식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리종사자들의 위생지식 수준이 향상될수록 그들의 위생관리수행도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 윈도우 베이커리의 위생 교육, 위생 지식과 위생 관리 현황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Education, Knowledge and Management levels about Sanitation at Window Bakery in the Metropolitan Area)

  • 황윤경;우인애;이희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8-165
    • /
    • 2012
  •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 윈도우 베이커리 종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위생 교육, 위생지식과 위생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설문문항은 위생 지식과 위생 교육, 위생 관리 수행 현황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조사하였고 회수된 295개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위생 지식 분석에서 가장 높은 정답률을 얻은 문항은 '손톱은 짧게 깎고 매니큐어를 바르지 않는다' 였으며,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인 항목은 '식중독은 여름철에만 일어난다' 로 67.8%로 나타났다. 조사자들의 위생관리수행 정도에서 '손톱은 짧게 깎고 매니큐어 등을 바르지 않는다'와 '화장실을 사용한 후에는 손을 씻는다.'는 위생지식 정도와 마찬가지로 가장 높은 수행정도(4.67)를 나타내었다. 위생지식 점수에서 낮은 정답률을 보였던 '손세척기를 갖추어 사용한다'(3.12)는 위생 관리 수행 정도에서 가장 낮은 순위를 나타나고 있었다. 직급에 따른 위생 지식 정도는 개인위생, 시설 및 작업장 위생, 재료 및 제조 위생에서 공통적으로 대표 또는 공장장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근무기간이 1년 이하인 경우 위생 지식수준이 높았으며, 위생교육의 횟수가 많을수록 위생지식 정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5), 위생 관리 수행정도를 조사한 결과 개인위생이 가장 높고 그다음으로 재료 및 제조 위생, 시설 및 작업장 위생의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 연수에 따른 수행정도에서는 1년 미만인 경우 수행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생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는 경우 위생관리 수행 정도에서는 유의적(p<0.05)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연령, 직급, 위생 교육 횟수, 체크 리스트 유무에 따라 베이커리 위생 수행정도를 각 문항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위생교육을 받지 않았거나 체크리스트가 없는 경우 수행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 PDF

치과의 조직구조와 조직문화가 치과위생사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ntal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knowledge sharing in dental hygienist)

  • 오세진;이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313-320
    • /
    • 2015
  • 본 연구는 치과병 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지식공유에 조직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전국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349명으로,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해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ne-way ANOVA와 multiple regression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직문화 하위요인 중 관계지향문화와 지식공유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치과위생사의 지식공유가 업무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일부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업무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치과위생사의 지식공유를 위한 치과조직형성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치과 내원환자들의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가 치과위생사의 사회적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ental Patients' Perception about Dental Hygienist on the Social Demand of Dental Hygienist)

  • 최정미;이은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92-403
    • /
    • 2012
  • 부산, 경남 지역 성인의 일반적 특성과 치과이용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고,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와 요구도를 파악하여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치과위생사의 정체성 확립에 이바지 하고 치과위생사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임의로 선정한 부산, 경남 지역의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치과이용 특성,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와 요구도간의 연관성을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위생사에 대한 명칭을 인식하고 있는 대상자는 69.8%였으며, 치과위생사의 교육과정은 대부분 전문대 70.5%로 인식하고 있었다. 치과위생사를 구별하는 방법은 42.5%로 복장(가운, 명찰)을 보고 판단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치과위생사를 간호사로 호칭을 부르는 경우 27.6%로 가장 많았으며, 치과의료기관을 방문했을 때 치과위생사로부터 받아본 서비스를 복수응답으로 물었을 때 예방업무 58.2%가 가장 많았다. 2. 치과위생사에 대한 인식도를 척도형으로 조사했을 때 이미지 요인은 '전문직이다'가 가장 높았고, 역할 요인은 '환자의 문제를 잘 파악하여 치료의 과정, 결과, 효과에 대해서 말해준다'가 가장 높았으며, 지식 요인은 '병원 서비스에 대한 친절 교육을 받는다'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치과위생사에 대한 요구도를 척도형으로 조사했을 때 이미지 요인은 '친절하면 좋겠다'가 가장 높았고, 역할 요인은 '업무전문성과 숙련도가 좋았으면 좋겠다'가 가장 높았으며, 지식 요인은 '치과치료에 필요한 주기적인 교육을 받으면 좋겠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50대가 치과위생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았으며, 20대, 대학교졸, 전문직이 치과위생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았다. 학생이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역할에 대한 요구도는 학생이 가장 높았으며, 주부가 치과위생사의 지식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종합병원이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았으며, 방문횟수 10회 이상이 치과위생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았고, 자가치료, 구강건강 관심도 '매우 많은 편이다' 가 치과위생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도는 가장 높았다. 자가치료가 치과위생사의 이미지, 역할, 지식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높았고, 방문횟수 5~9회가 치과위생사의 이미지에 대한 요구도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치과위생사의 역할(${\beta}$=0.273)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하면 이미지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고, 치과위생사의 이미지(${\beta}$=-0.144)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하면 이미지에 대한 요구도는 감소한다. 치과위생사의 역할(${\beta}$=0.228), 지식(${\beta}$=0.205)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하면 역할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고, 이미지(${\beta}$=-0.137)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하면 이미지에 대한 요구도는 감소한다. 치과위생사의 지식(${\beta}$=0.224)에 대한 인식도가 증가하면 지식에 대한 요구도도 증가한다.

가정배달 노인급식 수혜자의 위생지식 및 가정에서의 위생관리 습관 (Food Safety Knowledge and Home Food Safety Practices of Home-delivered Meal Service Recipients)

  • 이경은;이나영;박정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18-62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배달 노인급식 수혜자의 위생지식수준과 가정에서의 위생관리 수행도를 조사하는 것으로 서울지역에서 가정배달 노인급식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복지관과 종합사회복지관 2곳을 선정하고 수혜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120명을 선정하였고 조사에 참여한 97명의 응답을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응답자의 대부분은 여성이었고, 70세 이상이었으며, 초등학교 졸업이하의 학력을 보였다. 절반가량이 혼자 살고 있었고, 여러가지 만성질환으로 약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스스로도 자신의 건강을 좋지 않게 인식하고 있었다. 위생지식 평가 결과 손 씻기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지식은 부족하였고, 가열처리 없이 섭취하는 과일의 세척, 소독 방법, 남은 음식의 보관 방법, 행주의 사용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배달급식을 받는 노인들의 가정 내에서 위생관리 수행도 평균 점수는 2.8점으로 높지 않았다. 남은 음식의 완전한 재가열, 유통기한 준수가 가장 잘 수행되고 있는 반면, 손 상처의 부적절한 처리, 행주와 도마의 관리, 달걀 등 오염도가 높은 식품 취급 후 손 씻기가 잘 수행되고 있지 않았다. 급식 수혜노인의 위생지식과 식품 취급습관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일반 사항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위생지식 총점과 수행도 평균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세부 영역별로는 구분사용과 세척 및 소독 위생지식이 관련 수행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독거노인과 노인가정이 증가하면서 가정에서 노인들의 식품취급은 증가할 것이고, 외부에서 조리된 음식을 가정에서 섭취할 경우에도 섭취 전까지 보관이 식품의 안전성 확보에 중요하므로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위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본 연구 결과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효과적인 위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는 위생교육을 통해 습득된 위생지식이 실생활에서 실천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역시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생리 및 위생분야 교과용도서의 근대적 주거지식(1894-1910) (Knowledge of Modern housing of the Textbooks for Physiology and Hygiene in Korea 1894-1910)

  • 김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28-1333
    • /
    • 2008
  • 개항 이후 이과 및 박물과목에서 교수된 생리 및 위생분야에 사용된 교과용도서 안에 포함된 주거에 관한 새로운 지식은 모두 위생문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채광, 환기, 건조 등의 조건이 중요한 조건으로 제시되고 이런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주거의 위생적 관리 및 계획에 관한 간단한 내용이 등장한다. 이들 내용을 생리 및 위생분야 안에서도 장기설, 인체생리학, 공기의 성질에 관한 물리 화학적 지식 등을 근거로 삼아 전개되었기에, '과학적'이고 '근대적'인 지식으로서 보급되었다. 또한 이후 일제강점기 근대적 주거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도 생리 및 위생분야 교과용도서에서 다루어진 채광, 환기, 건조 등의 항목은 중요한 주거계획 요건으로 취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