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anitation Educ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anitation Knowledge an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of Culinary Employees

조리 종사원의 위생 지식과 위생 관리 수행도간의 관계에서 위생 교육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9.10.09
  • Accepted : 2010.02.15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nitation knowledge level in culinary employees for institutional food service and to examine influential relationship of their sanitation knowledge upon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in order to qualitatively enhance sanitation and food safety in institutional food service. In addition, it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necessity, understanding, satisfaction, and application levels of sanitation edu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nitation knowledge an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1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widely distributed to 36 institutional food service centers(middle-high schools, universities, enterprises, and hospitals) in the Daegu Gyeongbuk areas. Among them, 36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the sanitation knowledge of culinary employees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individual sanitation knowledg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sanitation knowledge an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Also,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was indicated in the necessity of sanitation education considering individual sanitation knowledge an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However, understanding, satisfaction, and application levels of sanitation education didn't show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Nevertheless, four moderating variables show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food storage knowledge, food handling knowledge and utensils and tools knowledge except for individual sanitation knowledge on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본 연구는 국내 단체급식의 위생 및 식품안전에 질적 향상을 위해 단체급식 조리 종사원의 위생 지식 정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조리 종사원의 위생 지식이 위생 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위생 지식과 위생 관리 수행도의 관계에서 위생 교육의 필요성, 이해도, 만족도, 적용도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대구 경북 지역의 36개소 단체급식소(중 고등학교, 대학교, 기업체, 병원) 등의 각 업체마다 100부의 설문지를 각각 배포하였고, 361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조리 종사원의 위생 지식은 개인 위생 지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위생 지식과 위생 관리 수행도 간은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위생 지식이 위생 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위생 교육의 필요성은 긍정적인 조절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위생 교육의 이해도, 만족도, 적용도는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렇지만, 개인 위생 지식을 제외한 식품 보관 지식, 식품 취급 지식, 기기 및 기구 취급 지식이 위생 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4개 조절변수가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