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상기하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Geometrical Glue Operation between Non-manifold Models (비다양체 모델간의 기하학적 접합 연산에 관한 연구)

  • Park, Sang-Ho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4 no.1
    • /
    • pp.11-19
    • /
    • 1998
  • Non-manifold topological operations such as Euler and Boolean operations provide a versatile environment for modeling domains. The implementation of these operations raises geometrical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to ensure the topological validity of the underlying model, and they uses the glue operation which provides a basic method to modify the topology of non-manifold models when vertices, edges and faces are contacting each other. Topological information such as adjacency relationships should be inferred when gluing non-manifold models. Two methods of reasoning can be employed to find the topological information : topological reasoning and geometrical reasoning. The topological method can infer the adjacency relationships by using stored topological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geometrical method can find topological ambiguities by considering the geometrical shape at the local area of gluing when the topological relations were not stored. This paper describes the geometrical reasoning method.

  • PDF

Maximizing Eigenfrequency of Geometrical Nonlinear Structure using Topology Optimization (위상최적화를 이용한 기하 비선형 구조물의 고유진동수 최적화)

  • Yoon, Gil-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89-9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구조물의 위상최적화를 위하여 개발된 요소 연결 매개법 (Element Connectivity Parameterization Method)을 이용하여 기하비선형 구조물의 고유진동수(Eigenfrequency)를 최적화하는 연구를 소개한다. 기존의 밀도를 기반으로 한 위상최적화기법은 비선형 구조물의 위상최적화를 수행할 때 약한 탄성계수를 가지는 요소가 대변형을 일으켜 전체 강성행렬(Tangent Stiffness Matrix)이 양정정성(Positive definiteness)를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어서 위상최적화를 수행하기 어렵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요소 연결 매개법(Element Connectivity Parameterization Method)이 개발되었다. 이 요소 연결 매개법은 요소의 강성을 설계하는 것이 아니라 요소의 연결성을 설계하는 기법으로 이를 이용하여 비선형 구조물의 위상최적화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요소 연결 매개법을 동적인 문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며 이를 이용하여 비선형 구조물의 고유진동수를 최적화 하는 위상최적화 문제에 적용하였다. 비선형 수치 예제를 통하여 기하 비선형 구조물의 고유진동수를 최대화를 통하여 기하 비선형 구조물의 강성최대화 문제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Review of Quantification of Fracture Characteristics Based on Topological Analysis (위상기하 분석법을 이용한 단열계 특성 정량화의 소개)

  • Son, Hyorok;Kim, Young-Seo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1 no.1
    • /
    • pp.1-17
    • /
    • 2021
  •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fracture network in a rock volume because fractures control the ground conditions and fluid flow characteristics. Therefore,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quantify fracture networks to better understand ground and flow conditions. The use of fracture density alone (a quantitative parameter based on geometric analysis) does not fully explain the evolution of fracture networks, or quantify the spatial relationship (e.g. connectivity) of fractures in a rock mass. Therefore, the need for fracture network characterization based on topological analysis has recently emerged. In Korea however, the topological analysis of fracture networks within a rock mass has rarely been studied. As such, the definition of the topological analysis of fracture networks and the graph theory related to the topological analysis are briefly summarized in this study. We also introduce an application method for these analyses to fracture characterization. If the topological method is used for the analysis of fracture networks, it can also be adopted to analyze fluid flow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characterize petroleum reservoirs, and analyze the evolution of a fracture network. In addition, topological analysis can be useful for site selection of major facilities such as nuclear waste disposal sites because i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potential sites.

Technological development issues on geometric phase lens and its application of optical modulation (기하위상 렌즈의 개발 이슈 및 이의 광파 변조 응용)

  • Lee, Tae-Hyun;Lee, Su-Won;Hong, Keehoon;Choi, Kihong;Kim, Hak-R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557-560
    • /
    • 2020
  • 최근, 광소자에서 공간 변조되는 wavefront profile 특성을 광소자의 표면 단차 변화 없이 단일 두께 박막 상에서 자유로이 구현할 수 있는 기하위상 홀로그램 (geometric phase hologram) 기반의 optical component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이를 이용해 제작된 기하위상 렌즈 (geometric phase lens)는 dynamic phase의 공간적 차이에 의해 구현되던 기존 bulk optics 기반의 lens 대비 초박형으로 제작이 가능한 파장 선택적 flat optics 기술로써, 다초점 및 경량화를 요구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augmented reality 또는 AR, mixed reality 또는 MR) 및 광파변조 및 제어를 요구하는 홀로그래픽 카메라 분야에 대한 응용처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당 기하 위상렌즈에 대한 원리 및 이에 따른 개발이슈 및 해결법에 대해 연구 하였으며, 이에 대한 응용처로 기하위상 렌즈의 편광에 따른 이중초점특성을 이용해, 기존 단일 초점 형성이 가능한 AR기기 대비, 다초점 형성이 가능한 switchable dual-depth 3D AR device를 compact한 모듈과 함께 구현하였다. 또한, 기하위상렌즈의 광파 변조 및 분리특성을 이용한 기하위상 렌즈기반의 자가간섭 홀로그래픽 시스템(GP-self-interference incoherent digital holographic, GP-SIDH)에 편광 이미지센서 적용과 함께 맞춤형 설계/제작된 기하 위상렌즈를 적용함으로써, 기존 GP-SIDH 시스템대비 안정적으로 실시간 복소 홀로그램 획득이 가능한 실시간 공간영상정보 획득용 GP-SIDH을 동영상 프레임으로 구현하였다.

  • PDF

Geometry and Topology Data Model on OpenGIS Component (개방형 GIS 컴포넌트에서의 기하 및 위상공간데이터 모델)

  • 민경욱;최혜옥;이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54-156
    • /
    • 2001
  • 공간정보 및 속성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서비스하는 지리정보시스템은 최근 네트워크 및 분산환경의 기술개발과 더불어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 정보시스템은 기존의 패키지, 지역적 클라이언트/서버환경의 기술에서 컴포넌트 기반 기술로 자리메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컴포넌트 GIS의 기술발전을 위해서 OGC(OpenGIS Consortium)에서는 다양한 설계 및 구현 사양과 토픽을 제시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GIS 기술개발시장에서는 이러한 사양과 토픽에 맞게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고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다루는 공간데이터는 크게 기하정보(Geometry)와 위상정보(Topology)로 나뉜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기본석인 질의나 분석에 있어서 기하정보 뿐만 아니라 위상정보도 시스템 전체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위상 정보의 저장, 관리는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방형 컴포넌트 GIS에서의 기본 기하 데이터 모델인 OGC Simple Feature Geometry 모델과 위상정보 (Topolygy Information)를 나타내는 위상 데이터 모델의 통합 및 연동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러한 데이터모델을 포함하고 있는, OGC 구현사항에 맞게 설계 및 구현된 전체시스템 아키텍쳐를 살펴 볼 것이다.

  • PDF

On the Errors of the Phased Beam Tracing Method for the Room Acoustic Analysis (실내음향 해석을 위한 위상 빔 추적법의 사용시 오차에 관하여)

  • Jeong, Cheol-Ho;Ih, Jeong-Gu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1
    • /
    • pp.1-11
    • /
    • 2008
  • To overcome the mid frequency limitation of geometrical acoustic techniques, the phased geometrical method was suggested by introducing the phase information into the sound propagation from the source. By virtue of phase information, the phased tracing method has a definite benefit in taking the interference phenomenon at mid frequencies into account. Still, this analysis technique has suffered from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low frequency phenomena, so called, wave nature of sound. At low frequencies, diffraction at corners, edges, and obstacles can cause errors in simulating the transfer function and the impulse response. Due to the use of real valued absorption coefficient, simulated results have shown a discrepancy with measured data. Thus, incorrect phase of the reflection characteristic of a wall should be corrected. In this work, the uniform theory of diffraction was integrated into the phased beam tracing method (PBTM) and the result was compared to the ordinary PBTM. By changing the phase of the reflection coefficient, effects of phase information were investigated. Incorporating such error compensation methods, the acoustic prediction by PBTM can be further extended to low frequency range with improved accuracy in the room acoustic field.

Acoustic Analysis of Interior Spaces by Using the Phased Geometric Acoustic Model (위상이 고려된 기하음향모델에 의한 내부음장 해석)

  • 신호철;이정권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6
    • /
    • pp.54-61
    • /
    • 1998
  • 중주파수대역은 내부 음향 모드의 공명 및 모드간 상호 간섭 특성을 완전히 무시할 수는 없으나 모드 밀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기존의 저주파수용 모드기법이나 고주파수에 대한 통계적 및 기하학적 해석방법과는 다른 기법이 필요한 구간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상 을 포함한 기하음향모델을 이용하여 중주파수 특성을 고려하는 개념을 이용하여 해석기법을 확립하였으며, 삼각형빔법을 기초로 한 모델링을 하였다. 세 개의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대 상 공간에 대해 음향 경계요소법 및 실험에 의한 음향 주파수응답함수와 본 연구 결과를 비 교함으로써 유효성과 오차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로부터 위상으로 고려한 중주파수 대역에 잘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Schroeder의 차단주파수 이하의 저주파수에서는 내부구조 에 의한 회절이, 차단주파수의 네 배 이상인 고주파수에서는 벽면에서의 산란이 간섭현상과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보였다. 이러한 해석기법은 중주파수대역에 있어서 청감특성을 고려 한 내부공간의 음향설계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aradigm and Pan-paradigm in Mathematics and Architecture (수학과 건축의 패러다임과 범 패러다임)

  • Kye, Young Hee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7 no.2
    • /
    • pp.165-177
    • /
    • 2013
  • Mathematics teaching is often more effective when teachers connect the contents of mathematics with history, culture, and social events.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the 'paradigm' theory from Thomas Kuhn's scientific revolution is very effective to explain the revolutionary process of development in mathematics, and his theory has been widely quoted in the history of science and economics. However, it has not been appropriate to use his theory in the other field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cope of Kuhn's paradigm theory is limited to mathematics and science.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introduced pan-paradigm as a general concept that encompasses all, since through any relation in the field of mathematics and architecture, Thomas Kuhn's theory of paradigm does not explain the phenomena. That is, at the root of various cultures there exist always a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demands of the times,' and these two factors by synergism form values and controlling principles common to various parts of the culture, and this synergism leads the cultural activities, the process of which is a phenomenon called pan-paradigm.

Topologically Adaptable Geometric Snakes (위상변화가 자유로운 기하학적 스네이크)

  • Kim, Haeng-Kang;Seo, Yong-Deuk;Jung, Moon-R.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9 no.3
    • /
    • pp.1-5
    • /
    • 2003
  • 3차원 메쉬에서 특징을 추출하는 것은 메쉬 에디팅이나 메쉬 모핑 등의 여러 가지 메쉬 처리에 있어서 중요한 일이다. 특징을 추출하는 방법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부근의 특징을 자동적으로 찾아주는 방법은 이미지 처리 분야에서는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는데 이미지 스네이크 알고리즘이 그것이다. 최근에는 그러한 이미지 스네이크 알고리즘이 3차원 메쉬에 적용되어 기하학적인 스네이크 알고리즘으로 탄생하였다. 본 논문은 기하학적 스네이크의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찾고자 하는 특징의 모양에 따라 스네이크 곡선의 위상이 자유롭게 변화하는 기하학적 스네이크 모델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 사용된 알고리즘은 이미지 스네이크 알고리즘의 동적 프로그래밍 방법을 3차원 메쉬에 응용한 것으로 스네이크 포인트들이 메쉬의 에지를 따라 3차원 상에서 직접 이동을 하면서 에너지가 최소가 되는 지점을 찾아 가는 방식이다. 스네이크 곡선은 메쉬상의 이웃한 정점들의 순차적인 연결선으로 이루어지며 찾고자 하는 특징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스네이크 포인트의 개수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또한 주변의 다른 스네이크 포인트와 만났을 때 합쳐지거나 반대로 여러 스네이크 곡선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 PDF

Validation of the aeromechanics for hingeless rotor using geometrically exact beam model (기하학적 정밀 보 모델을 이용한 무힌지 로터 구조/공력 하중 검증)

  • Han-Yeol Ryu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7 no.1
    • /
    • pp.24-32
    • /
    • 2023
  • This paper studied HART II in descending flight using rotorcraft analysis code based on geometrically exact beam (GEB) model. The present GEB model expressed by a mixed variational formulation could capture the geometrically nonlinear behavior of the blade without arbitrary assumptions. In previous results, correlation of airloads with structural moments for HART II was not as good as blade deflections. However, in present results, predictions of airloads and structural loads are fairly correlated with measured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