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계

검색결과 1,758건 처리시간 0.037초

이중언어자의 위계모형 검증 : 암묵기억과제와 외현기억과제의 효과 (A Test of Hierarchical Model of Bilinguals Using Implicit and Explicit Memory Tasks)

  • 김미라;정찬섭
    • 인지과학
    • /
    • 제9권1호
    • /
    • pp.47-60
    • /
    • 1998
  • 이중언어자의 언어구조를 기억정보의 위계적 특성으로 설명하는 위계모형의 적합성을 외현기억검사와 암묵기억검사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위계모형에 따르면 단어의 기억표상은 모국어와 외국어의 심성어휘집 정보와 두 언어와 공유하는 개념표상 정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념표상 정보의 활성화는 심성어휘집 활성화를 통해 이루어지고, 과제의 종류와 번역의 방향성에 따라 심성어휘집과 개념표상의 정보가 별개로 인출될 수 있다. 기억검사중에서 개념 정보의 활성화에 민감한 외현기억검사와 지각 정보의 활성화에 민감한 암묵기억검사는 심성어휘집 정보와 개념표상 정보의 활성화에 상이한 민감성을 보일 것이다. 실험 1에서는 명명과제의 단어들을 의미적으로 범주화하여 제시한 후에 암묵기억검사와 외현기억검사를 실시했고, 실험 2에서는 의미적으로 범주화된 단어목록을 순행 및 역행 번역을 하도록 한 후에 암묵기억검사와 외현기억검사를 했다. 명명과제와 역행번역 및 암묵기억검사에는 목록의 의미적 범주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순행번역 및 외현기억검사에는 목록의 의미적 범주효과가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이중언어자의 언어구조가 언어에 따르는 별개의 심성어휘집과 공통의 개념표상을 지니고 있다는 위계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 PDF

과학적 소양의 정의 분류의 특성 및 경향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the Classifications of Scientific Literacy Definitions)

  • 이명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55-62
    • /
    • 2014
  • 본 연구는 1960년대 이후 과학적 소양을 정의하고 분류를 시도했던 연구자들의 분류 결과를 3가지 분류 기준에 의하여 재분류하고, 과학적 소양의 정의 분류의 경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과학적 소양이 과학교육의 주요 목표를 대변하는 개념이므로 그 정의에 따른 분류는 과학교육의 목적에 대한 동향을 검토할 수 있는 주요자료가 될 수 있다. 분류 기준은 1) "literate"의 의미로서 '학습됨', '능력 있음', '사회에서 최소 기능을 할 수 있음', 2) 과학적 소양을 표현하는 방식으로서 용어와 서술, 3) 과학적 소양의 내부 구조로서 '단일 구조', '직렬식 위계구조', '병렬식 수평구조'이다. 분류 결과와 해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소양의 구조로서 위계 구조는 90년대 후반부터 표현방식으로서 용어를 사용하는 정의와 함께 나타나고 있으며, 학습과 능력사이에서만 위계를 인정하고 사회적 기능으로서의 과학적 소양의 의미는 수용하지 않고 있다. 수평구조는 과학적 소양의 하위 요소 간의 위계 구조를 보이지 않는 대신 사회적 기능으로서 과학적 소양의 의미를 전반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또, 단일 구조는 대부분 과학적 소양을 새로운 시각에서 제안하는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소양의 의미도 최근으로 오면서 학습에서 능력을 거쳐 사회적 기능을 강조하는 특성이 있다. 둘째, 근래로 오면서 과학적 소양을 용어 형식으로 정의하려는 연구가 증가하고, 이들 사이에도 위계를 설정하는 분류가 주도하고 있다. 또한 소양의 세 가지 의미인 학습, 능력, 사회적 기능을 전반적으로 수용하는 분류가 빈번해졌으나, 이들 간에는 위계 구조보다는 오히려 수평 구조를 설정하는 경향이 있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살펴 볼 때, 과학 교육의 목표로서 과학적 소양의 의미는 학습이나 과제 해결 능력뿐만 아니라, 근래에는 사회적 맥락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개인을 육성하려는 목표로서 인정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주목할 것은 과학적 소양의 이러한 사회적 기능 측면은 위계적이 아닌 독립적인 목표로서의 특성을 견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과학교육이 교과 내 개념학습에서 벗어나 다양한 맥락에서의 적용과 사회적 역할을 중시하는 목표로 전환할 준비를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도로 위계 구조를 고려한 동적 최적경로 탐색 기법개발 (A Dynamic Shortest Path Finding Model using Hierarchical Road Networks)

  • 김범일;이승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1-102
    • /
    • 2005
  • 사람들은 지식을 저장할 때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저장하기 않고 지식을 조직화하여 저장한다. 이와 갈이 사람들이 지식을 위계적으로 저장하는 방법을 최적경로 탐색기법에 도입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최적경로를 탐색하는 경우에는 각 링크의 통행비용만을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 결과 실제 운전자들이 장거리 통행에서 최적경로를 탐색시 고속도로 선호도를 반영하는데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리에 따른 경로탐색에 있어 binary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간선도로 선택확률모형을 개발하여 장거리를 탐색할 때 도로의 위계를 반영하는 최적경로탐색기법을 도입하였다. 또한 최적 경로를 탐색할 경우에 기존 방법은 탐색 시점을 기준으로 한 교통상황을 기반으로 최적경로를 제공하였다. 이는 운전자가실제로 주행을 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링크의 통행시간과는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링크의 통행시간을 예측하는 방안이 있다. 확률과정 모형을 이용하여 예측된 링크 통행기간을 기반으로 최적경로 탐색에 적용하였다. 확률과정 모형은 장기 예측에는 다른 모형보다 오차가 적게 발생하며 데이터 양이 많이 축척되어 있는 경우에 다른 예측기법보다 유리하다. 데이터가 균일하게 있지 않아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로 위계를 고려한 방법과 기존의 방법의 탐색속도를 비교한 결과 탐색 노드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위계를 고려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탐색속도가 향상된다. 도로위계를 고려한 방법을 적용하여 탐색한 결과와 택시운전사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답안을 서로 비교한 결과 많이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개념도를 이용한 고등학생의 개념 분화 유형 분석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Differentiation Patterns using Concept map)

  • 심재호;정완호;이길재;홍준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6-25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소화 개념을 주제로 고등학생들의 개념 분화 유형이 어떤 것이 있으며, 이 개념 분화 유형의 각각의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24명의 고등학생들이 수업 전후에 개념도를 작성하였고, 이 중 19명을 표집하여 인터뷰, 간단한 쪽지 시험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개념도, 인터뷰 내용, 쪽지시혐의 결과는 학생들의 개념 분화 유형을 추출하기 위해 분석되었다. 소화 개념에서 개념 분화 유형은 3가지로 구분되었는데, 첫째 유형은 나열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유형에 속하는 학생들은 개념도의 작성에서 개념보다는 사례들을 많이 제시하고 있으며, 개념들 사이의 위계 관계가 분명하지 않고, 개념들 사이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보였다. 두 번째 유형은 순서형이라고 부를 수 있는데 이 학생들은 학습의 순서에 따라 개념도를 작성하는 특징을 보였으며, 위계형보다 덜 조직화된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세 번째 유형은 개념의 위계에 따라 개념도를 작성하는데 위계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위계 형성의 정도는 차이가 많았다. 이들 세 가지 유형에 속하는 학생들은 수업 후에 모두 개념도를 보다 정교화 시켰으며, 순서형은 순서형과 위계형이 혼합된 유형 또는 나열형과 순서형이 혼합된 유형으로 바뀌는 사례가 많았으나 다른 유형에 속한 학생들은 개념 유형이 거의 변화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비춰볼 때 나열형에 속하는 학생들이 순서형이나 위계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도구들과 효과적인 수업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멀티미디어디자인에서 정보위계 표출방식과 그 활용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izing Hierarchical Information and their Applications in Multimedia Design)

  • 류시천
    • 감성과학
    • /
    • 제9권spc3호
    • /
    • pp.209-224
    • /
    • 2006
  • 트리구조로 명명되는 '위계'는 정보의 구조를 드러내 보이고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각화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원이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위계의 개념을 적용한 정보 시각화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고 나아가 그것이 정보 찾기 활동에서 사용자태스크 유형과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파악하고 그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트리맵(Treemap), 하이퍼볼릭(Hyperbolic), 콘트리(Cone Tree), 관심도트리(Degree-Of-Interest Tree)의 4가지 정보위계 표출방식을 적용 사례별로 고찰하고 그 활용상의 장단점을 '시각적 재현 측면'과 '사용자 조작 측면'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또한 각각의 정보위계 표출방식에서 사용자 정보 찾기 활동과 결부된 '핵심 지원 태스크'와 '주요 관련 지원 태스크'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주요 발견 점은 첫째, 사용자의 정보 찾기 활동과 결부된 주요 지원 태스크는 전체를 총괄적으로 조망하기, 관심 있는 대상을 확대해서 보기, 관심 없는 대상을 걸러내기, 특정 대상에 대한 세부적인 디테일 정보 얻기, 정보 객체 사이의 관계 파악하기, 발생한 이벤트의 히스토리를 유지하기, 수집된 정보를 추출하고 발췌하기 등이다. 둘째, '트리맵'은 사용자에게 전체 정보 그룹에 대한 총체적 의미 파악이 용이하도록 만들기 위해서 각각의 정보 노드의 색상과 크기를 다르게 적용시키는 방식을 핵심지원 태스크로 적용하고 있다. '하이퍼볼릭'과 '관심도트리'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정보 노드를 중심으로 전체 정보 그룹을 재편성시키거나 의미의 중요도에 따라 각각의 노드 크기에 비례 개념을 적용시키는 기능을 핵심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콘트리'는 정보에 접근한 사용자 로그파일을 발췌하고 분석하여 정보 관리자가 전체 정보 패턴을 분류하고 조직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멀티미디어디자인 환경에서 정보위계 표출방식은 정보의 시각적 재현이라는 차원을 넘어 사용자의 정보 찾기 행위와 관련하여 사용자 조작의 다양한 기능적 욕구를 반영하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위계적 선형, 비선형 모형을 적용한 청소년기 주관적 건강평가 변화에 대한 체육시간활동에 종단적 영향 분석 (Analyzing longitudinal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y on adolescent self-rated health evaluation changes using hierarchical linear and nonlinear models)

  • 김세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1013-1025
    • /
    • 2016
  • 이 연구는 청소년 남녀학생의 주관적 건강평가가 시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또한 그러한 변화에 대해 남녀학생의 체육시간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KCYPS)에서 공개되는 중학교 1학년 5차년도 (2010년부터 2014년) 종단자료를 수집하여 위계적 선형, 비선형 모형 (HLM)을 적용하였다. HLM 6.08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계적 선형모형으로 추정한 결과를 보면, 남학생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주관적 건강평가지수가 증가하였고, 여학생은 감소하였다. 둘째, 위계적 비선형 모형으로 추정한 결과를 보면, 남학생의 경우는 주관적 건강평가 지수가 증가하다가 고등학교 1학년이 되면서 감소하는 변화 형태를 보였다. 셋째, 여학생의 경우는 주관적 건강평가지수가 증가하다가 중학교 3학년이 되면서 감소하는 변화 형태를 보였다. 넷째, 남학생의 경우는 고등학교 1학년 시기에 적극적인 체육시간 활동은 주관적 건강평가에 정적 (positive)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다. 다섯째, 여학생의 경우는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적극적인 체육시간활동은 주관적 건강평가에 부적 (negative)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다. 이 연구를 토대로 위계적 선형, 비선형모형을 적용하여 청소년 건강과 체육에 관련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개념지식의 유형에 따른 표상차이: 범주와 각본의 위계성과 전형성 비교1) (Knowledg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Categories and Scripts: An Investigation on Hierarchy and Typicality Effects)

  • 이재호;이정모
    • 인지과학
    • /
    • 제11권3_4호
    • /
    • pp.73-81
    • /
    • 2000
  • 이 연구는 지식유형에 따른 표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범주지식과 각본지식의 위계성과 전형성에 대한 점화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상위개념을 점화단어로 제시하고 하위개념을 목표단어로 제시한 다움 목표단어의 어휘판단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범주지식은 전형단어가 비전형단어보다 반응시간이 빨랐지만, 각본지식은 두 조건간의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는 하위개념을 점화단어로 제시하고 상위개념을 목표단어로 제시한 다음 목표단어의 어위판단시간을 측정하였다. 범주지식이 각본지식보다 반응시간이 빨랐으며, 두 지식 모두 전형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범주지식은 전형성에 따른 위계구조를 구성하지만 각본지식은 범주지식에 비해서 위계성과 전형성이 약회된 구조로 표상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의 학교여건 만족도 영향 분석 - 안양시 사례 (Studying on parents' satisfactory factor to elementary school which their children go to. - focusing on Anyang city)

  • 김호일;전희주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6호
    • /
    • pp.1009-1020
    • /
    • 2010
  •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안양시 교육 자료는 학생과 학교간이 위계적인 수준의 형태이기 때문에 상위 수준의 특성을 반영하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하여 안양시 초등학교 학부모의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 대한 제반 여건들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부모들이 느끼는 자녀의 학교여건 만족도에 부모들의 시 교육정책에 대한 만족 정도, 학군선호의 신도시 지역을 나타내는 학교의 거주지가 그 다음 크게 영향을 미쳤다. 위계적 선형모형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교육 없이 공교육만으로 학생들에 대한 교육이 충분히 가능하도록 하고 신도시와 같이 학교의 제반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안양시의 교육정책을 펼쳐 나간다면 학부모의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 대한 제반 여건들에 대한 만족도는 지금보다는 더욱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과학과 교수.학습 과정안의 분석을 통한 교육 과정 위계 부적합 사례 연구 - 7학년 물질의 세 가지 상태 (Study on the Unsuitable Case for the Hierarchy of the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cienc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Focused on 'Three States of Matter' Unit of the 7th Grade)

  • 서민희;최원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84-792
    • /
    • 2009
  • 본 연구는 과학 교사들의 과학과 교수 . 학습 설계 시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 시-도 교수학습지원센터와 서울특별시과학전시관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는 교수-학습 과정안에 나타나는 교육과정 위계 부적합 사례를 조사하였다. 교육과정 위계 부적합 사례는 7학년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단원에 한정하였으며, 분석에 사용한 내용 요소는 물질의 상태 변화, 분자, 분자 모형이었다. 그 결과 교육과정 위계 부적합 사례에 해당하는 내용 요소는 ‘물질의 상태 변화’에서는 플라즈마, 상평형, 눈이 생기는 현상, 물의 특이성, 결정성과 비결정성 고체의 분류, 열에너지, 물리 변화 등 7종류였으며, ‘분자 모형’에서는 분자 운동, 밀도가 발견되었다. 그리고 ‘분자’에서는 교육과정 위계 부적합 사례가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