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웨어러블 디자인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7초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최적화를 위한 GOF 디자인 패턴적용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GOF Design Pattern for Optimizing Android Devices)

  • 정우철;전문석;최도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89-97
    • /
    • 2017
  • 최근 사물인터넷(IoT), 웨어러블 등 PC이외에 휴대용 디바이스를 대상으로 OOP(Object-Oriented Programming)와 함께 GoF(Gang of Four)의 디자인 패턴 등 다양한 객체지향 방법론 설계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잘못된 어플리케이션 설계는 운영체제 속도 저하, 메모리 점유율과 배터리 사용량 증가 등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 사양 디바이스에서의 프로그래밍 최적화의 중요도가 높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Strategy패턴, State패턴, Observer패턴 등 최적화된 디자인 패턴 적용 방법을 제안한다. 테스트 결과 제안하는 패턴 선별 기법이 저 사양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디자인 패턴을 선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착용가능한 기술을 적용한 패션 가방디자인 (Fashion Bag design study with wearable technology)

  • 홍성대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7-23
    • /
    • 2012
  • IT를 접목한 스포츠 의류, M-드레스(Mobile Phone Dress), 웨어러블 컴퓨팅(Wearable Computing) 등 패션이 IT와 결합하면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많은 발전을 이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패션에 사용된 IT 기술의 활용은 전원, 착용감, 세탁, 휴대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착용가능 기술이 효과적으로 가방에 적용되어 개발된 제품을 제시한다. 사람의 감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레저 및 여행을 위한 패밀리 룩(Family Look) 성격의 가방과 20~30대 여성들의 감성을 디자인으로 자극할 수 있는 오띠 꾸뜨르(Haute Couture) 패션에 맞는 싱글 리미티드 가방 그리고 가족이 대상이 되는 패밀리 가방을 토대로 착용가능기술이 적용된 제품디자인을 제작하여 제시하며, 이로 말미암아 앞으로 변화될 패션의 변화를 제안한다.

휴대형 스마트 패션 디자인의 기능에 따른 유형 및 심미적 특성 (Types and Esthetic Characteristics by Function in Portable Smart Fashion Design)

  • 임시은;주희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6
    • /
    • 2023
  • The smart fashion industry is showing steady growth worldwide, which will create new value throughout the fashion industry and become an essential element for efficient lifestyles.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trend of smart fashion products from a design perspective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design as a fashion item incorporating smart technology from a function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e category of portable smart fash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object were considered through current status survey and previous research review. Among smart fashion, accessories and clothing/fabric products that have been released thus far that apply portable fashion design principles are selected and its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In addition, function keyword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product description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and the function-oriented types were classified to identify each type's design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area receiving the signal and the sensor size should be considered, as should the fashion accessory type that combines various materials and colors. The clothing/textile type requires a design that mainly focuses on functions related to bio-signal interactions.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산학협력형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개발 사례 연구 (Case Study of Industrial- Academic Cooperation Capstone Design Subject Development in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 황윤자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7-3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비대면 교육(online mode)의 형태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여러 대학 간의 디지털 기술을 토대로 대학 간 공유와 협력을 공유할 수 있도록 비대면 환경에서의 산학협력형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비대면 환경, 캡스톤 디자인 등의 문헌 및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비대면 환경에서의 산학협력형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 개발 모델을 개발하여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웨어러블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을 시범 적용하여 학생 인터뷰, 설문을 통해 실효성을 확인하고 수정, 보완하였다. 이는 비대면 환경에서 산학협력형 캡스톤 디자인 수업 계획, 개발 시 기초자료 제공 및 단계별 운영가이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무대의상 연구 (A Study on Stage Costume Using Technology)

  • 양예은;고현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3-127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directing effects for the use of technology in stage costumes and to explore future directions by comparing technology fashion. To this end, the study first investigates technology fashion and identifies its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rough previous research. Second, it examines the use of technology in stage costumes and studies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directing effects through cases. Third, by comparing technology fashion with stage costumes, it explores future directions for integrating technology into stage costume design. Study methods, include a literature review accompanied by a case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fashion is that digital technology is applied to variable molds according to interaction with the wearer to virtually realize the fluid dematerialization of fashion. Second,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stage costumes using technology mirror those of technology fashion. However, the visual information expressed through the use of technology was maximized by harmonizing with various stage arts the stage space was expanded to a virtual space.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each o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objects that cause interaction, so efforts of technology development are required so stage costumes can interact with the performers' acting.

헬스 케어 스마트 밴드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 of Healthcare Smart Bands)

  • 최성훈;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75-181
    • /
    • 2017
  • 본 연구는 스마트 밴드 구매에 있어서 구매자들이 어떤 요인으로 구매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요즈음 현대인들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인 개인 헬스케어를 중심으로 스마트 밴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사용자들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스마트 밴드는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는 제품이다. 이것은 현대인들이 얼마나 자신의 개인 헬스케어에 관심을 쏟고 있는지에 관한 반증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 밴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어떠한 요소를 가장 고려하여 스마트 밴드를 구매할 것인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스마트 밴드 구매에 있어서 스마트 밴드의 개인 헬스케어 기능보다는 제품의 외관적인 디자인과 하드웨어적인 성능을 더욱 중요시한다고 알 수 있었고 근본적으로 스마트 밴드 자체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이 연구로 인해 더 다양한 스타일의 스마트 밴드의 출시를 통해 모든 사용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제품 개발과 연구가 계속해서 이루어지길 희망한다.

MZ 세대의 소비가치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능적 메커니즘 (Functional Mechanism of Wearable Devices based on the Consumption Value of Generation MZ)

  • 김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28권4호
    • /
    • pp.167-178
    • /
    • 2024
  • With the advent of the ICT era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utting-edge industries in accordance with changing trends of the time, the MZ generation is leading a new consumer culture with a digital platform-based lifestyle. As such, wearable devices are leading popularization of the market, the need for product development and research that goes beyond simply combining high technology and combines user-centered functions and designs is emerg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unctional mechanism of wearable devices according to consumption value of the MZ generation, focusing on wearable devices currently being commercialized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their characteristics were also derived. The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involved classifing wearable devices into no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ent types according to their functional mechanisms and examing them. As a result of the research, characteristics of identity, collaboration, customization, and content were derived, I was is thought that they could interact with situational awareness to suit the situation and purpose. They are closely related. They could make social responsibility and sustainable efforts beyond the brand's image and profit pursuit. As the consumption value of the MZ generation, a new consumer class, is highlighted, it is essential to segmenting and analyzing user-centered functions and content, not simply combining cutting-edge technolog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essential data for continuous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and the establishment of successful marketing strategies.

임산부를 위한 수면관리 모바일 앱 UI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UI Design of Sleep Management Mobile App for Pregnant Women)

  • 조에스더;김승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78-387
    • /
    • 2018
  • 최근 4차 산업 혁명이 도래하면서 헬스케어 서비스의 분야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그에 따라, 스마트제품들을 통한 개인 맞춤화 된 의료 시스템이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고 있다. 웨어러블 테크 및 센서 시스템의 활용으로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언제 어디서든지 건강관리와 모니터링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임산부를 위한 헬스케어 서비스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저출산으로 인하여 산부인과 수도 격감하면서 몸이 불편한 임산부를 둘러싼 환경은 더욱 열악해지고 있다. 임산부는 임신으로 인하여 편안한 수면 세를 취하기 힘들다. 소음, 온도, 습도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더불어 임산부 수면의 질을 저하시켜 행복한 태교를 저해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임산부의 건강을 위해 좋은 수면 자세의 정보와 향상된 수면 환경을 제공하여 수면관리가 가능한 UI 디자인 개발에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4차 산업시대의 센서 기술을 적용하여 임산부의 수면의 질과 삶의 질을 극대화 시켜 줄 것을 기대한다.

3D 프린티드 텍스타일 개발 및 의류디자인 모델링 (Development of 3D Printed Textiles and Clothing Design Modeling)

  • 최정욱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12
    • /
    • 2024
  • 3D printing technology is a key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has been gaining attention in various fields, having been selected as one of the top 10 core manufacturing technologies by the U.S. government. In the apparel industry as well,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develop products using 3D printers. However,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and research fields, utilization remains insufficient. This is mainly due to the high price of large 3D printers and a limited varieties of filaments, making it difficult to implement traditional textiles and produce full-size garments. In this study, to develop 3D printed textiles, textile structures that can be 3D printed were categorized. Applying various types of filaments and layering methods allowed for the printing and evaluation of structures, ultimately leading to the selection of three types of 3D printed textile structures suitable for use as clothing materials. Subsequently, types of filaments were selected that match the chosen textile structures and suitabel designs were applied to develop 3D printed clothing designs. As a result of this study, an ideal form for 3D printing textiles was proposed and mehods were presented for clothing construction using practical (versatile) 3D printing technology. This stud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ontributing to the expansion of research areas related to 3D printing technology in the fashion field and suggesting effective research directions.

디자이니어 양성 커리큘럼 내 융합설계프로젝트 사례: 웨어러블 손목 마사지 기기의 햅틱 디자인 (Haptic Design of a Wearable Wrist Massage Device as a Capstone Design Project of Designeer Education Program)

  • 임덕신;권경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43-48
    • /
    • 2020
  • This paper deals with a Capstone Design project which is a wearable haptic wrist massage device design carried out within the 'Designeer' education program. Following design thinking process is recommended throughout a year in order to ensure a desirable, feasible and viable product. Dealing with a real problem of the field requires open-minded and flexible attitudes both from students and professors. Integrating design in an engineering project does not mean always making better looking product. User experience design allows wider opportunity to engineers to deal with design. A case study of developing a wearable wrist massage device shown in this paper demonstrate haptic design and how haptic properties can be optimized to offer best user experience of hand massaging. This study identified that starting lateral pressure movements from the center in larger area using air tubes gives better feeling as self-massage using wrist wearing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