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월 평균기온

Search Result 53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cooling effects of a paddy field area during 2006 summer (2006년 여름철 논에 의한 기온저감효과)

  • Kwon, Sung-Il;Kim, Jin-Soo;Park, Jong-Hwa;Oh, Kwang-Young;Song,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28-63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여름철(2006년 7월 15일${\sim}$9월 30일) 동안 서로 다른 토지피복형태(논, 밭, 도시녹지대 및 도시주택지)에서의 기온변화 특성을 비교하여 논에 의한 기온저감 효과를 파악하였다. 혹서기 동안 총 3회(2006년 8월 3일, 11일, 15일)에 걸쳐 논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기온을 실측한 결과, 논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기온이 상승하였으며, 170m 지점에서의 기온은 논 지점보다 14시에는 $2.3^{\circ}C$, 22시에는 $1.8^{\circ}C$, 익일 06시에는 $1.3^{\circ}C$ 높게 나타났다. 혹서기 동안 논, 밭, 녹지대, 주택지에서의 열대야 완화효과를 비교해보면, 논이 열대야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25^{\circ}C$이하로 낮아지는 평균시각은 논이 22.36시, 밭이 24.0시, 녹지대가 2.2시, 주택지가 2.3시로 나타났고, 이 시각으로부터의 평균 지속시간은 논이 7.7시간, 밭이 7.3시간, 녹지대가 4.3시간, 주택지가 1.0시간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균 일최저기온은 논이 $23.1^{\circ}C$로서 밭과는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녹지대보다 $0.9^{\circ}C$, 주택지보다 $3.0^{\circ}C$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논과 밭에서의 기온저감효과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기온저감효과가 식생피복상태에 의해 크게 좌우되기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논과 밭에 의한 기온저감효과의 메커니즘은 파악되지 않았으나, 이는 다양한 논지대 및 밭지대를 대상으로 열수지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구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자로서는 제방 마루의 토지이용 및 식생구조, 하도의 식생유형, 하도주변 토지이용, 하안(bank) 형상 및 구조, 수종 및 구조, 하도 및 하안 특징 및 구조 등으로 선정, 검토하였다. 이상의 하천교란과 관계되는 지표를 선정하여 물리적, 생태적 조사 및 교란평가기법(안)을 개발, 제시하였다.EX>)를 보였으며, 그 중 3명에서는 혈역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잔여단락이 있었다. 결론: 급성 심근경색증 후 심실중격 결손은 수술위험도가 높은 질환이지만, 수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하고 조기에 심실중격 결손부의 infarct exclusion 술식과 함께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수술 및 중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출물 투여로 저하되었으나 NC군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간 중 중성지질 함량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으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용량 병합투여한 HC-PBH군만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및 간 중의 지질 함량 변화는 정상식이를 급여한 NC군과 NC-PB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하면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투여 시에만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고용량 병합투여 시 효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하였으며, 이는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포함한 여러 생리활성물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은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증가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함량은 감소시켰고, HDL-콜레스테롤과 인지질 함량은 증가시킴으로써 지방간 및 동맥경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hr/g$, 섭취 7일중 $8.123\;{\mu}g/hr/

  • PDF

Study on the Meteological Effects on the Plant Growth and Yield of Rice (기상요인(氣象要因)이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 Jo, Jai Seong;Lee, Jong Cheol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2 no.1
    • /
    • pp.111-123
    • /
    • 1975
  • 6 years data on the plant growth and grain yield of 13 rice varieties were investigated to define the relations between meteological conditions and plant growth of rice including grain yiel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Variation of average temperature by years showed great number at early and middle July, middle August and early November, however smallest figure at late June and late July. And that of sunshine hours by years were least at late June and late July, and largest at middle July. 2. Among rice yield components variation of panicle number per hill by years was biggest and that of 1000 grain weight least. Rate of variation of plant growth and rice yield was different by rice varieties. 3. Direct effects on rice yield was greatest at maturing ratio and next at 1000 grain weight. The effects of yield factor on the rice yield wers different by years. 4. Higher temperature and longer sunshine delayed the miaxmum tillering stage but shortened the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5.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recognized between the number of panicles per hill and average temperature of 11 to 40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number of grains per panicle was correlated with the average temperature of 11 to 70 days after transplanting. High temperature before heading time showed atime decreased maturing ratio. 6. Accumulated temperature was highly correlated with 1000 grain weight in all season. Highest positive correltaion was recognized between grain yield of rice and average temperature of 61 to 70 days after transplanting but correlations between rice yield and average temperature after heading stage were negative. 7.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confirmed between maturing ratio and sunshine hours of 31 to 50 days as well as 61 to 70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maturing ratio was highly correlated with accumulated hours of sunshine. Correlation between rice yield and hours of sunshine was significant at 51 to 60 days after transplanting.

  • PDF

Analysis and Estimation of Loss-Rainfall due to Change in evapotranspiration (Target Seomjin Upper bassin) (증발산량 변화에 따른 손실량 추정 및 원인분석 (섬진강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 Lee, Dae Wung;Lee, Chung Dae;Kim, Chi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7-257
    • /
    • 2020
  • 오늘날 지구촌은 1880년 이후 지구온난화로 인해 빈번해진 이상기후로 평균기온이 약 0.85℃ 상승하였으며, 강우특성의 변화로 초과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단기간의 집중호우 증가 및 강우일수가 감소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홍수기(7월~9월)에 집중되었던 태풍 및 강우사상이 가을까지(2019년 11월 태풍 횟수 : 6회) 지속되고 있으며, 용수수요가 집중되는 관개기간에 기후변화 영향으로 무강우기간 동안 증발산량이 증가하여 이용 가능한 수자원량 감소가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유역의 갈수예보 활용지점인 곡성군(금곡교) 관측소의 실측된 수문자료를 바탕으로 유출검토를 실시하였고 취수시설물의 영향을 고려한 순유출률을 산정하였다. 5개년 유출특성을 분석한 결과 강수량 대비 년도별 유사한 순유출을 나타내는 반면에 손실량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였다. 특히 2018년의 경우 6월 말~7월 초에 발생한 약 300mm의 강우사상 이후 32일간의 무강우기간(평년 기준 : 18일)의 증발산량 영향으로 많은 손실량이 발생하였다. 이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일조시간, 평균기온, 무강우기간의 증가를 예견하고 있으며 강수량 뿐 아니라 기상조건이 유역 내 유출특성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증발산량 산정공식 수정 Blaney-criddle Method는 평균기온, 일조시간을 활용한 잠재 증발산량 산정방법으로 정확한 유역 특성을 고려하지는 못하지만 연구결과에서 보여주듯이 한정된 기상자료를 통한 증발산량 산정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양한 증발산량 산정방법과 비교 및 증발산량 관측장비의 활용방안 검토를 통해 분석된 증발산량자료의 품질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n Changes of Daily Temperature and Daily Precipitation in Climate Indices over Republic of Korea (기후지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일기온 및 일강수의 변화 분석)

  • Lee, Hyo-Shin;Shin, Jin-Ho;Kwon,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75-157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6개 지점(강릉, 서울, 인천, 대구, 부산, 목포)에서 관측한 약 100년간(1912-2009년, 단 1950-1953년 제외)의 일최고/최저기온 및 일강수 자료를 이용하여 각 지점별로 다양한 기후지수를 산출하고 이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기온 관련 기후지수로는 여름일수, 영하일수, 결빙일수, 서리일수, 열대야일수, 냉방도일, 난방도일, 일교차, 식물성장일수, 일최고/최저기온의 월최고값 및 월최저값 등을 분석하였으며, 강수 관련 기후지수로 강수량, 강수일수, 강수강도, 호우일수, 미우일수, 최고 일강수 및 5일 연속 최고 강수량, 연속건조일수 및 연속습윤일수, 극한 강수일의 강수량 등을 계산하였다. 다음은 6개 지점의 기후지수를 평균한 결과이다. 6개 지점 모두에서 최저기온의 상승률이 최고기온의 상승률보다 크게 나타남에 따라 분석기간 동안 일교차는 점차 줄어드는 경향($-0.12^{\circ}C$/10년)을 보였고, 최저기온에 근거한 기후지수인 서리일수 (최저기온이 $-5^{\circ}C$ 미만, -2.6일/10년), 영하일수(최고기온이 $0^{\circ}C$ 미만, -1.0일/10년) 등의 감소와 평균기온의 상승에 따른 성장계절길이(growing season length)의 증가(+3.53일/10년)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일강수와 관련된 주요변화로 미우일수(일강수량이 1 $mmday^{-1}$ 이하)는 감소(-0.75일/10년)했지만, 10 $mmday^{-1}$ (+0.32일/10년), 20 $mmday^{-1}$ (+0.27일/10년), 30 $mmday^{-1}$ (+0.25일/10년), 50 $mmday^{-1}$ (+0.17일/10년), 80 $mmday^{-1}$(+0.09일/10년) 이상 내린 강수일수는 증가하였다. 강수강도(강수량이 1 $mmday^{-1}$ 이상일 때의 강수량과 강수일수 기준)는 0.23 $mmday^{-1}$/10년로 증가했다.

  • PDF

Synoptic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Change of the Warm and Cold periods appeared at Late Autumn of Seoul (서울의 늦가을에 나타나는 온난기와 한랭기 기온변화의 종관 특성)

  • Park, Byong I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2 no.1
    • /
    • pp.1-13
    • /
    • 2017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warm and cold periods(WP, CP) of November appeared in the daily normals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of Seoul for 1941~1970 and 1971~2000 and to investigate synoptic characteristics of the temperature changes of WP and CP. The WP temperatures are increased clearly(p value 0.000), the CP temperatures are also warming but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WP, there are not apparent trends corresponding the warming of WP temperature, in the Siberian High, Sea Level Pressure(SLP), 925hPa surface wind(U925, V925)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high period(1972~1979) of WP temperature, there are positive SLP anomaly and anomalous anticyclonic circulation pattern of 925hPa wind field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n the winter monsoon is weakened and the WP temperature is ascending. In CP, the Siberian high are weakening, the Hokkaido eastern low are strengthening and the westerlies(U925) over the Korean Peninsula are enlarging. So CP temperature are suppressed in rising trend or shows weak descent.

  • PDF

Microclimatological Characteristics Observed from the Flux Tower in Gwangneung Forest Watershed (플럭스 타워에서 관측된 광릉 산림 소유역의 미기후학적 특징)

  • Choi Taejin;Lim Jong-Hwan;Chun Jung-Hwa;Lee Dongho;Kim 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7 no.1
    • /
    • pp.35-44
    • /
    • 2005
  • Microclimate of Gwangneung forest watershed is characterized by analyzing wind, radiation, profiles of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soil and bole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soil water content measured at and around the flux tower from April 2000 to September 2003. Mountain-valley wind was prevalent due to the topographic effect with dominant wind from east during daytime and relatively weak wind from west during nighttime. Air temperature reaches its peak in July-August whereas monthly-averaged incoming shortwave radiation shows its peak in May due to summer monsoon. Albedo ranges from 0.12 to 0.16 during the growing season. Monthly-averaged bole temperature is in phase with monthly- averaged air temperature which is consistently higher. Monthly-averaged soil temperature lags behind air temperature and becomes higher with leaf fall. With the emergence of leafage in April, maximum temperature level during midday shifts from the ground surface to the crown level of 15-20m in May. Profiles of water vapor pressure show a similar shift in May but the ground surface remains as the major source of water. Vapor pressure deficit is highest in spring and lowest in winter. Monthly averaged surface soil temperatures range from 0 to 20℃ with a maximum in August. Monthly averaged trunk temperatures of the dominant tree species range from -5.8 to 21.6℃ with their seasonal variation and the magnitudes similar to those of air temperature. Annual precipitation amount varies significantly from year to year, of which >60% is from July and August. Vertical profiles of soil moisture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t may suggest an important role of lateral movement of soil water associated with rainfall events.

Proposal of Prediction Technique for Future Vegetation Information by Climate Change using Satellite Image (위성영상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식생정보 예측 기법 제안)

  • Ha, Rim;Shin, Hyung-Jin;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3
    • /
    • pp.58-69
    • /
    • 2007
  • The vegetation area that occupies 76% in land surface of the earth can give a considerable impact on water resources, environment and ecological system by future climate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future vegetation cover information from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extracted from satellite images. Current vegetation information was prepared from monthly NDVI (March to November) extracted from NOAA AVHRR (1994 - 2004) and Terra MODIS (2000 - 2004) satellite images. The NDVI values of MODIS for 5 years were 20% higher than those of NOAA. The interrelation between NDVIs and monthly averaged climate factors (daily mea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rainfall, sunshine hour, wind velocity, and relative humidity) for 5 river basins of South Korea showed that the monthly NDVIs had high relationship with monthly averaged temperature. By linear regression, the future NDVIs were estimated using the future mean temperature of CCCma CGCM2 A2 and B2 climate change scenario. The future vegetation information by NOAA NDVI showed little difference in peak value of NDVI, but the peak time was shifted from July to August and maintained high NDVIs to October while the present NDVI decrease from September. The future MODIS NDVIs showed about 5% increase comparing with the present NDVIs from July to August.

  • PDF

Generation of daily temperature data using monthly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월 평균 기온과 강우 자료를 이용한 일 기온 자료의 생성)

  • Moon, Kyung Hwan;Song, Eun Young;Wi, Seung Hwan;Seo, Hyung Ho;Hyun, Hae Nam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0 no.3
    • /
    • pp.252-261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method to generate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using monthly data. We analyzed 30-year daily weather data of the 23 meteorological stations in South Korea and elucidated the parameters for predicting annual trend (center value ($\hat{U}$), amplitude (C), deviation (T)) and daily fluctuation (A, B) of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We use national average values for C, T, A and B parameters, but the center value is derived from the annual average data on each stations. First, daily weather data we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rainfall, then calibrated using monthly data, and finally, daily maximum and minimum daily temperatures were generated. With this method, we could generate daily weather data with more than 95% similar distribution to recorded data for all 23 stations. In addition, this method was able to generate Growing Degree Day(GDD) similar to the past data, and it could be applied to areas not subject to survey. This method is useful for generating daily data in case of having monthly data such as climate change scenarios.

Agroclimatic Zoning Based on Critical Early Seeding Date in Dry-Seeded Rice Analyzed by Daily Mean Air Temperature (벼 건답직파재배의 파종조한기에 의한 농업기후지대 구분)

  • 최돈향;윤경민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9 no.5
    • /
    • pp.444-452
    • /
    • 1994
  • Early critical seeding date based on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 analysis was examined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safty of dry-seeded rice under the local climatic conditions. The effective standard temperature at the early critical seeding date was applied for determination of the appearance date at the daily mean air temperature (DMAT) 13$^{\circ}C$. The first appearance date at DMAT 13$^{\circ}C$ for 20 years('73~'92) was found to be 30~40 days (standard deviation:8 days) in year fluctuation. Mean appearance date of it, also, was 10 days earlier than that of its 80% chance. The first appearance date at DMAT 13$^{\circ}C$ was April 26 for Suwon, April 14 for Kwangju, April 13 for Taegu and April 21 for Kangnung, and found to be 13 days in regional change between Suwon and Taegu. Thus agroclimat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latitude and altitude would be analyzed systematically.

  • PDF

An Uncertainty Assessment of AOGCM and Future Climate Projection over East Asia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AOGCM 불확실성 평가 및 기후전망)

  • Kim, Min-Ji;Shin, Jin-Ho;Lee, Hyo-Shin;Kwon,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58-1062
    • /
    • 2008
  • 지구 온난화에 의한 대기 순환의 변화와 이에 따른 수증기 수송 및 강수량의 변화는 전지구 및 지역적인 수문환경의 변화를 초래하므로 장기적인 차원의 수자원 계획 수립에는 반드시 기후 변화에 따른 영향이 제대로 반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개별 모델이 사용하는 역학과정과 물리과정의 모수화 및 분해능이 다르고 이에 따른 모의 결과도 다르게 나타나는 등의 상당한 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인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 참여한 대기해양결합 대순환모델(AOGCMs)이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생산한 기온과 강수의 불확실성을 동아시아에 대해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기후를 전망하였다. 국립기상연구소 ECHO-G/S 모델과 IPCC 23개 모델의 배출 시나리오(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SRES) 자료는 20세기(1900-1999년)와 21세기(2000-2099년)의 200년 동안이고, 관측자료는 영국 CRU(Climate Research Unit) 월평균 2m 기온의 30년(1961-1990년) 평균값과 CMAP 월 평균 강수량의 21년간(1979-1990년)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동아시아지역 기온과 강수의 불확실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모델과 관측간 편이, 평균제곱근오차(RMSE) 등의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동아시아 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대체로 모델의 기온이 관측보다 적게 모의되는 음의 편이를 나타내고, 강수는 모델이 관측보다 더 크게 모의 되는 양의 편이를 나타냈다. 계절적으로는 여름철 강수와 봄철 기온의 편이가 크게 나타났다. 연평균 및 겨울철 강수와 기온의 RMSE는 비례하는데 이는 기온 모의성능이 좋은 모델이 강수 모의성능도 좋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