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심형 펌프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7초

기액 이상류시의 원심펌프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entrifugal Pump Characteristics in Air-Water Two-Phase Flow)

  • 김성윤;이상일;김유택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0권6호
    • /
    • pp.685-692
    • /
    • 2006
  • In a general centrifugal pump, if it is operated in a two-phase flow the activity of the impeller usually degrades and occasionally losses its function. However, the effect of break down of centrifugal pump due to entrained air has not been clarified yet. This paper shows the air-water two-phase flow characteristics of closed type and semi-open type impellers. In a sing1e-phase flow, closed-type impeller has higher efficiency and head. But in air-water two-phase flow semi-open type impeller's rates of decreases of efficiency and head are decreased.

개방형 액체로켓엔진시스템 개념설계를 위한 터보펌프시스템 성능설계 (Turbopump System Performance Design for Conceptual Design of Separate Flow Cycle LRE System)

  • 양희성;박병훈;김원호;주대성;윤웅섭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4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28-13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질유량 최소화 및 고압력비를 요구하는 가스발생기 방식의 개방형 액체로켓엔진(LRE)용 터보펌프유닛(TPU) 성능 설계를 위해 구성품인 비극저온 원심펌프 및 부분분사노즐을 사용하는 1단 충동형 터빈에 대한 성능설계 프로그램을 작성였다. 펌프출구압력, 가스발생기에서의 혼합비 등을 입력값으로 하고 펌프-터빈간의 출력 매칭을 위한 유량밸런싱을 통해 프로그램을 통합하여 기존에 작성한 액체로켓엔진시스템 개념설계 프로그램에 TPU 모듈로 삽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엔진시스템 요구조건 및 가스발생기 질유량 최소화 조건을 만족하는 터보펌프시스템의 기본 설계 조건을 구하여 러시아 엔진 데이터와 비교$\cdot$검토하였다.

  • PDF

침수선박 구조를 위한 대용량 배수펌프 개발 (Development of Drainage Pump for Rescue Sinking Ship)

  • 김경수;정광현;김해영;김남훈;조제형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48-254
    • /
    • 2015
  • 국내에는 아직 침수선박 구조용 대용량 배수펌프에 대한 기술개발 사례가 없는 상황이다. 현재 침수선박 구조를 위해 농업용 배수펌프가 사용되고 있으나 실효성이 현저히 떨어지며, 낮은 배수량, 이물질 걸림 현상, 겨울철 운전 오작동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양에서 신속한 침수선박의 구조를 위해 현재 장비가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분당 20 톤의 배수량을 가지는 대용량 배수펌프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용량 배수펌프 시스템은 펌프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흡입양정 8 m에서 분당 20 톤의 해수를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배수펌프 시스템 설계 및 개발을 수행하였다. 펌프종류는 조선해양 분야에서 액체를 이송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원심펌프를 채택하였으며, 요구 시방을 기초로 펌프를 설계하였다. 임펠러 블레이드는 요구 시방과 Stepanoff 설계 상수를 이용하여 임펠러 제원과 블레이드 입출구각을 도출하였고, 설계된 임펠러와 하우징 형상에서 목표 유량 만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유동해석을 수행하여, 임펠러 회전수에 따른 유량을 검토하였다. 또한 실제 운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구조적인 취약성을 판단하기 위해 임펠러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안전성을 검토하여, 침수선박 구조를 위한 배수펌프 시스템 개발을 완료하였다.

원심펌프의 성능개선과 캐비테이션 억제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Pump Performance and Suppression of Cavitation in a Centrifugal Pump)

  • 최영도;쿠로카와준이치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8-25
    • /
    • 2008
  • Recent trends of a centrifugal pump are high speed in rotation and high pressure in head with high efficiency to meet the demands of industries. However, the newly developed pumps make trouble of pressure pulsation in the pumping system by performance instability of the pump. Moreover, cavitation, which is a main obstacle of high rotational speed in the pump, occurring in an impeller gives serious damages to the impeller and casing wall.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not only to develop a simple method to improve pump performance but also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avitation in the centrifugal pump by use of J-Groove. J-Groove is a shallow groove installed on the casing wall in the meridional direction. The application of J-Groove to a centrifugal pump with a new type impeller of "semi-closed impeller" has proved its effectiveness as a useful countermeasure of the unstable pump performance and cavit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ombination of semi-closed impeller and J-Groove can be applied successfully and improves both the pump performance and suction performance.

원심펌프 회전축계의 불평형 응답에 미치는 유체력의 영향 (Effects of Hydraulic Force on the Unbalance Vibration of Centrifugal Pump Rotors)

  • 양보석;최원호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2권2호
    • /
    • pp.20-26
    • /
    • 1986
  • The paper presents an analytical investigation of the unbalance vibrations of a pump rotor. The analysis applies to rotor-bearing-seal-impeller systems which consist of rigid disks, distributed parameter rotor elements and discreate bearings, seals, and impellers. The dynamic hydraulic force of bearing, seal and impeller elements are represented by four stiffness coefficients arid four damping coefficients. Numerical results are presented for unbalance response associated with various kinds bearing, and with effects of seal and impeller forces.

CFD를 이용한 해수냉각펌프의 내부유동 분석 (Internal Flow Analysis of Seawater Cooling Pump using CFD)

  • ;양창조;김부기;김준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4-111
    • /
    • 2017
  • 본 연구는 원심펌프 내부 유동장 특성에 대한 시뮬레이션 및 시각화에 중점을 둔다. 3D 수치해석은 Reynolds Average Navier-stock 코드를 k-${\varepsilon}$ 표준 2차방정식 난류 모델로 처리하여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은 흡입측, 임펠러, 토출측 영역에서 조도로 인한 마찰 손실과 임펠러 웨어링에서 체적 손실을 포함한다. 해석과 실험사이의 성능곡선 비교결과 최대 5 %의 작은 차이를 보이며 동일한 추세를 나타냈다. 최고 효율점에서 속도 벡터는 고르게 나타났지만 비 설계점에서는 현저한 변화가 나타났고, 텅 부근의 임펠러 유로토출부에서 강력한 재순환 영역이 나타났다. 비교적 일정한 압력분포가 텅 부근임에도 불구하고 임펠러 주위에 관찰되었다. 볼류트 내에서 기하학적으로 인해 형성된 나선형 와류가 이 영역에서 유동장이 상대적으로 난류이고 불안정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관형의 구조적 특징을 갖춘 박동형 관형 심실보조장치의 혈류, 혈압 평가 (Blood Flow and Pressure Evaluation for a Pulsatile Conduit-Shaped Ventricular Assist Device with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Conduit Shape)

  • 강성민;최성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11호
    • /
    • pp.1191-1198
    • /
    • 2011
  • 심실보조장치는 말기 심부전환자에게 심장이식수술 없이 1 년 생존율을 25%에서 52%까지 증가 시킬 수 있는 유일한 장치이다. 하지만 심실보조장치 이식 후 1 년이 이내에 사망하는 원인 중 기기의 고장으로 인한 사망률이 6%를 차지하기 때문에 심실보조장치의 고장이 환자의 심장 움직임과 혈류 역학적인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다. 기존의 심실보조장치는 원심형, 축심형으로 혈액을 박출해 주는 방식이어서 동맥압 보다 박출하는 압력이 낮을 때 혈액의 역류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박출 압력이 약할 때, 2 개의 밸브에 의하여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고 관형태의 구조에 의해 혈액의 정체량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박동형 관형 심실보조장치를 개발하였으며, 체외실험과 동물실험으로 박출량과 펌프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미래형 소방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ture pattern fire engine development)

  • 김유식;정경문;오제훈;김창;김현태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67-70
    • /
    • 2011
  •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소방차량은 일반 원심펌프로 보편화된 방수 소화작전이 가능하나 오늘날 첨단화 되어 가는 구조물과 다양한 시설구조의 인프라에 따른 적응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현재의 다양한 화재 형태와 양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효율적인 소방활동을 위하여 전천후 출동과 소규모 인력으로 효과적인 소화활동을 할 수 있도록 차량의 구조 개선과 새로운 유 무선포방수총시스템의 도입과 흠로 및 빙판길 혹은 협소한 출동로도 원활하게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괘도바퀴와 높은 흡상 및 미분무수 소화시스템을 장착한 미래형 소방차량을 연구 개발하고자 한다.

  • PDF

CFD해석기법을 적용한 다단펌프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Multi-stage Pump Applying CFD Analysis Technique)

  • 김상유;김재열;고가진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70-76
    • /
    • 2022
  • Recently, the demand for ultra-precision processing has increased owing to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high-performance ultra-precision optical parts in the fields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bio, healthcare, aerospace, and future automobiles. In this study, a performance improvement of a multi-stage pump was achieved by improving the pump casing structure rather than using the existing performance improvement method. To verify the performance improvement, the CFD analysis reliability of the existing pump, Pump A, was verified using the FLUENT app in the analysis software ANSYS, and the pump casing was improved through the verified CFD analysis of Pump B. Therefore, we want to analyz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전기공저펌프/가스리프트 혼합시스템이 오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 Analysis for the Effect of ESP/gas Lift Hybrid System on Oil Productivity)

  • 이혜수;;왕지훈;손한암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9
    • /
    • 2022
  • 적합한 인공채유법의 선정은 유정의 효율적인 운영과 경제성의 측면에서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인공채유법의 선정은 유정 설계에 포함되는 과정이며, 저류층의 상황이나 유정의 생산 조건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인공채유법을 적용한 혼합시스템을 활용하여 오일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대표적인 인공채유법 중 하나인 전기공저펌프(Electric submersible pump, ESP)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다단계 원심분리형 펌프를 이용하여 유정 하부에서 압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오일생산량을 증대시킨다. 그러나 이 방식은 펌프의 수명과 연관된 결함에 의해 적용 기간에 한계를 가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전기공저펌프/가스리프트 혼합시스템(ESP/Gas lift hybrid system)을 적용하여 전기공저펌프의 결함 발생 시에는 바로 가스리프트로 전환하여 오일생산이 중단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퍼미안 분지에 있는 육상 수평정을 대상으로 전기공저펌프/가스리프트 혼합시스템을 적용했을 때의 생산 중단시간의 감소에 따른 오일생산량 차이 및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기공저펌프/가스리프트 혼합시스템은 전기공저펌프의 단독 적용에 비교하여 더욱 효율적인 오일 생산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혼합시스템을 적용했을 때 얼마나 경제적 이득이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예측함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