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격검침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88초

지능형 홈서비스를 위한r-Sensor프로토콜설계 및 하드웨어 구현 (Design of r-Sensor Protocol and Hardware Implementation for Intelligent Home Service)

  • 곽태길;이범성;정진욱;진교홍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113-211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홈서비스를 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r-Sensor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r-Sensor 프로토콜은 간단한 경로 설정 방법과 중계 노드의 부담을 최소화시키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Congestion이나 패킷 손실이 발생할 확률을 최소화시켜서 데이터 전달의 신뢰성과 노드의 공평성을 향상시키는 프로토콜이다. 제안된 경로설정 알고리즘은 망 관리 패킷(NM 패킷)을 사용하여 각 노드의 Upstream, Downstream 노드를 파악한다. 한편 패킷 손실 복원 알고리즘은 Aggregated-Nack를 사용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댁내의 홈 게이트웨이 및 싱크노드 역할을 하는 지능형 홈 원격검침기(IHS-AMR)와 센서 노드의 하드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IHS-AMR은 원격검침기의 고유 기능을 제공하며, 그 외에 센서 네트워크, 휴대 전화망, 인터넷 등 다양한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통해 댁내의 안전 서비스를 제공한다.

1:N HUB 기능을 가진 원격검침 단말기 개발에 따른 AMI 보급 추진 방안 연구 (A Research on the Promotion of AMI Supply by the Development of 1:N Mounted Remote Meter Reading Device)

  • 이형민;김민기;최은일;윤찬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1(단말기):N(소형 전송기) 방식의 AMI단말기를 개발하였다. 현재 정부 주관 부처를 필두로 도시가스산업의 낙후된 계량시스템 선진화를 위해 가스 AMI 실증사업에 몰두하고 있다. 가스 스마트계량기의 보급은 사생활 침해 및 검침정보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가스누출 감지를 통한 소비자 안전까지 대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기존 스마트계량기의 경우 단말기와 전송기가 1:1 방식이었던 반면 본 기술은 1:N 방식을 적용하여 하나의 단말기로 다세대까지 확장 설치할 수 있으며, 저전력 설계를 구현하여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가 향후 가스 AMI 보급 사업에 기여할 것을 기대해본다.

스마트 가스 계량기 압력 데이터 기반 누출 판단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Leakage Judgment Technique based on Pressure Data of Smart Gas Meter)

  • 김정훈;오정석;이진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7-64
    • /
    • 2023
  • 가스계량기의 검침방식이 발전하면서 원격검침이 가능한 스마트 가스 계량기(누출점검용 계량기 및 다기능 안전 계량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계량기는 부가기능으로 수집하는 유량 및 압력 데이터를 활용하여 누출 판단을 하는 기능이 있다. 유량 데이터를 이용한 누출판단 기능은 실제 현장에서 유효한 사례가 있지만 압력 데이터 기반 누출 판단 기준은 누출로 인한 압력 값 변화뿐만 아니라 여러 요인(정압기 압력 크기, 인접 계량기 연계, 인접 주택 사용량, 계량기 위치 등)으로 압력 크기 변화(레벨)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가스계량기에서 수집되는 압력데이터를 활용하여 누출여부를 판단 할 수 있는 기법으로 압력 데이터 전처리 방법과 누출 여부 관련 압력 값 범위 기준, 누출판단 기법 및 적용 사례 검증을 통해 개발하였다.

IOT 체계의 계정 및 권한관리 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ccount and authority management method of IOT system)

  • 김민휘;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5-228
    • /
    • 2017
  • 본 논문은 IOT 체계에서 우리 실생활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전자기기,헬스케어,스마트카,스마트홈,원격검침,원격진료 같은 실효성이 있는 시스템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IOT 체계시스템을 다루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어느 시점에 얼마의 기간 동안 어떠한 용도로 시스템에 접근하여 사용했는지에 대한 확인 및 관리 필요에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인 IOT 통합계정솔루션이 필요하다. 각 사물인터넷에 endpoint 시스템에 대한 통신 알고리즘, IOT 시스템 관리권한정책, 사용자 정보 등을 구성하며, IOT시스템 스마트카, 스마트홈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제안한다.

  • PDF

일반용 전기설비의 원격 전기안전 감시를 위한 수용가 설치 장치 모델 (Local Installation Device Models for Remote Electrical Safety Monitoring of Electrical Facilities for General Use)

  • 전현재;전정채;유재근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01-107
    • /
    • 2007
  • 대부분의 전기화재와 부재로 인한 미점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일반용 전기설비의 효율적 안전관리를 위한 원격감시시스템의 도입을 위해서는 비용과 설치를 고려한 수용가 장치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용 전기설비의 원격 전기안전 감시를 위한 수용가 장치 모델들을 제시하였고 일반용 전기설비 설치 장소에 따른 합리적 모델을 찾기 위해 비용, 설치 및 통신 방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반용 전기설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주택 전기설비의 원격 전기안전 감시를 위한 합리적 모델은 저압원격검침 계량기에 안전감시 기능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 안전확인을 위한 최적 에너지원 규명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An identification of optimized energy usage factors and monitoring System development for safety identification for elderly living)

  • 김호식;차유나;진상윤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9-48
    • /
    • 2014
  • 한국은 매우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고 2010년 독거노인이 100만 여명으로 전체노인의 19%를 점유하고 지속 증가 추세에 있어 독거노인 케어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고비용구조의 시스템 설치, 몸에 기기 부착에 따른 생활불편, 감시카메라에 의한 사생활노출, 소방서 출동, 시스템 유지관리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않고 있어 보편적 실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공동주택에 기본 인프라로 설치되고 있는 원격검침시스템 에너지 사용량 정보를 기반으로 보편적 독거노인 안전확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요인과 방법론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구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단계별 프로세스에 따라 대응할 경우 추가 시설 비용부담이 없고 사생활침해 등 문제점이 해소되고 또한 관리소 인력을 활용 365일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독거노인의 안전확인 모니터링은 물론 고독사 조기발견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유비쿼터스 서비스 중 보건 의료 복지 단위서비스의 노약자 안전생활 모니터링 U-서비스로 정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간.양방향 New Automatic Meter Reading Infrastructure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New Automatic Meter Reading Infrastructure of Real-Time and Both Direction)

  • 고종민;진성일;유인협;정남준;김선익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D)
    • /
    • pp.137-140
    • /
    • 2007
  • 전력계통의 환경변화(분산전원 연계, 구역전기사업자 출연 등)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소비자-공급자간 양방향 통신/서비스 인프라의 핵심으로 Consumer Energy Portal의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이는 에너지 서비스 사업자와 수용가 설비 및 기기들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H/W 및 S/W의 결합 또는 수용가의 In-Building Network와 Wide-Access Network를 연결하는 물리적인 Link이자 논리적인 결합 등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즉, Consumer Energy Portal은 전력에너지 체인의 운영방식을 물리적인 것에서 웹 방식으로 전환한 것으로 전력사업자와 소비자 사이의 양방향 상호작용을 가능케 하고 최종 소비자의 모든 기기들을 서로 네트워킹하며 이를 통해 과거 물리적인 방식의 운영과는 차원이 다른 다양한 서비스와 운영이 가능하게 하는 Service Portal이다. 본 논문은 수용가의 실시간 원격검침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수집하는 것과 물리적으로 연결된 설비들을 제어할 수 있는 양방향 Network Access 망을 구축하여 전력사업자의 통합자원관리, 수요관리, 부가서비스제공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전력선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홈에너지 관리시스템 (Intelligent Home Energy Management based on Powerline Communication)

  • 주성호;최문석;최종협;임용훈;김태경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8-150
    • /
    • 2008
  • 지구온난화와 화석연료의 고갈 등 에너지관련 문제들이 발생함에 따라 제한된 자원의 효율적인 소비가 중요한 연구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자원수입국인 우리나라의 경우는 국제 유가 급등과 같은 에너지파동에 상당히 민감하기 때문에 에너지 관리를 통한 정확한 수급정책 수립 및 효율적인 소비생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취할 수 있는 해결책 중의 하나가 댁내 가전기기의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력선통신(PLC)기반 원격검침 인프라를 활용하여 1차적으로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지능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전력낭비를 최소화하고 2차적으로 전력소비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 홈에너지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수용가를 대상으로 구축, 운영함으로써 향후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IEEE 802.11s 무선메쉬 기반 AMI 시스템에 관한 연구 (Study on AMI System based on IEEE 802.11s Mesh Technology)

  • 김영현;명노길;김명수;이상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9호
    • /
    • pp.100-106
    • /
    • 2013
  • AMI는 스마트미터를 기반으로 전력소비자와 생산자간에 양방향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시스템이다. AMI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안정된 통신망 구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다양한 통신방식 중 IEEE 802.11s 무선메쉬 기술을 AMI 시스템에 적용해 봄으로서 원격검침 통신망으로 활용가능성을 검증한다. 실험 결과, 802.11s 무선기술은 메쉬망을 통해 넓은 커버리지 뿐만 아니라 안정된 통신성능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격검침을 위한 전자식 전력량계 기능과 데이터구조 설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sign of the Function and Data Structure for Electronic Watt-Hour Meters)

  • 장문종;현덕화;조선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308-310
    • /
    • 2001
  •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 Communication Technology, nowadays many people are interested in remote metering, and many vendors are suggesting various remote metering solutions. KEPCO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adopts some of these to some customers who uses a lot of electric power, also continues researching them. But, currently used electronic watt-hour meters vary in terms of communication protocol and data structure by the vendors. So we have to know each vendor's communication protocol and data structure to construct a remote metering system, or to find problems in it. But that's impossible to know each vendor's protocol and data structure because they are reluctant to tell those to outside the company.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make a much more cost-effective metering system, KEPCO developed standard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meters and PC (or metering server), and defined standard functions and data structure which can be used by everyone easily. Those developments support standard interface for every vendors' meters. And Those will be adopted by KEPCO for a part of a new metering standard for electronic watt-hour met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