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행선

Search Result 333,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Standard Work Process to Reduce a Risk of Track Exchange Work for Railroad (철도 운행선 변경작업의 리스크 저감을 위한 표준작업 프로세스 도출)

  • Yoon, Chang Geun;Park, Su Yeul;Kim, Seo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2 no.6
    • /
    • pp.131-137
    • /
    • 2021
  • Since many resources are put into the work of changing the railway operation within limited time, it is important to have a specific work plan and safety management. For this reason, the work schedule is shared in advance, and parallel work is being carried out simultaneously by rail system, such as tracks, trolly wires, and signal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transfer work, the work is carried out at night when the railway operation is finished, and many resources are put into the limited area of the operating line, s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failure to change the operating line is recognized as high. Nevertheless, there is still not enough research done in korea regarding the operation line change construction. Therefore, this study is conducted a survey on the track exchange work of railroad for working people,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Finally, a standard work process was suggested to reduce the risk of track exchange work.

Analysis on the Phenomenon revealed in abnormal Train Speed Measured by ATP On-board Equipment of Tilting Train in rain condition(In Jung-ang line) (우천에 따른 틸팅열차용 ATP 차상장치의 이상 속도 현시 현상 분석(중앙선 구간에서))

  • Baek, Jong-Hyeon;Son, Seong-Ju;Kim, Yong-Ky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127-12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틸팅열차의 안전성 확보 및 운행효율 향상을 위해 "한국형 틸팅열차 신뢰성 평가 및 운용기술개발" 연구과제의 한 분야로 추진된 ATP 차상장치의 중앙선 시험운행 중 우천시 발생한 이상 속도 현시 현상에 대한 원인 분석 및 조치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는 기존선의 속도 향상과 KTX 비 수혜지역의 여객 서비스 향상을 위해 틸팅열차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틸팅열차의 신뢰성 평가를 위해 약 13만 km 주행 시험운행을 진행하였다. 틸팅열차 중앙선 시험운행 중 실제 약 143km/h로 운행 중이던 열차의 속도는 MMI 상에 최고 167km/h까지 현시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기관사로 하여금 규정 속도를 준수하여 안전운행을 하는데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찾고 조치하였으며 시험운행을 통해 정상상태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 PDF

Compatibility on Speed Profile between ATC Signaling and TVM 430 ATC Signaling (ATS 기존선 신호 방식과 TVM430 ATC 신호 방식의 속도 profile에 따른 Compatibility)

  • Kim, Yong-Kyu;Kang, Ki-S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b
    • /
    • pp.1423-1425
    • /
    • 2000
  • 경부고속전철(KTX)의 운행은 서울-동대구간은 고속선에 의한 고속 운행을 실행하는 반면, 동대구-부산간은 기존선 전철화 및 선로 개량 사업을 통해 기존선을 운행한다. 그 결과 남서울, 북대전, 남대전, 및 북대구의 기존선과 고속선 연결부 인터페이스는 가장 중요한 검토 및 연구 대상으로, 기존선과 고속선 간의 속도 형상에 대한 호환성은 KTX 차량의 적절한 운행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이며 또한 필수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선과 고속선 신호 시스템의 호환성에 따른 속도 천이를 분석한다.

  • PDF

A Vision Based Guideline Interpretation Technique for AGV Navigation (AGV 운행을 위한 비전기반 유도선 해석 기술)

  • Byun, Sungmin;Kim, Minhwa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11
    • /
    • pp.1319-1329
    • /
    • 2012
  • AGVs are more and more utilized nowadays and magnetic guided AGVs are most widely used because their system has low cost and high speed. But this type of AGVs requires high infrastructure building cost and has poor flexibility of navigation path layout changing. Thus it is hard to applying this type of AGVs to a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system or a cooperative production system with many AGVs.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sion based guideline interpretation technique that uses the cheap, easily installable and changeable color tapes (or paint) as a guideline. So a vision-based AGV with color tapes is effectively applicable to the production systems. For easy setting and changing of AGV navigation path, we suggest an automatic method for interpreting a complex guideline layout including multi-branches and joins of branches. We also suggest a trace direction decision method for stable navigation of AGVs. Through several real-time navigation tests with an industrial AGV installed with the suggested technique, we confirmed that the technique is practically and stably applicable to real industrial field.

Consideration of Noise Source Characteristics for Subway by Noise Measurement (운행 및 정지시 소음측정에 의한 전동차 소음원 특성 고찰)

  • Cho Jun-Ho;Jung Woo-Sung;Jung Jeong-Duck;Kim Myeong-Ryong;Kwon Sung-Tae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3.05a
    • /
    • pp.622-626
    • /
    • 2003
  • 도시 중심가를 오가는 전동차의 경우 도시 사이를 운행하는 일반 기존선과는 다른 소음 특성을 가진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으로는 일반 기존선은 주로 디젤기관(디젤전기기관차 포함)에서 얻어지는 추진력을 이용하여 운행되나 도시철도에 사용되는 전동차의 경우는 그 추진력을 공급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그 추진력을 얻는 것이다. 따라서 주요한 소음원의 특성도 상이하며, 또한 개활지를 중심으로 운행되는 기존선 열차에 반해 도시 전동차는 주로 터널내부에서 운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전동차의 소음원의 특성에 대해 측정 사례를 중심으로 나타내었다.

  • PDF

태백선 함백 또아리굴의 애환 (철도 100주년 기념, 철도건설 야사)

  • 김형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2 no.2
    • /
    • pp.21-30
    • /
    • 1999
  • 우리 나라의 또아리 굴은 중앙선 금교~치악간 R=400m연장 1,975m가 일제시대 건설 운행되고 있었지만. 금번 함백 또아리 굴은 순수한 우리기술을 투입하여 현 운행선인 함백~조동간 35$\textperthousand$의 병목현상구간을 해소하기 위하여 함백~조동 간에 24$\textperthousand$ 연장 2.450m R=400의 또아리 굴을 시공하게 되었으며 '74년도에 착공이후 공사부진으로, 22일간의 연체료를 물고 있는 현장이었으며 전임공사조역이 개인사정으로 퇴직하고 후임으로 '75년 6월 2일 태백공사사무소 태백선 함백~조동간 2공구 공사조역 명을 받음으로 인연을 맺게 되었다. (중략)

  • PDF

Dynamic Behavior of Composite Steel Girder Bridge Exceeding Train Speed 350km/h (차세대고속열차 운행에 따른 호남고속선 강합성교의 동특성 분석)

  • Kim, Eunsung;Park, JongWoong;Sim, SungH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7
    • /
    • pp.3518-3527
    • /
    • 2013
  • The new developed train(HEMU-430X) faces running at high speed over 400km/h. But The Korea railway design code gives guidelines below 350km/h speed. Honam HighSpeed Railway was also designed based on the design standard below 350km/h. Existing infra structures have to be reviewed at high speed running and the design guideline for the speed over 350km/h should be prepared as soon as possible. This paper presents (1) the simulation results of composite steel girder bridge(Kaya Bridge of Seoul-Pusan HighSpeed Railway), (2) values measured at this bridge and the comparison with simulation results, and (3) the prediction of Yonjung bridge being constructed in Honam HighSpeed Railway.

A study on the exchange Kaesong area sightseeing train movement by the inter-Korean Railway Connection (남북철도 연결에 따른 개성지역 관광열차 운행에 대한 연구)

  • Park, Hong-Soon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4.06a
    • /
    • pp.570-575
    • /
    • 2004
  • This paper deals with the exchange of tourists and the operation of sightseeing train encouraged by the inter-Korean cross-border railway project. First of all, how the inter-Korean cross-border railway project has developed will be discussed. After this, the present tourism state, facilities, the state of railways and roads of North Korea, and major tourist attraction around the Kyonguisun will be shown. And then, several aspects on the agreements between the Korean National Railroad (KORAIL) and North Korean railroad system will be summarized. And, finally, the economic effect of the line including the operation schedule of the Kyonguisun sightseeing train, the demand forecast, the computation of railway fare, and profit sharing will be depicted.

  • PDF

상이한 보호방식의 전차선로 고장전류 계산

  • 이형수;윤동현;유보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76-81
    • /
    • 2000
  • 972년 태백선을 시작으로 우리나라에 전기철도가 도입된 이래 수도권에 전기철도가 건설되어 운행되어왔고 최근에는 수도권 광역 전철망, 충북선 전철화, 경부선 전구간의 전철화 등 기존철도의 전철화 사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한편으로 경부고속철도의 건설과 함께 기존철도의 운행속도 향상, 시스템 보호 및 유지 보수의 현대화 등이 과제로 등장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신 전차선로 설비의 도입 등과 함께 전철 시스템의 전반적 기술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중략)

  • PDF

The Study of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Test for Tilting Train ATP On-board Equipment (틸팅열차용 ATP 차상장치의 설치 및 설치시험 연구)

  • Baek, Jong-Hye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a
    • /
    • pp.119-12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틸팅열차의 안전성 확보 및 운행효율 향상을 위해 "한국형 틸팅열차 신뢰성 평가 및 운용기술개발" 연구과제의 한 분야로 추진된 ATP 차상장치의 설치 및 시운전시험에 대한 내용 및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는 기존선의 속도 향상과 KTX 비수혜지역의 여객 서비스 향상을 위해 틸팅열차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틸팅열차의 신뢰성 평가를 위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ATS 장치에 의한 10km 주행 시운전 시험을 진행하였다. 국토해양부에서는 KTX가 운행되지 않는 지역인 중앙선 및 충북선을 비롯한 7개 기존 노선을 200km/h 이상으로 고속화하기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열차제어시스템은 기존의 ATS 장치에서 ATP 장치로 개량하여야 한다. 따라서 틸팅열차에도 ATP 차상장치를 설치하여 운행 적합성을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한국철도공사의 경부선 및 호남선 ATP 구축사업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ATP 차상장치를 틸팅열차에 설치하여 시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