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운행생산성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42초

자료포락분석기법(DEA)을 이용한 서울 시내버스운송업의 효율성 분석 (Analyzing Efficiency in the Seoul's Urban Bus Industr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 오미영;김성수;김민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9-68
    • /
    • 2002
  • 본 논문은 자료포락분석기법(Data Envelopment Analysis, DEA)을 이용하여 서울 시내버스업체들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토빗(Tobit)회귀식을 추정하여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시내버스업체는 노동, 차량, 유류, 정비의 네 가지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두 종류의 두 가지 산출물, 즉 도시형버스-km와 좌석버스-km 또는 도시형버스와 좌석버스의 승객을 생산하는 기업형태로 상정되었다. 분석에는 서울의 69개 업체들에 대한 1996년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추정결과 서울의 시내버스업체는 평균적으로 아주 작은 비율인 0.9% 정도의 투입물만을 절감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산출물인 승객수는 12.9% 정도 더 생산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들 업체는 총직원에서 정비직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을수록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좌석버스의 보유비율과 운행속도가 높을수록 이들 업체의 효율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수운영체제에서 철도시설관리자의 철도시설물 유지보수 조직과 업무 설정 (The Responsibility of An Infrastructure Manager Toward A Railway Competitive Market)

  • 윤경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121-128
    • /
    • 2016
  • 2004년 시행된 철도구조개혁은 철도산업의 생산성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철도운영과 철도시설관리를 이원화 하였다. 그러나 본래의 취지와는 달리 기존 시설물 유지관리에 관한 인력의 대부분이 운영기관에 귀속되어 있어 실질적인 유지관리 업무는 철도운영자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다. 철도시설관리자의 역할은 철도운영자가 유지보수 업무에 따른 비용 산정에 관한 업무만 국가로부터 위탁을 받아 행정적인 처리만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불완전한 구조개혁은 향후 철도환경변화에 따라 다수의 운영자가 존재할 경우 철도 시설관리에 대한 역할과 책임 구분이 불명확한 문제가 발생하여 철도 운행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일 시설물을 다수의 철도운영자가 사용한다는 가정 하에 철도운행 안전 확보를 위하여 철도시설관리자가 철도시설물 유지보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유지보수 업무 및 조직 설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발식 마늘수확기 개발(1) - 개념설계 및 설계인자 분석 - (Development of a Lifting Type Garlic Harvester(1) - Design Concept and Analysis of Design Factors -)

  • 장영창;노광모;박준걸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9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7-82
    • /
    • 1999
  • 현재까지 마늘 생산의 생력기계화 작업체계는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마늘의 수확은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마늘 생산비에 수확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따라서 마늘 수확의 생력화를 위해 마늘수확기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마늘수확기의 개발을 위해 분석, 구명되어야 할 중요한 인자는 수확기의 소모동력, 작업성능, 메커니즘의 간결성과 편리성, 수확효율 및 수확후 처리 등에 관계되는 모든 인자들이 포함된다. 나아가 마늘수확기에 고려되어야 할 주요 작동부는 동력발생부, 동력전달부, 마늘수확부 및 이송부, 마늘 수확을 위한 전처리부 및 후처리부, 마늘수확기 운행에 필요한 운전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중략)

  • PDF

m-Logistics 환경에서 전자지불 및 거래보안 서비스 (Electronic Payment and Exchange Security Service under m-Logistics Environments)

  • 정용규;이동원;안승범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3)
    • /
    • pp.55-57
    • /
    • 2002
  • 국내외적으로 전자상거래 이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물류환경도 변화하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 시대에 부합하는 물류서비스 경쟁도 가속화되고 있다. 업무환경이 현장에서 단순 반복 업무로 이뤄진다는 Logistics의 특성상 차별화 된 서비스를 위해 Mobile 기기를 도입한다는 것은 필수적인 추세가 되어 가고 있다. m-Logistics의 확산은 이제 시대의 흐름이되었으며, 따라서 모바일 환경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전략은 기업의 수익과 비용감소에 직접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물론 물류분야에 Mobile을 도입하여 그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물류업무의 표준화, 모바일 기기의 기능강화, 무선통신 인프라의 확충, 기업투자비 경감등의 조건을 해결해야 한다는 선행과제가 있지만, 공차 운행으로 인한 물류비 절감과 유무선 통합 물류관리를 통한 업무 생산성 및 고객서비스 개선이라는 기대효과는 Mobile의 도입을 충분히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요소인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m-Logistics환경에서 물류 서비스 중 가장 중요한 전자지불과 거래보안 서비스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 PDF

Deep Mixing 공법을 이용한 고속철도의 지반진동 저감방안 (Deep Mixing Technology to Mitigate Ground Vibration lnduced by High-Speed Trains)

  • 김진호;박옥정;천민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41-1046
    • /
    • 2004
  • 최근에 철도의 고속화 운행이 유럽, 동아시아, 북아메리카에 이르기까지 빠르게 확장됨으로 인하여 수반되는 지반진동에 대한 문제가 관심이 되고 있다. 건설현장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는 Deep Mixing 기술은 철도의 고속화에 따른 진동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Deep Mixing 공법은 특별히 설계된 장비를 사용하여 접착성재료와 통양을 혼합하여 생산된 기둥벽을 이용하는 지반개량공법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유럽이나 일본에서 진동제어로 사용되어지는 최근의 Deep Mixing 공법을 종합 검토하고자 함이다.. 스웨덴과 일본의 현장계측 결과와 함께 해석적 수치적 해에 근거하여 개선된 지반의 거동을 해석 및 예측한다. 수치해석 결과는 Deep Mixing 공법의 진동저감에 대한 예측에 있어서 유용한 도구임을 보여준다.

  • PDF

터널 내 화재발생에 대한 콘크리트 세그먼트 라이닝의 내화성 평가 및 내화방법에 대한 고찰 (Review of fire resistance evaluation and fire resistance method of concrete segment lining for fire in tunnel)

  • 손무락;천주현;조영근;김범주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21-139
    • /
    • 2023
  • 도로, 지하철, 철도 등의 다양한 터널이 건설 및 운행 중에 있다. 터널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라이닝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TBM터널 공사에서는 콘크리트 세그먼트 라이닝이 주로 설치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터널 내 화재가 발생할 시 터널내 구조물인 콘크리트 세그먼트 라이닝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기준, 내화성 평가 및 내화방법에 대해서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하고 관련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실무자가 터널화재에 대한 콘크리트 세그먼트 라이닝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숙 옥수수에 의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구성 II. 조숙 옥수수의 사료생산성에 미치는 만파와 밀식효과 (Application of Early-maturing Corn to Cropping System of Forage Crop II. Effects of Late Sowing and Dense Planting of Early-maturing Corn on Forage Productivity)

  • 임근발;최영원;양종성;허운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9-213
    • /
    • 1991
  • 조숙옥수수를 포함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구성시 조숙옥수수의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만파시밀식재배를 시도하였다. 조숙옥수수로는 Comet80, Comet85, Linda 품종을 이용하였고 만파정도는 수원19호 적기보다 45, 55, 65일 만큼 늦게 파종하였다. 파종밀도는 각 파종기에 대하여 60$\times$20, 50x20, 40$\times$20cm로 밀식정도를 달리하였다. 각처리구의 수확은 8월 29일 일괄실시 하였는데 조숙옥수수의 이러한 처리에 따른 수량구성특성 변화와 조숙옥수수의 촉과작물 작부체계도입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6월 22일까지 파종에서 건물수량은 Comet85, 수원19호 Comet80, Linda 순이었다. 2. 6월 12일까지의 파종에서 수원19호의 이삭비율은 6.7%이었는데 비해 Comet80, Cometss, Linda의 평균 이삭 빈율은 40.3%이었다 3. 조숙품종의 밀식에 의한 건물수량 보상효과정도는 6월 22일까지 파종에서 20x50cm밀도가 20$\times$60cm밀도에서 보다 평균 37.3% 증수하였다. 4. 만파시 Comet85는 수원19호보다 평균 24.1 % 많은 TDN을 생산하였다.

  • PDF

DEA를 활용한 도시철도 노선별 수송효율성 분석 (Transport Efficiency Analysis of the Lines of Urban Railwa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 김수현;정헌영;이원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605-616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시철도들의 수송효율성을 분석하여, 수익성 측면에 있어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도시철도들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고, 효율성이 부족한 도시철도 노선에 대해 구조적인 문제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전국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17개 도시철도 노선이며, 자료포락분석기법(DEA)으로 노선별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로부터 규모의 경제성을 도출하고, 외부요인으로서 무임 손실비용과 운임제도에 따른 운수수입에의 영향정도를 파악하였다. 이 때 분석을 위한 변수로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차량수, 운행횟수 두 생산요소를 투입하여 운수수익을 산출하는 형태로 상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료포락분석기법으로 도출된 효율성값을 다차원척도법(MDS)에 적용하여 전국 도시철도에 대한 수익성 측면의 효율성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작업 특성을 반영한 중규모 굴삭기의 CO2 배출량산정을 위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Research for CO2 Emission Estimation of Medium-Scale Excavator Reflecting Work Characteristics)

  • 김승현;이동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717-727
    • /
    • 2017
  • 전체 산업에서 원재료사용의 40%, 에너지소모의 30%, 그리고 $CO_2$ 배출량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건설 산업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연구는 LCA를 통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건설 산업의 생애 주기에서 $CO_2$ 배출량이 많은 단계는 운영단계 보다 시공단계가 더 큰 것으로 평가되며, 시공단계에서 환경부하를 가장 크게 유발하는 요인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건설기계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국내 건설기계 등록대수 중 두 번째로 많고 실제 건설 현장에서 활용도가 가장 높은 굴삭기를 대상으로 작업 형태에 따른 생산성과 엔진부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굴삭기의 운행 특성을 공회전 무부하상태와 동력이 전달되는 부하상태로 구분하여 배기가스를 PEMS 장비를 이용해 직접측정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실제 운행 상태에 따른 엔진 부하량과 배기가스 배출 특성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CO_2$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산정된 건설기계의 $CO_2$ 배출량과 탄소배출계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산정된 $CO_2$ 배출량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DEA를 이용한 경기도내 시·군별 택시서비스 효율성 분석 (Relative Efficiency of Taxi Services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among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gi Province)

  • 김대훈;장태연;송재룡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1571-1580
    • /
    • 2013
  • 본 연구는 경기도내 31개 시군에서 운행되고 있는 택시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기초로 지역별 택시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효율성 평가는 개인택시와 법인택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시 군별 효율성 평가는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경기도 31개 시 군의 개인 및 법인택시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이다. 31개 지자체의 효율성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개인택시의 경우 효율적인 지자체는 평택시, 포천시, 오산시, 양평군, 가평군 등 5개 지자체로 나타났다. 법인택시는 평택시, 포천시, 오산시, 가평군 등 4개 지자체이다. 이들 지자체들은 일정한 수준의 만족도를 생산함에 있어서 다른 지자체보다 적은 양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능력을 확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개인택시와 법인택시간 DMU들의 통계적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순위합검증(Rank-sum Test)을 시행한 결과 두 집단 간에 서비스제공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