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항지연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의 본선 도메인 침공 연구

  • 임정빈;예병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72-173
    • /
    • 2021
  •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이 발생하면 선박은 충돌위험에 처하게 됨으로 이에 대한 해결방안 필요하다. 연구 목적은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에서 제어지연이 선박충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선박의 터닝서클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관측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어지연에 의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어지연(시간)에 따른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의 선회권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제어지연에 의해서 본선 도메인 침공당하는 방위와 최소거리 분석 가능함을 알았다.

  • PDF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 지연이 충돌에 미치는 영향 식별을 위한 실험방법의 고찰

  • 두바이송;이춘기;김대정;예병덕;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9-110
    • /
    • 2023
  • 자율운항선박(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MASS)은 4수준으로 구분되는데, 현재 세계적으로 수준 2-3 사이의 원격제어 자율운항선박이 상용화를 시작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원격제어 자율운항선박은 3 주요요소(MASS, 해상위성통신, 원격제어자)로 구성되는데, 주요한 문제는 통신 손실이다. 자율운항선박의 원격제어는 해사 위성통신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해사 위성통신은 통신두절,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에 의한 지연 등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어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연시간이 충돌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우선하여 이러한 영향을 식별할 수 있는 실험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실험방법은 선박조종시뮬레이터를 이용할 것인데, 그 이전에 제어지연이 발생하는 메카니즘을 구현하고, 이러한 메카니즘에 의해서 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이 가능한 방법론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자율운항선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어지연이 항해안전에 미치는 영향의 과학적 식별과 평가에 관한 하나의 기반이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assenger's Right to Compensation in relation to Delayed Flights - From the perspective of EU case law - (운항지연에 따른 승객의 보상청구권 - EU 및 프랑스 판례를 중심으로 -)

  • Lee, Chang-Jae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0 no.2
    • /
    • pp.249-277
    • /
    • 2015
  • Regulation (EC) No 261/2004 ("Regulation") is a common rule on compensation and assistance to passengers in the event of denied boarding and of cancellation or long delay of flights. In some recent cases of European nations, passengers sued the air carrier in order to obtain monetary compensation under Article 7(1) of the Regulation. Some courts dismissed the actions on the grounds that, unlike denied boarding or cancellation of the flight, the Regulation provides no compensation in relation to delayed flights. However,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CJEU) ruled that Regulation 261/2004 must be interpreted to mean that passengers whose flights are delayed have a right to compensation in cases when the loss of time is equivalent to, or is in excess of three hours - where the passengers eventually reached their final destination three hours or more later than the originally scheduled arrival time. It is true that a strict interpretation of the regulation would suggest that passengers whose flight has merely been delayed are not entitled to compensation. They should only be offered ass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Articles 6 and 9. Nevertheless, the Court recognized the same right to the same compensation for passengers of flights delayed by more than three hours as that explicitly provided for passengers of cancelled flights. On the one hand, the Court bases this ruling on the recitals of the Regulation, in which the legislature links the question of compensation to that of a long delay, while indicating that the Regulations seek to ensure a high level of protection for passenger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denied boarding or their flight is cancelled or delayed. On the other hand, the Court interprets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Regulation in light of the general principle of equal treatment. Furthermore, the Court delivered a ruling that the loss of time inherent in a flight delay, which constitutes an inconvenience within the intention of Regulation No 261/2004 and which cannot be categorized as 'damage occasioned by delay' within the meaning of Article 19 of the Montreal Convention, cannot come within the scope of Article 29 of that convention. Consequently, under this view, the obligation under Regulation No 261/2004 intended to compensate passengers whose flights are subject to a long delay is in line with Article 29 of the Montreal Convention. Although the above interpretation of the Court can be a analogical interpretation, the progressive attitude of the Regulation and the view of Court forward to protect passengers' interest is a leading role in the area of international air passenger transportation. Hopefully, after the model of the positive support in Europe, Korea can establish a concrete rule for protecting passengers' right and interest.

자율운항선박의 육상제어 지연모델 고찰

  • Im, Jeo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42-43
    • /
    • 2020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자율운항선박(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MASS)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육상원격제어 시스템(Shore Remote Control System, SRCS)은, 비상 시 육상에서 원격으로 자격을 갖춘 원격제어사관(Remote Control Officer, RCO)이 MASS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SRCS 개발을 위해서는 SRCS 운영 중에 발생 가능한 제어지연(control delay)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SRCS의 설계에 요구되는 제어지연 특성을 분석하고 정량화하기 위한 제어지연 모델을 구축하는데 있다. 먼저, SRCS의 제어지연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하여 제어지연의 특징을 분석하여 최적의 SRCS에 요구되는 다양한 제어특징을 검토하였다.

  • PDF

Rudder Delay에 따른 선박조종 선회성능 비교 분석

  • 안지수;예병덕;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89-190
    • /
    • 2021
  • 자율운항선박의 원활한 개발을 위해 선박 조타 지연에 관하여 선박선회성능으로 시험해 그 결과를 알아보고, 추후 지연 시간에 따른 조타 실험을 계획해 발전에 기여한다.

  • PDF

Airport Punctuality Analysis Using Multi-Dimensional Visual Analysis Method (다차원 시각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공항 정시운항 분석에 관한 연구)

  • Cho, Jae-Hee;Lee, Dek-Ui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5a
    • /
    • pp.285-290
    • /
    • 2010
  • 인천공항 웹사이트에 공개되어 있는 여객운항 데이터를 수집하여 공항정시운항분석을 위한 데이터마트를 두 가지 구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항공사별, 국가별, 출항지별, 목적지별 출도착 패턴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데이터마트는 요일, 시간 등과 같은 시간차원, 운항도시, 경도좌표, 위도좌표등과 같은 공간차원, 항공사, 공항게이트, 지연여부, 경유여부, 출도착여부 등과 같은 일반차원으로 구성되며, 예정시간, 실제시간, 지연시간, 지연율 등과 같은 측정지표를 가지고 있다. 특히 데이터전처리 과정을 통해 각 운항도시의 경. 위도 좌표값을 추가하였고, 이에 따라 세계지도 위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시각화 분석도 실현 가능하게 되었다.

  • PDF

자율운항선박 원격제어시 발생하는 선박 조종 특성에 대한 분석

  • 전주영;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37-138
    • /
    • 2022
  • 자율운항선박(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MASS)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에서 규정하는 자율도 레벨(Degree of autonomy)의 Degree four에 해당하는 자율운항선박 개발까지 진행되는 가운데, 우리가 연구하고 있는 원격제어는 Degree two에서부터 필요한 주요 개발되어야 하는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 원격지에서 운항자가 원격제어시 발생되는 지연 상황에 대해 파악하였고 그중 선박 조종 특성에 의한 지연을 확인하였다. 추후 선박 조종에 영향을 주는 바람, 파고 등의 인자를 추가하여 보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할 예정이다.

  • PDF

충돌상황에서 항해사의 의사결정에 따른 상황인식 지연 측정에 관한 연구

  • 박득진;임정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83-184
    • /
    • 2021
  • 선박의 자율운항을 위해서는 선박 충돌회피에 대한 사전 연구가 필요하다. 항해사들의 상황인식과 의사결정에 기여하기 위해 주변 상황 환경을 인식하고 의사결정을 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지연(latency)이라고 한다. 따라서 연구 목적은 선박 충돌 상황에서 항해사의 의사결정 지연시간을 측정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항해사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한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항해사가 선박충돌상황시 상황인식과 의사결정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The Delay of Re-Routing Flight and Scope of Extraordinary Circumstances in the European Air Transportation Law: A Case Comment on A and Others v. Finnair Oyj [2020] Case C-832/18 (EU항공여객운송법 체제에서 대체항공편의 운항지연과 특별한 사정의 범위 - 2020년 EU사법재판소 A and Others v. Finnair Oyj, Case C-832/18 판결을 중심으로 -)

  • Sur, Ji-Min
    • The Korean Journal of Air & Space Law and Policy
    • /
    • v.35 no.2
    • /
    • pp.197-224
    • /
    • 2020
  • This paper reviews and criticizes some issues as to the case of A and Others v. Finnair Oyj [2020] Case C-832/18 by examining EU Regulations and practical point of views. Under this case, the travellers brought an action against Finnair in light of the Air Passenger Regulation12, seeking compensation for both the first cancelled flight, and the delayed re-routed flight. Finnair had paid the first compensation, but refused to grant the second claim, arguing that the regulation did not set out that passengers were eligible for a second claim in those situations, and that the delay of the second flight was a consequence of 'extraordinary circumstances' under the regulation. The Court of Appeal in Helsinki has asked the CJEU whether an air passenger is entitled to a further compensation where a re-routed flight they have agreed to take is delayed, where both the original and rerouted flight are operated by the same air carrier. The CJEU held that the regulation does not in any way limit the rights of passengers where they find their flights being re-routed. As such, under earlier CJEU case law, the relevant travellers here were entitled to compensation for cancellation of the first flight and delay of the second flight. It also disagreed with Finnair's assessment that the technical failure in the re-routing flight was a matter of extraordinary circum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