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운송용조종사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운송용항공기 조종사 훈련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raining Program for Air Transport Pilot)

  • 방장규;장만희;이근영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8-153
    • /
    • 2015
  • 최근 발생한 국적항공기의 사고들은 항공기가 정상인 상태에서 조종사의 항공기 시스템에 대한 이해부족과 악 기상에 대한 대처미흡과 함께 운송용 조종사들의 수동착륙 기량이 현저하게 낮은 데에 그 원인을 찾을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송용 항공기 조종사들에 적용된 훈련프로그램의 실태와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국제기구 및 항공선진국의 조치에 대한 문헌 연구와 함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항공사고 예방에 모의비행장치를 활용한 조종사 교육훈련이 큰 기여를 해온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다양한 비정상 조건하에서 조종사들의 기량을 확인하기에 적합한 고가의 모의비행장치를 평이한 훈련과목, 환경이 우수한 특급 공항을 선택하여 운영한다는 것은 모의비행훈련의 기본 목적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앞으로 조종사들의 기량향상을 위해서는 최악의 상황을 부여하고 안전하게 항공기를 운영하는 역량을 교육하고 평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데이터에 기반을 둔 조종사 훈련프로그램인 APQ 및 EBT 의 조기 도입을 항공사와 정부가 협력하여 추진할 경우 국적항공사 소속 운송용 조종사들에게 비정밀 접근, 수동착륙 환경에서도 자신감 있게 항공기를 운영할 수 있는 경쟁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조종사 운항자격 심사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Air Carrier Pilot's Qualification Check in Korea)

  • 황사식;최성호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2-43
    • /
    • 2014
  • Worldwide, air transport demand of this century is expanding rapidly, and each countries' demand is also increasing. Thus a number of low-cost carriers emerged in existing air transportation business sector and airman qualification check work regarding aviation safety management is increasing too. As the remedy for the result of aviation safety audit by ICAO and FAA in 2001 that governmental activity for aviation safety had been performed by a small number of aviation safety inspectors, airman qualification inspection system implemented by airlines was improved and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system that authorized airman qualification inspectors check airmen qualification with airline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trend.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of improvement of airman qualification inspection system that existing inspection system as the means of safety management can be transferred to Operations Safety Inspection(OSI) activity which is compliant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운송용 조종사의 조직시민행동 인식과 안전문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Airline Pilots'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Their Safety Culture)

  • 김근수;김기웅;최연철;최성수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3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at of safety culture by airline pilots. Finding factors which composed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paper will prove the effects of those factors to the safety culture of an airlin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eans the activities of members, based on their free will, to enhance organization's overall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which are, however, not officially and apparently approved by the organization. Safety culture is to contain the concept in the organization's protocol, procedure and policy affecting safety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was proven complianc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has a positive effect on safety culture through job satisfaction. Moreover, altruism and individual initiative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afety behavior of pilots.

정기항공사 소속 조종사의 비행경력에 따른 시계접근능력 차이 분석 : 비모수 통계검정을 포함하여 (A Difference Analysis on Visual Approach Accessibility of Airline Pilots Based on Flight Experience including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

  • 이근영;황재갑;장지승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04-113
    • /
    • 2019
  • 본 연구는 정기항공사 소속 조종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비행경력과 운항능력에 대한 실증연구를 하였다. 첫째, 정기항공사 소속 조종사들의 비행경력(비행시간 및 기종)에 따른 운항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신규로 항공운송용 조종사로 진입하고자 하는 인력들에 대해 항공사가 기대하는 조종사의 운항능력의 수준을 검증할 수 있었다. 분석결과 기장의 경우 해당기종 비행시간이 500시간이든 1500시간이든 시계비행 운항심사 결과 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기장은 1,500시간 이상부터는 시계비행 운항심사 결과의 차이가 나타났다. 부기장은 기장과 달리 해당기종 비행시간을 많이 가질수록 안정적인 시계접근을 할 수 있음이 판명된 것이다. 기종특성과 관련하여 cable 또는 fly-by-wire 기종에 따라 기장 집단은 시계비행 운항능력의 차이가없었다. 즉, 시계접근의 경우는 기종에 관계없이 기장급 조종사의 기량이 평가된다고 할 수 있겠다. 부기장집단에서는 기종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무인기 제어용 무선통신 기술 및 표준화 동향 (Technical and Standardization Trends on Control and Non-Payload Communications for Unmanned Aircraft Systems)

  • 김희욱;강군석;장대익;안재영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0권3호
    • /
    • pp.74-83
    • /
    • 2015
  • 무인기의 기술 발전에 따른 운송, 통신중계, 교통감시, 산불감시 진화, 재해 재난대처 등 무인기의 민간 및 공공 수요 확대로, 무인기는 국가 공역으로의 운항이 요구되고 있으며 국가 공역으로의 안전한 진입을 위해서는 유인항공기 조종사에 의한 시각 감지 및 회피와 동일한 수준의 안전성을 제공하는 탐지회피 능력과 함께 신뢰성 높은 무인기 제어용 통신링크 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무인기 제어용 통신링크에서 요구되는 기술적 특징 및 국내외 기술/표준화 동향을 파악하고 고신뢰성 무인기 제어용 통신링크 확보를 위한 기술적 및 표준화 이슈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네트워크기반 무인기 제어용 통신 연구개발 동향 (R&D Trends in Network -Based Control and Non-payload Communications for Unmanned Aircraft Systems)

  • 김희욱;홍태철;김대호;임광재;안재영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2권4호
    • /
    • pp.78-88
    • /
    • 2017
  • 무인기의 기술 발전에 따른 운송, 통신중계, 교통감시, 산불감시 진화, 재해 재난대처 등 무인기의 민간 및 공공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무인기는 국가 공역으로의 운항이 요구되는데, 국가 공역으로의 안전한 진입을 위해서는 유인항공기 조종사에 의한 시각 감지 및 회피와 동일할 수준의 안전성을 제공하는 탐지 회피 능력과 함께 신뢰성 높은 무인기 제어용 통신링크 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외 기술 개발 및 표준화 동향을 바탕으로 국가 공역에서의 무인기의 안정적 진입을 위해 필요한 무인기 지상 제어용 통신 및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비행 데이터 분석 기반의 불안정 접근 경감방안 (Unstable Approach Mitigation Based on Flight Data Analysis)

  • 김현덕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52-59
    • /
    • 2021
  • IATA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siation)의 운송용 항공기 사고 집계에 의하면, 사고 건의 61%가 비행의 접근 및 착륙단계에서 발생 되었으며, 이중 항공기의 불안정한 접근으로 인한 사고가 16%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조종사의 불안정한 접근 및 수정 조작 미흡에 따른 복행을 시행하지 않고, 무리하게 접근을 지속하여 사고로 이어진 것으로 식별되었다. 불안정 접근의 원인으로는 공항의 접근 절차, 조종사의 실수, 잘못된 계획, 업무 부하 (workload), ATC (Air Traffic Control) 혼잡 등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행 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활용하여, 불안정 접근 이벤트가 반복해서 발생하는 국내의 사례 공항과 기종을 선정하여, 주요 발생 이벤트, 공항 접근 절차, 조종사의 조작 뿐만이 아니라 공항의 기상, 지리적 여건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포함한 비행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불안정 접근 이벤트의 경향성과 발생 원인 및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제거하여 불안정 접근 이벤트의 경감조치 및 항행 안전 증진 방안 마련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운송용항공기의 이륙단념속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akeoff Decision Speed Improvement of Air Transport Airplane)

  • 노건수;최연철;유광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16
    • /
    • 2005
  • 항공기 운항에서 이륙과 착륙단계는 가장 어려우며 많은 사고가 발생되는 위험한 과정이다. 이륙단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상상황 가운데 가장 심각한 것은 이륙단념이다. 이륙단념 관련 사고의 대부분은 활주로 이탈사고로 연결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미국 NTSB는 사고발생의 주원인을 이륙이나 정지를 결심하는 시간지연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이륙단념속도(시간)에 대한 조종사들의 인지도와 적합성을 검토하였는데, 먼저 현장에서 항공기를 운용하는 조종사를 대상으로 한 이륙단념 설문을 통하여 이와 관련된 인지여부를 비롯한 기초자료를 측정하였고, 그 후 무작위로 선정된 조종사를 대상으로 모의비행장치(Simulator)를 이용하여 이륙단념 상황을 부여하고 이에 따른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현재 적용하는 기준과 비교하였다. 설문 결과, 일부 조종사들은 비행규정에 적용된 이륙단념의 기준과 현행 절차를 불만족스럽게 생각하고 있었다. 모의비행장치의 측정결과, 현장조종사의 이륙단념시간이 항공기 비행규정보다 1.5 초 더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국 현행 규정에 의한 Y1 속도에서 이륙단념을 하는 경우, 활주로 이탈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륙단념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관련 규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실제로 안전한 이륙단념을 위하여 $V_1$ 속도를 6노트 줄여서 사용하여야 이륙단념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