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운동신념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초

日本の新宗教運動におけるヒーリングとスピリチュアリティ -<いのち>のコノテーションとその現代的限界性-

  • 樫尾直樹
    • 대순사상논총
    • /
    • 제16권
    • /
    • pp.203-216
    • /
    • 2003
  • 본 논문의 목적은 근·현대의 일본 신종교운동들의 치료문화의 특징을 밝힘으로써 일본의 영성을 설명하는 것이다. 일본의 신종교운동들은 마음과 영혼에 상당한 비중을 주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들은 '마음의 회복'이라고 불리는 일정한 의식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자아의 변화이다. 본인은 일본의 치료문화의 배경 안에서 그 의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현대 일본의 신종교운동들은 일본의 전통적인 치료문화를 계승하여 발전시켰기 때문이다. 일본 영성의 특징은 자아와 훌륭한 삶 사이의 연계감이며, 일본의 치료문화의 특징은 바로 그 영성에 바탕을 둔 신념과 의식에의 관심을 통한 삶과의 교섭에 중점을 두며, 일본과 같이 풍부하고 포스트모던한 사회 안에서 삶의 활력을 느끼기에 불가능하고 일본의 보통의 삶 안에서의 죽음에 대한 경험의 부재라는, 그래서 그것이 없이는 생동감 있고 명랑하게 살 수 없는 그것의 현대적 한계성을 지적하면서 결론을 위해 이 주제를 세 가지 점에서 다룬다. 1. 일본 신종교운동들의 역사 2. 그 치료와 영성 3. 생기 있는 영성

  • PDF

건강신념모형에 기초한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to Health Behavior by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 이은선;나백주;이무식;이진용;홍지영;임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1057-1060
    • /
    • 2011
  •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의 주요 변수와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를 촉진하고 더 나아가 만성질환 보건사업 및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09년 07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총콜레스테롤이 240mg/dl 이상이고, 중성지방이 200mg/dl 이상으로 고지혈증을 진단받은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14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SPSS WIN(14.0 한글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ronbach's alpha의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TG에 대한 인지수준 중 TG에 대한 인지가 가장 높았고, 3가지 모두를 인지한 경우는 28.08%였다. 또한 9가지 항목에 대한 고지혈증 지식수준은 9점 만점에 평균 6.51이었으며,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건강행태수준도 높았다. 둘째, 요인분석을 통하여 10개의 건강행태를 2개 요인으로 재분류 하였다. 그 결과, 건강행태 요인 1은 '식이, 운동 습관 및 고지혈증 검사 및 관련 검사요인', 건강행태 요인 2는 '흡연, 음주 습관 및 고지혈증 치료 관련 요인'이었다. 건강행태 요인1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건강신념변수는 심각성, 이득, 장애로 나타났고, 취약성은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신념 요인들과 건강행태 간의 상관되는 순서는 이득(r =.455), 심각성 (r=.38), 장애(r=-.244) 순으로 나타나 고지혈증에 대한 이득 인식이 건강행태 요인1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건강행태 요인2는 건강신념변수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행동계기에 따른 건강행태의 관계를 살펴보면, 교육을 받았을 때 건강행태 요인1과 요인2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이 고지혈증 환자의 건강행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넷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고지혈증 건강행태 요인1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유의한 요인으로 인지된 심각성 및 이점 신념요인, 교육여부, 보건소 교육정도 이었다. 건강행태 요인2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여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건강신념모형이 고지혈증 건강행태를 예측하는데 적합한 모형이라고 판단 할 수 있으며, 건강행태 요인 특성에 따라 건강신념변수 중 고지혈증 예방에 대한 이득을 높이 인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교육목표를 설정하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 PDF

미국 노인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 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A Prediction Model of Fear of Falling in Older Adults Living in a Continuing-Care Retirement Community(CCRC) in United States)

  • 정덕유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243-258
    • /
    • 2009
  • 배경: 낙상은 노인의 가장 일반적이고 심각한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낙상은 중요한 신체적 심리적 영향을 주며 결과적으로 신체적 행동약화나 기능의 위축, 사회적 기능 약화 등을 야기시킨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낙상 후의 심리적, 정신적 부분은 간과되어져왔다. 낙상 후 노인들이 심리적 또는 정신적으로 보고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다시 낙상을 할 것이라는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목표: 이 논문은 노인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모델을 테스트하는데 있다. 또한, 낙상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노인의 운동과 운동에 대한 신념, 운동에 대한 기대감의 관계를 연구함에 있다. 방법: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시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149명을 대상으로 2004 11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수집된 2차 자료를 이용해서 결과가 분석되었다. 참가 가능 노인으로는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며, 인지적으로 이상이 없고 (MMSE>20), 65세 이상의 나이를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한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2.0을 통해 빈도분석과 상관분석 등이 사용되었고, 모델 평가를 하기 위해서 AMOS프로그램을 통해 path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모델 내 49개의 path중에 13개의 path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모델의 22%가 설명되어졌다. 모델의 확실성은 chi-square를 통해서 조사되었고 결과 모델의 확실성이 입증되었다. 또한, CFI 는 0.99 RMSEA는 0.00으로 모델을 지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성별, 과거 낙상경험, 운동은 노인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논의: 본 연구는 노인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총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운동에 대한 신념과 결과에 대한 기대치가 노인의 운동을 설명하는 직접적 변수로,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설명하는 간접적인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노인들이 낙상의 두려움을 줄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혈액 투석 환자의 운동 신념, 신체활동과 삶의 질 (The Attitude on Exercise,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 손현숙;이미진;강선미;한영옥;문경희;김동일;이윤주;전용관;추상희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15-2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attitudes on exercise,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QOL) in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A total of 42 patients in a hemodialysis unit participated in this study. Physical activity level was measured directly by 6 minute walking test and grip strength test.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lso used for measuring their attitudes on exercise, physical activity and QOL. Participants'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for obtaining their biochemical and clinical informa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r regression. Result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nts' attitudes and physical activity level measured by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Q) was found. And the physical activity level measured by Korea Activity Scale/Index (KASI)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QOL.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QOL of the hemodialysis patient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

존 그린리프 위티어의 시에 반영된 반 노예제 운동의 성취 (John Greenleaf Whittier's Poems Reflecting the Achievement of Anti-slavery Movement)

  • 이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05-110
    • /
    • 2023
  • 본 연구는 존 그린리프 위티어의 반노예제 시를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독실한 퀘이커 교도인 위티어는 19세기에 만연한 노예제를 비판했다. 그의 활동은 종교적 신념에 기반한 것이었다. 노예폐지운동에 언론인 등으로 참여했던 위티어는 1830년대부터 1860년대 중반까지 집중적으로 반노예제시를 썼다. 「버지니아 노예 어머니의 이별」은 남부로 팔려간 딸에게 느끼는 노예 어머니의 비통한 심정을 묘사하며 독자의 공감을 유도한다. 「매사추세츠에서 버지니아로」에서 화자는 버지니아의 도덕적 타락에 비통해 하면서 노예를 노예주로 되돌려보내는 것을 거부한다. 「마침내 오르다」는 떠오르는 달을 정치적, 사회적 상징으로 사용하면서, 도주 노예법의 통과를 찬양한다. 남북 전쟁 이후에 작시된 「평화의 가을」은 노예 해방이 선포된 후 평화로운 상황을 묘사한다. 위티어의 노력은 노예해방 운동과 문학에 기여한 바가 크다.

부모의 양육신념,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Parental Beliefs, Parental Attitude and Parental Behavior of Parents on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Preschoolers)

  • 하순련;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131-156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부모의 양육신념과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의 각 변인들의 중요성에 관한 충분한 이해와 또한 이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유아의 흥미와 관심, 강점과 약점 등 유아의 구체적인 욕구를 중심으로 유아의 다중지능 경험을 보다 통합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성별구분에 따라 언어지능, 음악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지능, 음악지능, 공간지능은 여아가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나 논리수학지능은 남아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연령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연령구분에 따라 전체 다중지능가운데 논리수학지능, 신체운동지능, 자연지능에서 만 5세 유아가 만 4세 유아와 비교하여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 셋째, 유아부모의 양육신념, 양육태도, 양육행동이 유아 다중지능의 각 하위변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유아 다중지능의 가장 큰 변인은 유아부모의 양육태도였으며, 그 다음이 유아부모의 양육행동이었으며, 양육신념은 극히 영향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다중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지원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정도가 객체화된 신체의식(OBC)에 미치는 융합 연구 (Fusion research is the degree of participation leisure sports physically disabled persons on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OBC))

  • 김동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247-254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체육 참여정도가 지체장애인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면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지체장애인들 2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요인에 대한 분석은 독립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론으로는 첫째, 지체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성별(남성), 연령별(40대, 50대), 장애등급별(4급)에 따른 객체화된 신체의식 수준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정도(운동기간, 운동시간, 운동강도)는 객체화된 신체의식의 신체 수치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신체 감시성에서는 운동기간, 신체수치심에서는 운동강도, 통제신념에서는 운동시간이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비만스트레스와 건강신념이 체중조절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besity Stress and Health Belief on Weight Control Behavior among Nursing Students)

  • 함미영;임소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459-468
    • /
    • 2017
  • 본 연구는간호대학생의 비만스트레스와 건강신념이 체중조절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9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U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t=2.30, p=.044), 건강상태(F=8.03, p<.001)가 체중조절행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체중조절행위의 식이요법(r=-.26, p<.001), 운동요법(r=-.25, p<.001)과 행동수정요법(r=-.29, p<.001)이 지각된 장애성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체중조절행위의 전문지식획득은 비만스트레스(r=.42, p<.001), 지각된 민감성(r=.25, p<.001)과 지각된 유익성(r=.19, p<.001)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체중조절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은 건강신념 중 지각된 장애(${\beta}=-.30$, p<.001)와 비만스트레스(${\beta}=.20$, p<.05)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의 총 설명력은 17.2%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체중조절행위에 영향을 주는 성별, 건강상태 및 비만스트레스와 건강신념의 변인들을 이용하여 체중조절행위를 실천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공무원시험 준비 수험생들의 건강증진행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xaminees Preparing for The Civil-Service Examination)

  • 김윤수;이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75-28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공무원시험 준비 수험생의 건강증진행위 정도와 건강신념, 자기효능감을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학원이 밀집된 노량진 주변에서 공무원 시험을 준비 중인 수험생 209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1일부터 19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ver. 23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oneway ANOVA,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하였다. 건강증진행위 실천정도는 평균 $2.37{\pm}0.45$점, 건강신념은 평균 $3.13{\pm}0.45$점, 자기효능감은 평균 $3.55{\pm}0.74$점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신념의 하부요인인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유익성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60, p<.001; r=.55, p<.001), 지각된 장애성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32, p<.001).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지각하는 건강상태와 건강신념의 하위요인 중 지각된 장애성이였고, 이들이 건강증진행위의 25.1%를 설명하였다(F=13.58, p<.001). 공무원시험 준비 수험생은 장기간 학업을 지속하고 심한 취업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양질의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 정기적인 건강검진 등을 실천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건강증진행위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경로당 노인의 건강신념과 운동이행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and Exercise Compliance among Elderly Adults at Senior Centers)

  • 이경임;은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79-88
    • /
    • 2015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and exercise compliance among elderly adults at senior center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exercise compliance.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elderly adults who were using senior centers in J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5th of August to the 14th of September in 2014 using a questionnaire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belief, and exercise compliance. Data analysis included one-way ANOVA, independent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18.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exercise compliance was 3.85 (range 1~5), and for perceived health state 3.17 (range 1~5). The mean score for each of the sub-factors of health belief was 3.89 for benefit, 1.94 for barrier, 3.34 for severity, 2.43 for sensitivity, and 3.65 for exercise self-efficacy (range 1~5).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ercise compliance and exercise benefit, and 28% of variance in exercise compliance was explained by exercise benefit in health belief, family history of illnesses, and perceived sensitivity in health belief. Conclusion: To promote exercise compliance among elderly adults at senior centers, exercise programs emphasizing exercise benefit should be develo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