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ediction Model of Fear of Falling in Older Adults Living in a Continuing-Care Retirement Community(CCRC) in United States

미국 노인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 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 Jung, Dukyoo (Division of Nursing Science, College of Health Sciences, Ewha Womans University)
  • 정덕유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Received : 2008.11.30
  • Accepted : 2009.02.25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Background: Falls are among the most common and serious health problems of older people. The psychological symptoms of falling have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compared to physical problems.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a model to explain the factors that influence fear of falling among older adults living in a continuing care retirement community (CCRC) in Baltimore city, United States. Methods: A secondar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obtained from a Health Promotion Survey done on 149 older adults living in a CCRC. Data was originally obtained during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Descriptive statistics and bivariate correlations were used to describe the sample and evaluate simple correlations. A path analysis was done using the AMOS 4.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Of the 49 hypothesized paths, 1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model accounted for 22% of the variance in fear of falling among the elderly. There was support for the fit of the model to the data with a nonsignificant chi square at 0.478 (df=2, p=0.79), and the ratio of chi-square to degrees of freedom was 0.24, a CFI of 0.99 and RMSEA of 0.00. In particular, gender, a history of falling, and exercis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fear of falling. Conclusions/Implications: As anticipated, exercise is an important factor to prevent fear of falling. As a modifiable variable,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indirectly influence fear of falling through exercise.

배경: 낙상은 노인의 가장 일반적이고 심각한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낙상은 중요한 신체적 심리적 영향을 주며 결과적으로 신체적 행동약화나 기능의 위축, 사회적 기능 약화 등을 야기시킨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낙상 후의 심리적, 정신적 부분은 간과되어져왔다. 낙상 후 노인들이 심리적 또는 정신적으로 보고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다시 낙상을 할 것이라는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목표: 이 논문은 노인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모델을 테스트하는데 있다. 또한, 낙상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노인의 운동과 운동에 대한 신념, 운동에 대한 기대감의 관계를 연구함에 있다. 방법: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시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149명을 대상으로 2004 11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수집된 2차 자료를 이용해서 결과가 분석되었다. 참가 가능 노인으로는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며, 인지적으로 이상이 없고 (MMSE>20), 65세 이상의 나이를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한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2.0을 통해 빈도분석과 상관분석 등이 사용되었고, 모델 평가를 하기 위해서 AMOS프로그램을 통해 path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모델 내 49개의 path중에 13개의 path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모델의 22%가 설명되어졌다. 모델의 확실성은 chi-square를 통해서 조사되었고 결과 모델의 확실성이 입증되었다. 또한, CFI 는 0.99 RMSEA는 0.00으로 모델을 지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성별, 과거 낙상경험, 운동은 노인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논의: 본 연구는 노인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총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운동에 대한 신념과 결과에 대한 기대치가 노인의 운동을 설명하는 직접적 변수로,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설명하는 간접적인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노인들이 낙상의 두려움을 줄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