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식경험영구치지수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7초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한 주관적 구강건강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Oral Health Cognition Using 6th Six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 송애희;김화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49-57
    • /
    • 2017
  •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경제적 요인, 치주질환 및 영구치 우식경험에 따른 구강건강의 격차를 확인하고,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분석하여 정책 계획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본인이 인지하는 구강상태에 응답한 7,639명으로 하였고, 분석방법은 복합 표본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시행하였다. 결과는 연령이 높고, 가구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이 나쁘고, 구강검사를 한 대상자는 구강건강을 좋게, 치주질환이나 영구치우식경험자는 구강건강을 나쁘게 인식하였다.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치주질환 경험자, 영구치우식경험자 등이 구강건강에 부정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구강건강의 불평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정책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문화 결혼이주여성의 구강건강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 경북 김천시를 중심으로 (Oral health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n Gimcheon, Gyeongbuk, Korea)

  • 이종화;남인숙;전매숙;윤현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65-872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al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n Gimcheon, Gyeongbuk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were 73 multicultural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n Gimcheon, Gyeongbuk in Korea. The study methods consisted of direct interview with the subjects and oral examination through dental mirror and head lamp by one dentist and two dental hygienists.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use of medical services,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toothbrushing, and socio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oral health behavior and DMFT index. The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significantly changed after the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The recognition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oral health education by the dentist and the dental hygienist. Conclusions: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immigration into Korea. Therefore, Korean government should try to provide the better medical services to the international marriage women and protect their human rights as Korean immigrants on the basis of the Law.

다문화 이주여성의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ral health status of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이종화;최미숙;장영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45-153
    • /
    • 2017
  • Objectives: This paper aimed to contribute to better oral disease prevention and practice of health behavior for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define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of immigrant women,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as used. Methods: For the immigrant women to be subjects, they needed to be born overseas, had acquired Korean citizenship as a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he estimate of the number of subjects was 133,093 women. For analyzing data, SPSS 21statistical program was used. We used covariance analysis (ANCOVA) andgeneral linear models for finding the relation with the missing and filled permanent teeth index. The significance level was 0.05. Results: DMFT-index of immigrant women was 7.33 points. $R^2$ was 0.416; and increased with age, and $R^2$ was 0.126 points higher (p<0.01). In household income, 'lower' was 5.933 points lower than 'upper' (p<0.05), and in toothbrushing after lunch, 'yes' was 3.598 points lower than 'no' (p<0.01). In preventive treatment, 'yes' was 4.301 points lower than 'no' (p<0.05).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or maintaining oral health of immigrant women, we think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develop an oral health policy and a customized education system suited to immigrant women for preventive management of dental disease in immigrant women. In addition, basic data will be provided for public dental health program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울산광역시 장애인 구강진료사업의 성과 분석 : 초중고 학생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oral health service program for disabled persons in Ulsan, Korea)

  • 김민지;전은주;한동헌;정승화;김진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97-303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disabled people in Ulsan. Methods : Two dentists taken a calibration training for national oral health survey examined the Oral health status on 110 disabled people in Ulsan, in 2009. The surveyed disabled people, 6 to 19 years old, have been supplied with the oral health care services by dentists, oral hygienists and volunteers at dental clinics of schools and a dental clinic supported from Ulsan Metropolitan City Nam-Gu Health Center since 1997. The obtained data from these survey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Results : Among subjects aged 12-14 years, DMF rate was 38.2%; Active D rate, 17.6%; DMFT index, 1.15; DT rate, 33.33%; MT rate, 0.00%; FT rate, 66.67%. Oral heath status of disabled people in Ulsan were evaluated to be a similar level to the Ulsan non-disabled citizens from 2010 Korean National Survey. Conclusions : The oral health care programs for disabled people using voluntary dentists, oral hygienists and other workers in Ulsan are evaluated to be effective for the disabled people.

청소년의 식이 심리사회적 요인과 식습관 및 우식경험영구치지수간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Dietary Habits and DMFT Index in Adolescents)

  • 장종화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33
    • /
    • 2009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level of psychosocial factors, dietary habits and DMFT index and to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in 12-year-old adolesc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1,831 total students from 14 middle school who lived Seosan with mean age of 12.46 years.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 administrated questionnaire from April 13 to May 24, 2009. Psychosocial factors and dietary habits were measured using the 5-items and 10-items. A trained investigator made an oral examination of them in natural light using a mirror and explorer to determine their DMFT index.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one-way ANOVA, and Tukey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WIN 15.0 program. Results: Regarding dietary self-efficacy, perceived benefit and perceived barrier degree, the subjects achieved a mean of $3.89{\pm}0.69$, $3.48{\pm}0.63$ and $3.82{\pm}0.63$ out of a maximum 5 points. And the dietary habit degree of subjects achieved a mean of $10.69{\pm}4.02$ out of a maximum 20 points and the DMFT index were $1.91{\pm}2.26$. Dietary habi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social factor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MFT index. And then perceived barrier scor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MFT index.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dental caries experience is associated with perceived barrier and dietary habi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lementation of health promo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various psychosocial factors and dietary habits in adolescents.

대구광역시 일부초등학교 구강보건실의 계속구강건강관리 평가 (The Appraisal for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in Daegu, Korea)

  • 박지혜;이영은;김지영;김혜영;최연희;송근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21-52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이 초등학교 아동들의 치아우식증 예방에 기여하는 효과를 평가할 목적으로 대구광역시 남구보건소에서 보건복지부의 지원으로 학교구강보건실이 설치된 초등학교를 관리군으로 선정한 후 구강검진 자료를 이용하여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 열구전색영구치수 및 열구전색 영구치 보유자율 등의 여러 가지 구강건강지표를 산출하였다. 또한 사업효과 평가를 위해 대조군으로 선정된 인근의 초등학교의 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 아동의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는 관리군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이 0.07면, 0.39면, 0.55면, 0.67면, 0.81면 및 1.79면이었고, 대조군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이 0.31면, 0.86면, 1.07면, 1.04면, 2.71면 및 3.08면으로 고학년인 5, 6학년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2. 조사대상 아동의 열구전색영구치수는 관리군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이 0.44개, 3.34개, 3.35개, 3.80개, 4.31개 및 4.97개였고, 대조군 초등학교 1-6학년 아동들은 0.98개, 1.45개, 2.26개, 2.51개, 1.73개 및 2.68개로 관리군의 1학년을 제외한 모든 아동에서 보유하고 있는 치면열구전색영구치수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01). 3. 조사대상 아동의 열구전색영구치 보유자율은 관리군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이 19.5%, 100.0%, 96.4%, 96.1%, 98.1% 및 97.0%였고, 대조군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의 33.3%, 52.9%, 73.3%, 72.5%, 53.8% 및 60.0%로 1학년을 제외하고는 모든 학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은 치아우식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효과를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장기간 지속적이며, 포괄적인 구강보건진료의 시행이 필요합니다.

제1대구치 복합레진 수복의 5년 누적 생존율 (5 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in Permanent First Molars)

  • 정윤선;신지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10-317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12세 이하 어린이의 영구치에서 복합레진 수복물의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평가하고 치아 및 환자에 관련된 요인에 따른 복합레진 재수복 위험도를 분석하는 데 있다. 2010년 7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우식증에 이환된 제1대구치에 복합레진 수복을 진행한 어린이(6 - 12세) 172명의 전자의무기록 및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였다. 치아의 종류, 와동의 형태 등 치아에 관련된 요인과 어린이의 연령, 우식 위험도 등 환자에 관련된 요인에 따른 복합레진 재수복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우식 위험도는 어린이의 만 5세 때 기록을 바탕으로 유구치에 한정한 우식경험유치지수를 산정하여 평가하였다. 354개의 수복물 중 272개의 수복물이 생존하였고, 82개의 수복물이 관찰 기간 내에 재수복되었고 전체 수복물의 5년 누적 생존율은 73.9%로 산출되었다. 재수복 원인의 81.7%는 이차우식이 차지하였다. 어린이의 연령이 높을수록, 우식 저위험군일수록 복합레진의 수복물의 생존율은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복된 치아의 위치 또한 복합레진의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수복된 와동의 종류는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p = 0.002).

간 이식 예정 환자의 구강건강상태 및 치과치료 요구도에 관한 연구 (Oral Health Status and Dental Treatment Need of Liver Transplant Candidates)

  • 박태준;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1호
    • /
    • pp.1-9
    • /
    • 2009
  • 간 이식은 진행성 간병변의 말기에 있는 환자나 간 대사 질환, 간암 등을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 최종적으로 행해지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간 이식 전후에는 타 장기의 이식수술 시와 마찬가지로 거부반응을 최소화하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면역억제요법을 시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면역력이 감소되어 전신 감염에 이환되기 쉬운 상태에 처하게 된다. 간 이식수술 전 치과적 처치의 일차적 목표는 간을 이식한 후 전신적인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구강 감염요소를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술전 치과적 처치는 이식 후 감염 가능성을 줄여줌으로써 이식수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므로 환자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구강검진을 비롯한 계속적인 치과적 관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간이식 수술을 예정으로 수술 전 구강검진을 위해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90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구강위생의 정도, 전신질환 병력과 치과치료 요구도, 치과치료 요구도의 충족 정도, 치과병원 내원일과 간이식 수술 예정일과의 시간 간격 등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군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를 분석한 결과 간이식 환자들의 DT는 2.68개, MT는 4.02개, FT는 3.42개, 그리고 DMFT index는 10.12개로 나타났다. 2. 환자군의 구강위생 상태를 조사한 결과 중등도 이상의 식편 압입이 20.0%로 나타났고, 중등도 이상의 치석을 가진 환자는 42.2%였으며 부종을 동반한 치은염증은 37.8%의 환자들에서 관찰되었다. 3. 환자군에게 필요한 치과치료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치주치료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였고 그 다음으로 보존치료, 구강악안면외과적 치료의 순서였다. 4. 90명의 환자 중 간이식 예정일이 확정된 상태로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는 39명이었고 간이식 예정일과 치과병원에서의 구강검진일자와의 시간간격을 조사한 결과 간이식 예정일과 구강검진일자와의 시간간격이 2주 이하가 32.2%, 1주 이하가 20.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간 이식수술 전 구강검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은 이식수술 후 잠재적 감염원의 제거를 위해 해결이 필요한 뚜렷한 치과치료 요구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간 이식수술 전 치과치료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못하는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포괄적인 치과관리를 받지 못한 채 이식수술을 받고 있다. 따라서 간 이식수술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조기 구강건진과 포괄적인 구강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협진 체계가 마련된다면 잠재적인 구강 감염원의 충분한 제거로 간 이식수술의 예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 저소득층 고령 주민의 구강건강실태 (Oral Health Status of Needy Old Residents in Urban Area)

  • 손우성;허복;박수병;김진범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2-89
    • /
    • 1996
  • 도시 고령 영세민들의 구강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구강보건진료사업을 개발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운봉영구임대아파트 단지 주민들 중 44세이상의 인구를 대상으로 구강건강행동과 구강건강실태를 조사분석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일 잇솔질횟수는 44-54세에서 1,9회, 55-64세에서 1.7회, 65세이상에서 1.7회이었고, 식후 잇솔질률은 44-54세에서 73.7%, 55-64세에서 식후 잇솔질률은 70.6%, 65세이상에서 식후 잇솔질률은 76.5%이었다. 2.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44-54세에서 15.5개, 55-64세에서 16.4개, 65세이상에서 26.6개이었다. 3. 우식영구치율은 44-54세에서 23.9%, 55-65세에서 11.6%, 65세이상에서는 11.7%이었고, 상실영구치율은 44-54세에서 55.5%, 55-65세에서 62.8%, 65세이상에서는 77.4%이었으며, 처치영구치율은 44-54세에서 20.0%, 55-65세에서 25.0%, 65세이상에서는 10.9%이었다. 4. 건전영구치수는 44-54세에서 16.4개, 55-64세에서 15.6개, 65세이상에서 5.4개이었고, 현존영구치수는 44-54세에서 23.7개, 55-64세에서 21.6개, 65세이상에서 10.9개이었다. 5. 치면세마필요자율은 44-54세에서 75.0%, 55-64세에서 83.3%, 65세이상에서 76.9%이었으며, 복합치주병치료 필요자율은 44-54세에서 16.7%, 55-64세에서 13.3%, 65세이상에서 15.4%이었다. 6. 치면세마 필요분악률은 44-54세에서 59.3%, 55-64세에서 71.5%, 65세이상에서 71.5%이었으며, 복합치주병치료 필요분악를은 44-54세에서 5.6%, 55-64세에서 4.1%, 65세이상에서 5.7%이었다. 7. 도시 저소득층 고령 주민들의 구강건강향상을 위해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구강보건진료사업을 개발하여야 한다.

  • PDF

노인의 객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간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among the community elderlies)

  • 안권숙;신미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923-938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ttempted in order to grasp oral health level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elders in some communities, and to evaluate oral health status and its association.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erformed with 235 people, who were over 65 years and resided in Daejeon Province, from June 20 to July 10, 2011. An individual interview was held, and they got a dental checkup. As for data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were utilized.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erformed with 235 people, who were over 65 years and resided in Daejeon Province, from June 20 to July 10, 2011. An individual interview was held, and they got a dental checkup. As for data analysis,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were utilized. Results : The older age in the whole research subjects and the lower educational level led to the less remaining teeth and the larger missing teeth index. The decayed missing filled teeth index and the decayed missing filled teeth rate were higher in more women and older age and in the lower educational level. Tooth mortality rate was higher in the older age, the lower educational level, and the group of living together with spouse. The maxillary-mandibular fixed-bridge status in the mouth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in the full-denture mounting ratio as for elders in over 80 years old.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average score was $56.05{\pm}11.64$ in the whole research subjects The decayed missing filled teeth index and the decayed missing filled teeth rate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cayed missing filled teeth rate, tooth mortality rate and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OHIP-14. Tooth mortality rat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OHIP-14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14)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its factors. Conclusions : Accordingly, the policy effort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that implements in elders in order to spend active senescence, and that elders' health and oral-health behavior can be implemented continuously and preventively through classification according to elders' physical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