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ppraisal for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in Daegu, Korea

대구광역시 일부초등학교 구강보건실의 계속구강건강관리 평가

  • Park, Ji-Hye (Dept. of Preven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Eun (Dept. of Dental Hygiene, Daegu Health College) ;
  • Kim, Ji-Young (Dept. of Dental Hygiene, Ulsan College) ;
  • Kim, Hye-Young (Dept. of Dental Hygiene, Dongeui University) ;
  • Choi, Youn-Hee (Dept. of Preven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ong, Keun-Bae (Dept. of Preven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지혜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 이영은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 김지영 (울산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 김혜영 (동의대학교 치위생과) ;
  • 최연희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 송근배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Received : 2011.08.19
  • Accepted : 2011.12.12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ong term effect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on decrease of dental cari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727 students of one elementary school in Deagu, Korea. They had received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for more than one year since 2004. This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included regular oral examination, fluoride mouth-rinsing, pit-and-fissure sealing, APF gel application, tooth brushing instruction and take the xylitol tablet after lunch during school days. The subjects' oral health status were examined by two calibrated dentists every year from 2004 to 2009. The DMFS index of $1^{st}$ grade to $6^{th}$ grad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as 0.07, 0.39, 0.55, 0.67, 0.81, 1.79 and 0.31, 0.86, 1.07, 1.04, 2.71, 3.08 respectively. It's significantly different in $5^{th}$ grade(p<0.001) and $6^{th}$ grade(p=0.018) when it compare with control group. This study partially showed effect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on decrements of dental caries. This program should be expanded widely among elementary school in Korea. Xylitol tablet also recommended to included in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본 연구에서는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이 초등학교 아동들의 치아우식증 예방에 기여하는 효과를 평가할 목적으로 대구광역시 남구보건소에서 보건복지부의 지원으로 학교구강보건실이 설치된 초등학교를 관리군으로 선정한 후 구강검진 자료를 이용하여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 열구전색영구치수 및 열구전색 영구치 보유자율 등의 여러 가지 구강건강지표를 산출하였다. 또한 사업효과 평가를 위해 대조군으로 선정된 인근의 초등학교의 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 아동의 우식경험영구치면지수는 관리군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이 0.07면, 0.39면, 0.55면, 0.67면, 0.81면 및 1.79면이었고, 대조군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이 0.31면, 0.86면, 1.07면, 1.04면, 2.71면 및 3.08면으로 고학년인 5, 6학년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2. 조사대상 아동의 열구전색영구치수는 관리군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이 0.44개, 3.34개, 3.35개, 3.80개, 4.31개 및 4.97개였고, 대조군 초등학교 1-6학년 아동들은 0.98개, 1.45개, 2.26개, 2.51개, 1.73개 및 2.68개로 관리군의 1학년을 제외한 모든 아동에서 보유하고 있는 치면열구전색영구치수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01). 3. 조사대상 아동의 열구전색영구치 보유자율은 관리군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이 19.5%, 100.0%, 96.4%, 96.1%, 98.1% 및 97.0%였고, 대조군 초등학교 1-6학년 아동의 33.3%, 52.9%, 73.3%, 72.5%, 53.8% 및 60.0%로 1학년을 제외하고는 모든 학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은 치아우식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 효과를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장기간 지속적이며, 포괄적인 구강보건진료의 시행이 필요합니다.

Keywords

References

  1. Harris NO, Garcia-Godoy F: Primary preventive dentistry. 6th ed. Stanford, Appleton & Lange, pp. 393, 2006.
  2. 권정현 등: E-초등학교 어린이의 영구치 맹출시기 및 순서.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6(2): 253-261, 2009.
  3. 서현석 등: 학교계속6세구치관리사업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 16(2): 400-418, 1992.
  4. 보건복지부: 2008년 구강보건사업기본계획. 서울: 보건복지부, 2008.
  5. Seoul school health promotion center data: 2003 Annual Report on School Health. Retrieve November 3, 2011, from http://www.bogun.seoul.kr. html# Seoul school health promotion center(2004, February 28)
  6. 보건복지부: 2004년도 구강보건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2004.
  7. 보건복지부: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성과평가결과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 2007.
  8. 구강보건사업지원단: 구강보건사업관련 현황. 서울: 구강보건사업지원단, 2010.
  9. 임순환, 김응권, 권미영: 초등학교 내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여부에 따른 아동의 치아우식경험도 비교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5(4): 233-238, 2005.
  10. 한지형, 황지민: 과천시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및 비운영학교 학생의 구강보건의식에 관한 비교. 치위생과학회지 8(1): 28-33, 2008.
  11. 안용순, 장종화, 이영수: 안양시 B초등학교 학교구강보건실 운영사업이 학생구강건강에 미치는 효과. 치위생과학회지 8(4): 375-380, 2008.
  12. 신승철, 조응휘, 서현석: 학교계속구강건강관리 사업의 사례연구 및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4(2): 185-203, 2000.
  13. 강승훈 등: 학교구강보건실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 효과 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0(3): 231-242, 2006.
  14. 최유경 등: 대전광역시 동구 일부학교구강보건실의 구강보건사업의 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2(3): 386-395, 2008.
  15. Nakamura A et al.: Long-term follow-up of the effects of a school-based caries preventive programme involving fluoride mouth rinse and targeted fissure sealant: evaluation at 20 years old. Int Dent J 59(4): 215-221, 2009.
  16. Peng B et al.: Can school-based oral health education and a sugar-free chewing gum program improve oral health? Results from a two-year study in PR China. Acta Odontol Scand 62(6): 328-332, 2004. https://doi.org/10.1080/00016350410010036
  17. 이광희 등: 우리나라 어린이와 청소년의 구강건강을 위한 공공서비스의 현황과 전망.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5(3): 578-588, 2008.
  18. Petersen PE et al.: Effect of a school-based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me in Wuhan city, peoples Republic of China. Int Dent J 54(1): 33-41, 2004. https://doi.org/10.1111/j.1875-595X.2004.tb00250.x
  19. Vanobbergen J et al.: The effectiveness of a 6-year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me for primary schoolchildre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2(3): 173-182, 2004. https://doi.org/10.1111/j.1600-0528.2004.00151.x
  20. Alanen P, Isokangas P, Gutmann K: Xylitol candies in caries prevention: results of a field study in Estonian childre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8(3): 218-224, 2000. https://doi.org/10.1034/j.1600-0528.2000.280308.x
  21. Makinen KK et al.: Six-month polyol chewing-gum programme in kindergarten-age children: a feasibility study focusing on mutans streptococci and dental plaque. Int Dent J 55(2): 81-88, 2005.
  22. 장기완, 김진범: 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구강건강조사법. 1차, 서울, 고문사, pp. 50-58, 2000.
  23. 보건복지부: 2010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2010.
  24. 최승혁 등: 창원시 구강보건사업의 치아우식에방효과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1(4): 521-533, 2007.
  25. 박지혜, 정성화, 송근배: 대구광역시 초등학교 구강보건실 시범운영의 효과평가.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5(1): 71-81, 2008.
  26. 박지혜 등: 대구광역시 일부초등학교 구강보건실 운영5년차 효과평가.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3(2): 235-24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