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리 모두의 장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Subject Related to Public Libraries: Knowing Public Library as a Commons (공공도서관 관련 교양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 '우리 모두의 장'으로서 공공도서관 알아차리기 -)

  • Mahnsoung Ha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4 no.2
    • /
    • pp.33-57
    • /
    • 2023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ons for all' related to public libraries as much as possible, design the learning content, and finally to demonstrate whether the contents meet the general education requirement of universities. The public library is a study hall for multi-literacy, a common place for lifelong learning without discrimination, a place for experiencing digital sharing culture, a place for practicing public architectural design for community regeneration, a workshop for the maker movement and finally, a hub for forming local communities. In short, it has all the characteristics appropriate to being a commons. This subject titled "Sharing Culture and Local Libraries" is designed and composed with various literacy understanding, information ethics of information literacy, community consciousness an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public consciousness, cooperative spirit and computer utilization ability, interdisciplinary knowledge, and integrated perspective. In a situation where the regional and public crises are increasing, this kind of general education subject about public library,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raising the awareness of the library and further enhancing the local community togetherness spirit by spreading the value of the library widely to students and inducing them to actually experience various library services.

실린더 모델을 이용하여 선정한 2000년도 자기 구름 이벤트 리스트

  • Choe, Gyu-Cheol;Lee, Dae-Yeong;Lee, Jong-Hyeok;Park, Yeong-Deuk;Sin, Dae-Yu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38.1-138.1
    • /
    • 2012
  • 자기 구름은 자기 구조를 가지고 방출된 CME로 지구 자기장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지구 자기장의 교란으로 발생하는 지자기 활동은 K 지수로 표현되는데 우주기상을 연구하는데 기본 자료로 활용된다. 따라서 자기 구름은 우주기상을 연구하는데 필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기존에 Lynch et al.(2005), Huttunen et al.(2005), Lepping et al.(2006), Feng et al.(2007) 등이 만든 자기 구름 리스트가 있지만 자기 구름에 적합하지 않는 이벤트가 적지 않게 포함되어 있어 이벤트를 지자기 활동 연구에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만의 자기 구름 기준을 정하고, 이 기준과 실린더 모델을 이용해 새로운 자기 구름 리스트를 완성하였다. 우리가 정한 자기 구름 기준은 (1)자기장의 벡터 성분이 천천히 회전하고 (2)자기장의 세기가 평균보다 세며 (3)자기 구름 지속시간이 7시간보다 짧은 이벤트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ACE위성과 WIND 위성이 2000년에 관측한 행성간 자기장 자료에 우리의 자기 구름 기준을 적용하여 자기 구름 이벤트 후보를 선정하였고, 마루바시 박사가 만든 실린더 모델을 자기 구름 이벤트 후보에 적용하여 자기 구름 이벤트를 최종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2000년도 자기 구름 이벤트는 총 63개이고 이를 리스트로 작성하였다. 우리가 만든 자기 구름 이벤트 리스트는 CME와 K 지수 등 지자기 활동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 PDF

New Form of Joseon Calendar with One Sheet

  • Bahk, Uhn Mee;Mihn, Byeong-Hee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4 no.2
    • /
    • pp.62.1-62.1
    • /
    • 2019
  • 우리는 한 장으로 된 조선 후기 달력을 발견하였다. '성상 31년(즉 고종 31년, 1894)-광서 20년'의 제목을 가지고 있는 이 달력은 1년간 역일의 내용을 방안 형태의 표에 작성하고 있어 '고종 31년(1894) 연력장' 이라고 부를 수 있다. 조선은 태음태양력인 대통력과 시헌력을 왕실의 행정기관에서 발간하였다. 이러한 책력은 2년 전에 월력장을 제작하여 진상하는 사례가 있었지만, 연력장처럼 한 해의 역일이 모두 있는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조선은 책력을 사적으로 편찬하는 것을 엄금하였기 때문에, 관상감서인(署印)이 없는 연력장이 유통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는 상황이었다. 우리는 고종 31년(1894) 연력장을 '대청광서이십년세차갑오시헌서(大淸光緖二十年歲次甲午時憲書, 1894)'와 비교하였다. 연력장의 역일은 12 x 12의 방안에 기록되어 있고 역일 영역의 상부, 좌부, 우부에 역주 관련 요소가 기록되어 있다. 연력장의 역일 중 특정일을 표시할 때는 역일의 숫자 대신 특정일을 상징어로 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일진, 망, 24기, 잡절(한식, 삼복(三伏), 이사(二社), 토왕용사, 납일) 등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정일 및 역주 관련 요소가 1894년 시헌서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특기할 사항은 역일 영역 상부에 고종과 그 가족의 탄일(誕日)이, 역일 부분에 국기일(國忌日)이 기록되어 있다. 왕실의 국기일 및 탄일은 1896년 이후에 발간된 책력부터 기록된 점과 비교될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우리는 고종 31년(1894) 연력장이 민간보다는 왕실 혹은 지방 관아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 PDF

Studies on the Quick Fermentation of Kochujang (Part 1) Changes of Composition (고추장 속성양조에 관한 연구 (제1보) 성분의 변화)

  • 장현기;정동효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6 no.4
    • /
    • pp.181-185
    • /
    • 1978
  • The competitions were made between two kinds of Kochujang, one is the native fermented Kochujang which is fermented at 20$\pm$2$^{\circ}C$, and the other is quick fermented Kochujang which is maintained at 35$\pm$2$^{\circ}C$ for 30 days. The results were showed that the general compositions, amino acid, nitrogen and flavor of quick fermented Kochujang were superior to the native fermented Kochujang.

  • PDF

The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and Marketing Systems in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자동차 물류체계 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 이희연;최재헌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253-274
    • /
    • 1998
  • 본 논문은 우리날의 자동차산업의 성장과 자동차의 물류체계구조를 공간적인 측면에서 분석한 것이다. 자동차 생산이 이루어진 이후 불과 30여년만에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자동차생산국으로 부상하였다. 자동차 물류체계구조는 크게 배송체계와 판매체계로 구분된다. 자동차 3사 모두 잠재수요력과 효율적인 배송을 위해 출고장을 입지시키고 전국을 광역화하여 출고장의 공급지역을 관할하고 있다. 한편 판매체계를 보면 지역본부, 지점, 영업소의 계층구조를 구축하여 전국을 대권역, 중지역, 소구역으로 세분하여 판매의 공간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자동차 잠재수요를 바탕으로 하여 판매거점이 형성되고 있으며, 지역본부에 속해 있는 지점들과 영업소들의 영업활동은 어느 정도 설정된 관할구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자동차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과 해외시장 침투도 중요하지만 유통구조의 합리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도 매우 중요하다.

  • PDF

21세기의 국립공원에 바란다-일본

  • O, Pan-Yong
    • 공원문화
    • /
    • s.35
    • /
    • pp.33-39
    • /
    • 1987
  • 1987년을 맞이하자 21세기가 또 한걸음 닥아선듯하다. 지난해 일본의 4개국립공원(십화전팔번평.부사상근이두.길야태야.대산은기)이 지정50주년을 맞았다. 1934년 2월1일에 지정되어 그후 구역의 확장, 타공원과의 통합등을 거처 오늘의 모습이 되었고 명칭도 바뀌었다. 그러나 모두가 일본을 대표하는 국립공원으로 국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일본의 국립공원지가 올신년호에 실은 특별기획물 "21세기의 국립공원에 기대한다"의 글가운데 우리에게 우리에게 감명을 주는 글을 모두 싣지 못한 것이 아쉽다. 일본은 연간6억의 이용자가 찾는 국립공원을 교화의 장으로도 이용되길 바라고 있으며 지구전분를 하나의 연방으로보아 공원배치를 멀리 내다보고 주장하는 소리도 있다. 여기에 수록한 글의 필자는 모두가 일본국립공원창설의 유공자인 전촌강전사의 이름으로 제정된 전촌상수상자임을 밝혀둔다.

  • PDF

특허기술평가활용사례-리텍엔지니어스(주)

  • Korea Invention Promotion Association
    • 발명특허
    • /
    • v.30 no.10 s.352
    • /
    • pp.38-41
    • /
    • 2005
  • 산업의 발전과 함께 산업폐기물이 늘어나고 있고 이 폐기물의 처리방법 중 가장 일반적이고 많은 사례가 매립이다. 폐기물을 매립할 때 필요한 것이 복토재인데 우리나라에서 복토재로 사용이 가능한 흙은 매립장을 건설할 때 발생되는 잔토와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흙, 하천의 준설토 등이 있다. 하지만 모든 흙을 모두 복토재로 사용할 수는 없는데, 건설현장의 잔토는 건설폐기물로 분류되어 지정매립장에 매립을 해야 하고 하천 준설토는 2차 오염의 방지를 위해 복토재로 사용할 수 없도록 법으로 금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런 규제는 복토재용 흙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없게 하고 수요만큼의 공급이 불가능하게 되어 불법적인 사용 가능성을 암묵적으로 인정하는 현실로 이어졌다.

  • PDF

설계ㆍ감리제도 이대로 좋은가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 s.417
    • /
    • pp.64-83
    • /
    • 2004
  • 현재 건축사사무소는 지난 IMF때보다 더한 불경기 속에서 경영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와중에 감리방안 법개정 문제가 2003년 말부터 진행이 되어 온 바 우리 모두 이에 대하여 초미의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이번 좌담회는 감리방안 법개정 문제에 대한 우리 협회차원의 의견을 마련하고자 기획되었으며, 무려 5시간여 동안 문제해결을 위한 패널들의 의견이 활발히 오고가며 열띤 토론의 장이 되었다. 이번 좌담회는 국회에 계류중인 법안과 홍익대학교 공청회를 통한 설계감리에 대한 건교부 용역보고서의 내용을 검토하면서 문제 도출 후 의견을 정리하여 해결책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 PDF

Monitoring of Trace Elements and Airborne Particulates in Taejon Areas using Neutron Activation Analysis and Gent Air Sampler (Gent Air Sampler와 중성자방사화분석을 이용한 대전지역의 대기분진중 미량금속 측정연구)

  • 정용삼;문종화;김선하;백성열;박광원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330-332
    • /
    • 2000
  •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쾌적한 대기환경의 관리 유지는 우리 모두의 관심사중의 하나이다. 호흡기관을 통해 인체내로 흡입되는 $PM_{10}$ 대기분진은 자연적이고 인위적인 발생원에 의해 다양한 미량원소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흔히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대기관측시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PM_{2.5}$ 분진의 질량농도(TSPM)나 원소의 농도가 높을 때 장.단기적으로 인체 보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