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우레탄 고무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3초

아크릴, 에폭시, 우레탄 및 SBR계 라텍스를 혼합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에멀젼 수지의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Ethylene-vinylacetate Emulsion mixed with SBR, Urethane, Epoxy and Acryl Latex)

  • 박영삼;이복렬;변윤섭;최상구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3권5호
    • /
    • pp.324-334
    • /
    • 1998
  • 방수재로 사용하는 EVA 에멀젼 수지에 라텍스 형태의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SBR 수지를 $0{\sim}50%$ 혼합하여 점성, 건조특성, 경도 등을 실험하였다. 점도는 라텍스함량 20%까지는 현저하게 떨어졌고 그 이상에서는 유사한 점도를 나타내었는데 점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EVA 수지와의 상용성이었다. 가사시간은 혼합 후 $30{\sim}40분$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사시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멘트와의 반응성이었다. 지촉건조시간은 에폭시>SBR>우레탄>아크릴의 순서로 나타났는데 수지의 종류와 시멘트의 양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내었다. 라텍스 혼합물의 경도는 연필경도 $4B{\sim}H$를 나타내었는데 시멘트를 충전했을 때 현저하게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 PDF

아크릴, 에폭시, 우레탄 및 SBR계 라텍스를 혼합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계 에멀젼 수지의 물리적 특성 (The Physical Properties of Ethylene Vinylacetate Emulsion Mixed with SBR, Urethane, Epoxy and Acryl Latex)

  • 서원동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3호
    • /
    • pp.196-204
    • /
    • 2000
  • 방수제로 사용하는 EVA 에멀젼 수지에 라텍스 형태의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SBR 수지를 전체 혼합물 중에 $0{\sim}50%$ 혼합하여 소포성, 기계적 물성, 내수성 등을 조사하였다. 소포제의 소포효과는 BYK-021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적절한 사용량은 전체 혼합물에 대하여 0.3phr이었다. 수축율은 수지간의 상용성과 기공형성도에 영향을 받았으며 기계적 강도는 수지 분자간의 응집력, 수지와 시멘트의 결합력, 시멘트 입자간의 응집력 등에 영향을 받았다. 라텍스를 혼합한 것은 혼합하지 않은 것보다 수축율, 굴곡강도, 접착강도, 충격강도 등에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EVA에 시멘트를 혼합했을 때에는 혼합하지 않았을 때보다 내수성이 떨어졌다.

  • PDF

폴리우레탄폼/유기나노점토/포스페이트 복합체의 합성과 그 특성 (Synthesis of Polyurethane Foam/Organonanoclay/Phosphates Composites and its Characterization)

  • 박경규;이상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4호
    • /
    • pp.343-351
    • /
    • 2011
  • 유기나노점토와 인화합물을 함유한 우레탄폼 복합체를 합성하고, 폼 생성속도, 밀도, 몰포로지, 열적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레탄폼 복합체는 Cloisite 30B가 박리/분산된 폴리아디페이트디올과 폴리에테르-폴리올(f=4.6), PMDI(f=2.5), D-580(phenyl polyoxyalkenyl phosphate)로부터 제조하였다. 발포제로써 cyclopentane과 증류수가 우레탄폼 복합체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D-580의 농도 0~2.9 wt%에서 측정하였다. 증류수는 cyclopentane 보다 약 30% 빠르게 폼을 형성시켰다. 증류수로 발포한 우레탄폼 복합체의 밀도는 cyclopentane으로 발포한 경우보다 32~34% 낮았다. 증류수로 발포한 우레탄폼 복합체의 cell은 타원형인 반면에, cyclopentane으로 발포한 복합체는 구형의 형상이며, D-580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cell 직경이 $158{\mu}m$에서 $100{\mu}m$로 감소하였다. Cyclopentane 으로 발포한 우레탄폼 복합체의 $T_g$는 D-580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77.6^{\circ}C$에서 $56.1^{\circ}C$로 낮아졌다. 증류수로 발포한 우레탄 복합체의 $T_g$는 D-580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다. Cyclopentane과 증류수로 발포한 우레탄폼 복합체는 모두 $250^{\circ}C$에서 열분해가 시작하였다. Cyclopentane로 발포한 우레탄폼 복합체는 $500^{\circ}C$ 이상에서 열분해속도가 증가하는 2차 열분해 현상이 측정되었다. D-580에 의한 열안정성의 개선 정도는 cyclopentane으로 발포한 복합체에 비하여 증류수로 발포한 우레탄 복합체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다.

가변성형 공정에서 탄성 패드의 영향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Effect of Using Elastic Pads in Flexible Forming Process)

  • 허성찬;서영호;노학곤;구태완;강범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5호
    • /
    • pp.549-556
    • /
    • 2010
  • 가변성형공정에서는 형상 변형이 가능한 가변금형의 성형면을 고르게 형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우레탄, 고무 등 같은 탄성체 패드를 가변금형과 소재 사이에 삽입하여 이용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탄성패드가 성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탄성체의 경도 및 두께를 주요 변수로 고려한 수치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탄성패드 소재로는 우레탄을 이용하였으며, 이의 물성 획득을 위한 압축시험을 수행하였고, 초탄성체 재료 모델로 가정하여 가변성형공정해석에 적용하였다. 탄성체의 경도와 두께의 변화에 따른 해석 결과로부터 성형 정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주방향의 단면형상을 비교하였으며, 목적형상에 대한 오차를 비교하였다. 이로부터 가변성형공정에 이용되는 탄성 패드가 적절히 선정되어야 함을 확인하였으며, 패드의 경도 및 두께 선정에 대한 기준을 제안하였다.

광경화형 PDMS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합성과 경화필름 물성에 관한 연구 (Synthesis of UV-Curable PDMS-Modified Urethane Acrylate Oligomer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red Film)

  • 여준석;황석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4호
    • /
    • pp.249-255
    • /
    • 2013
  • Hydrogen terminated PDMS와 allyl alcohol를 Karstedt's 촉매 존재하에서 hydrosilylation 반응을 이용하여 hydroxypropyl terminated PDMS를 합성한 후, 3관능 HDI isocyanurate trimer와 hydroxyethyl methacrylate를 one-pot 반응으로 초분지 형태의 다관능 실리콘 변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PUA 올리고머)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PUA 올리고머의 특성은 FT-IR과 GP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들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약 9000 g/mol 이었다. 합성된 PUA 올리고머와 반응성 모노머인 phenylthioethyl acrylate를 여러 가지 조성비로 혼합하고 UV-광경화반응을 이용하여 연성 경화물을 제조하였다. 연성 경화물의 굴절률은 phenylthioethyl acrylate 첨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반응성 모노머 함량과 관계가 없었다. 또한, 연성 경화필름의 광투과도 변화도 없었다.

무향 수조 설계기법 연구 (A Research on the Design Techniques for Underwater Acoustic Basin)

  • 임용곤;이종무;배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12-22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수중에서의 초음파를 이용하여 개발되고 있는 시스템 및 핵심기술들의 시험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무향수조 설계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무향수조에 사용되는 흡음판의 재질로서는 일반적으로 다공성 플라스틱, 재생용 고무, 알루미늄 폼, 우레탄 폼 등을 사용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흡음성능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다공생 재생고무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이 재질에 대한 흡음성능 및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흡음판의 형상설계를 통해 최적의 흡음성능을 갖는 무향수조를 설립할 수 있도록 쐐기형 흡음판을 설계하였으며, 쐐기각도에 따른 반사경로를 수학적으로 해석하여 최적의 흡음성능을 가질 수 있는 흡음판을 설계하였다. 또한, 확보된 무향수조 공간에 효율적인 흡음판 배치를 위한 치구설계 및 배치선계를 수행하였다.

  • PDF

무향 수조 설계기법 연구 (A Research on the Design Techniques for Underwater Acoustic Basin)

  • 임용곤;이종무;박종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371-37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수중에서의 초음파를 이용하여 개발되고 있는 시스템 및 핵심기술들의 시험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무향수조 설계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무향수조에 사용되는 흡음판의 재질로서는 일반적으로 다공성 플라스틱, 재생용 고무, 알루미늄 폼, 우레탄 폼 둥을 사용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흡음성능이 우수하고 경제적인 다공생 재생고무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이 재질에 대한 흡음성능 및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흡음판의 형상설계를 통해 최적의 흡음성능을 갖는 무향수조를 설립할 수 있도록 쐐기형 흡음판을 설계하였으며, 쐐기각도에 따른 반사경로를 수학적으로 해석하여 최적의 흡음성능을 가질 수 있는 흡음판을 설계하였다 또한, 확보된 무향수조 공간에 효율적인 흡음판 배치를 위한 치구설계 및 배치설계를 수행하였다.

  • PDF

Smoke density chamber를 적용한 건축물 마감재의 연소가스 독성 평가 (A Study on the Toxicity of Closing material of building with chamber)

  • 이인구;조남욱;이봉재;이동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48-251
    • /
    • 2011
  • 연소가스분석을 통한 건축물 마감재료의 연소독성평가를 위해 독성지수 계산법(NES 713)을 활용하여 독성평가를 수행하였다. 가연성 건축재료(우레탄, 고무바닥재)를 대상으로 독성가스를 측정하기 위해 ISO19702에서 규정하는 FT-IR(퓨리에변환적외선분광분석기)을 이용하였으며, 화재 모델은 ISO5659의 Smoke Density Chamber를 사용하였다. 독성지수를 산정하기 위해 Cf(사람이 30분간 노출시에 사망할 수 있는 가스의 농도)를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소가스 독성지수 연구의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개질된 전분과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의 혼합에서 커플링제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효과 (Effect of Coupling Agent, Methylene Diisocyanate, in the Blending of Poly(methyl methacrylate)-Modified Starch and Styrene-Butadiene Rubber)

  • 이미춘;조을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2호
    • /
    • pp.117-126
    • /
    • 2014
  •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MDI)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개질된 전분/스티렌-부타디엔 고무(PMMA-modified starch/SBR) 복합체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개질제로 조사되었다. 한쪽에는 우레탄 결합의 형성으로 인해 다른 한쪽에는 ${\pi}-{\pi}$ 접착 때문에 MDI는 PMMA-modified starch/SBR 계면에서 중간 결합 역할을 하는 것이 형태학적, 기계적, 동역학적 그리고 열적 분해 연구에 의하여 증명되었다. 결과적으로, MDI의 존재는 PMMA-modified starch/SBR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과 열적 안정성을 괄목할만하게 개선하였다. 게다가, 생성된 MDI/PMMA-modified starch/SBR 복합체의 여러 가지 물성에 대한 전분 함량의 효과가 형태학, 가황 특성, 기계적 물성, 톨루엔 팽윤 거동, 그리고 열적 안정성에서 조사되었고 자세하게 논의되었다. MDI/PMMA-modified starch/SBR 복합체는 carbon black/SBR(CB/SBR) 복합체보다 우수한 물성을 보였고, 고무 배합물에서 CB의 대체물로서 재생 가능한 전분의 유력한 사용을 보여주었다.

해수에서 폴리올 종류가 폴리우레탄 폼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ype of Different Polyols for Phys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 Foam Under Sea Water)

  • 김상범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2호
    • /
    • pp.158-163
    • /
    • 2011
  • 해수 하에서 경시 변화에 따른 경질 폴리우레탄 폼(PUF)의 물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지방족 폴리에테르 폴리올 함량에 따라 경질 폴리우레탄 폼을 합성하였다. 해수 하에서 PUF의 물성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만능시험기, 시차 주사 열량계, 경도 측정기, 적외선 분광계를 이용하였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해수 하에서 경시 변화에 따라 PUF의 압축강도와 경도의 감소폭은 증가하였다. 해수 하에서 PUF의 유리전이온도는 증가하였는데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 결과 우레탄과 우레아의 피크는 감소하고, 알로파네이트와 바이우렛의 피크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수 하에서 PUF는 가교도가 증가하여 폼이 brittle하게 형성됨에 따라 유리전이온도가 증가하였지만 가수 분해로 인하여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 것으로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