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접규격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Welding Specifications and Quality Systems (용접규격과 품질시스템)

  • 최병길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3 no.1
    • /
    • pp.11-22
    • /
    • 1995
  • 용접관련 국가규격(KS)를 보완하고 지원하는 단체규격을 제정하고 보완하는 단체규격의 정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단체규격은 외국의 유사단체의 규격과 상호인증이 가능하도록 정비되어져야 한다. 용접기술분야에서 단체규격의 주체는 외국의 경우는 용접협회인바 우리나라의 경우는 대한용접학회와 한국용접공업협동조합이 단체규격의 주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단체규격의 수준을 높이고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가 적극 참여하여 규격을 정비할 수 있 도록 정부 또는 관련 사업계로부터 지원이 필요하다. 국내 용접관련 규격을 국제적 수준으로 정비하는 사업이 정부주도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사업을 통해 용접관련 규격을 해석하고 산업체에 규격적용의 문제점을 자문할 수 있는 전문가가 양성되어 져야 한다. 이러한 전문가는 우리산업체가 해외에서의 규격관련 분쟁에서 유리한 입장을 지킬 수 있도록 훈련되어져야 한다. 또한 국제 규격 제정 활동에도 참여하여 국가이익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

  • PDF

용접규격의 현황과 발전방향

  • 최병길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0 no.4
    • /
    • pp.66-74
    • /
    • 1992
  • 규격은 제정 주체에 따라 사내표준, 단체규격, 국가규격, 지역규격 및 국제규격으로 분류된다. 시장경제의 블록화, 관세이외의 무역장벽 및 공업제품에 대한 품질향상의 요구확대등에 기인하여 공업규격에 대한 인식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ISO 9000 시리즈가 국내 공업제품의 생산활동과 수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용접관련 규격의 현황을 파악하고 우리가 지향하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본 글에서 규 격의 종류를 개괄하고, 용접관련 규격이 각 공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가를 살폈으며, 끝으로 용 접학회가 규격활동에 정진하여야 함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 PDF

熔接 規格의 適用

  • 이철구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9 no.4
    • /
    • pp.9-16
    • /
    • 1991
  • 오늘날 용접은 조선공업이나 항공, 교량등 대형플랜트에 이르기까지 없어서는 않될 중요한 작 업의 하나이다. 이러한 공정에서 표준(Standard)또는 규격(Specification)이 필요하게 되는데 우 리의 형편은 아직도 미국의 규격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에서는 벌써 오래전부터 규격을 정해 적용해 오고 있으며 규격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는 한국표준규 격(Korean Standard)에 용접의 극히 일부분인 용접기기, 용접봉, 용접시험방법등이 정해져 있으며 그외에는 선진국의 규격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것은 외국의 규격이 공인된 점도 있겠지만 국내에는 아직 용접시공에 대한 규격이 없으며, 현장의 기술자나 기능공은 표준이나 규격을 따르지 않고 경험에 의해 작업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지금은 주문자들의 요구에 의해 외국의 규격을 따르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미국기계학회(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규격 section IX을 조명하여 용접규 격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 PDF

Ultrasonic testing technique for defects of weldment (용접결함의 초음파 탐상 기술)

  • 김동조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8 no.1
    • /
    • pp.12-22
    • /
    • 1990
  • 우리나라와 선진 각국에서는 구체적인 부분까지 상당량을 규격(standard)으로 제정해 놓고 있다. 규격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언급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여기서는 범위를 좁혀 한 분야의 계통을 선택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즉, 강재의 맞대기 용접부에대하여, 사각탐촉자에 의한 탐상법을 예시적으로 선택하고 KS B 0896 규격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내용이다. 이와 관련한 내용들은, 탐상장치의 성능시험, 거리진폭 특성곡선, 결함 및 탐상에 관한 사전준지, 결함의 탐상방법 등이며, 참고로 한국 일본 미국의 초음파 탐상시험에 관련된 규격명을 열거한다.

  • PDF

Defect Evaluation of Steel Welds by Ultrasonic Testing (초음파탐상시험에 의한 강용접부 결함평가)

  • 이의종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2 no.4
    • /
    • pp.11-20
    • /
    • 1994
  • 건축철골, 교량, 압력용기, 배관, 해양구조물 등의 강구조물은 그 대부분이 용접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물의 용접부의 결함검출법으로는 방사선투과 시험방법도 적용되지만, 구조물의 향상 등에 따라서는 초음파탐상시험방법이 단독적으로 또는 방사선투과 시험방법과 더불어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들 각각의 구조물에 대한 초음파탐상시험규격이 제정되어 있다. 여기서는 결함평가만으로 한정하여 자주 이용되는 규격인 KS B 0896 및 AWS D1.1에 대해 기술한다.

  • PDF

Welding Standards and Quality in Shipbuilding (선체 용접에서의 규격과 품질)

  • 최승면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13 no.1
    • /
    • pp.31-44
    • /
    • 1995
  • 조선 용접 품질의 향상을 위해 무조건적인 비교우위를 추구하여 품질 최상의 상태를 요구할 수는 없으나, 용접의 기본적인 Rule인 각종 선급 규정이나 일반적 지식에 의거한 기본 품질은 유지되어야 하며, 이에 더하여 보다 향상된 품질 수준을 확보한다면 대외 경쟁력에서의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국내 용접기능 인력 양성의 문제점과 대책

  • Hwang, Seon-Hyo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5.06a
    • /
    • pp.124-126
    • /
    • 2005
  • 국가기술자격 법에 의한 용접기능사 교육 및 검정체계의 심각한 문제점을 기술하고 그 대안으로 국제규격(ISO)에 따른 용접기능사 교육 및 검정체계를 도입하여 민간주도형 용접기능사 교육 및 검정 체계를 국내에 정착시켜야 할 필요성을 기술하고 그 추진방향을 제안한다.

  • PDF

The effect of post welding heat treatment conditions on Ti-3Al-2.5V weldment (용접 후 응력제거열처리 조건에 따른 티타늄 합금 용접부 평가)

  • Choi, Jin-Kang;Yi, Hui-Jun;Yang, Hae-Jin;Joo,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4a
    • /
    • pp.298-302
    • /
    • 2011
  • 티타늄 용접부는 수소취성과 잔류응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용접 후 잔류응력 제거 열처리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항공 분야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 규격에 따라 열처리 온도가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어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규격 별로 대표하고 있는 열처리 조건을 선정하여 열처리 조건에 따른 용접부에 대한 잔류응력, 잔류수소량을 확인하였고, 용접부에 대한 강도와 충격 인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