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매 분획

검색결과 865건 처리시간 0.029초

청보리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 및 미백활성 연구 (Studies on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Whitening Activities of Hordeum vulgare L.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 박채훤;박장호;민선영;김경민;김수영;박영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87-297
    • /
    • 2019
  • 본 연구는 청보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항염활성 및 미백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보리의 용매별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3.58 ~ 40.06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67 ~ 13.67 mg CE/g으로 확인되었다. 청보리 용매 분획물의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평가한 결과 클로로폼 분획물 $400{\mu}g/mL$ 처리 시 대조구인 ascorbic acid ($30{\mu}M$)와 유사한 DPPH 라디칼소거능이 확인되었다. RAW 264.7 세포를 대상으로 한 NO생성 억제 활성 평가에서는 클로로폼 및 헥산 분획물이 대조구인 quercetin ($15{\mu}M$)과 유사한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클로로폼 분획물 $100{\mu}g/mL$ 처리 시 IL-6, iNOS 및 COX2 유전자의 발현이 대조구 (lipopolysaccharide $1{\mu}g/mL$)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함이 확인되었다. 청보리 용매 분획물 중 클로로폼 분획물은 RBL-2H3 세포의 ${\beta}$-hexosaminidase 탈과립, IL-4 및 IL-13 유전자의 발현을 유의한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청보리 용매 분획물은 tyrosinase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헥산 분획물 $50{\mu}g/mL$ 및 클로로폼 분획물 $100{\mu}g/mL$은 유의한 수준으로 B16F10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청보리가 항염 및 미백 활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산수유의 용매분획별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Cornus officianalis)

  • 김용두;김황곤;김경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29-832
    • /
    • 2003
  •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산수유를 대상으로 새로운 식품개발 및 천연 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물,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항균활성 물질을 몇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젖산균 및 효모 등 10개 균주에 대하여 항균활성 검색을 하였으며, 항균력 이 강한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을 용매 계통분획하여 각 분획별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에탄을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 추출물에 함유된 항균성물질의 열안정성 pH등을 조사하였다. 산수유 과육과 씨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에탄을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10균주중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강하였으나, 젖산균 및 효모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산수유의 에탄올 추출물을 핵산, 디에칠에테르, 에칠아세테이트 및 물로 용매계통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에칠아세테이트와 물층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균주별로 일반세균은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효모와 젖산균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산수유 과육과 씨의 에탄올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세균이 0.25 mg/mL이었고, 효모와 젖산균 이 2 mg/mL이었다. 산수유의 과육 에탄을 추출물 농도의 영향은 B. subtilis는 0.25 m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균 증식이 증가되었으나 0.5 mg/mL 농도에서는 억제되었다. E. coli는 0.25 mg/mL이하의 농도에서는 배양 16시간까지 균 증식이 억제되다가 그 이후 서서히 증가되었다 산수유의 에탄을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항균활성 물질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열한 후에도 그 활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아 열에 안정하였으며, pH의 변화에도 항균활성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용 해조류에서 항산화 물질의 분리 (Separ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Edible Marine Algae)

  • 박재한;강규찬;백상봉;이윤형;이규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6-261
    • /
    • 1991
  • 본 실험은 동해 주문진 해안에 생육하는 12가지의 식용 해조류에서 새로운 천연 항산화물질을 분리하고자 여러 용매로 추출,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 정제하고 항산화 활성측정(AOM법, DPPH법), UV-spectrophotometer 측정, HPLC, GC/MS 분석 등의 실험을 실시한 결과 12가지의 식용 해조류를 hot-methanol로 추출하여 AOM법으로 활성측정한 결과 김>미역, BHT>다시마>넓미역>지누아리>서실 눈으로 활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해조류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클로로포름 추출액과 메탄올 추출 혼합액을 석유 에테르, 에테르, 클로로포름, 메탄올, 물 등의 용매로 순차적으로 추출, 색소제거, 농축하여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aqueous-methanol 가용분획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다른 추출분획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 때 김>미역>다시마>BHA>파래>Tocopherol>넓미역>BHT의 순으로 활성을 보였다. 특히 김, 미역, 다시마, 파래는 같은 양에서 BHA, BHT보다 높거나 대등한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보여 주었다. 활성물질의 회수율은 1.82%였다. 이들이 극성 용매에서 분리된 분획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므로 극성을 띤 물질로 보여진다. 또한 이들 활성분획 각각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 정제하여 DPPH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 분획에서 분리된 물질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분리 정제된 항산화성 물질의 UV 흡수특성을 측정한 결과 BHA나 BHT의 흡수파장 보다 단파장인 $235{\pm}5\;nm,\;270{\pm}5\;nm$에서 극대흡수(${\lambda}_{max}$)의 이동을 보였는데, 이는 활성물질 분자에 전기음성도가 비교적 큰 분자가 치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PLC분석에서는 다시마, 미역, 파래의 경우 retention time이 8.5분, 10분인 극성물질이 분리되었고, 김에서는 25분인 대체로 비극성에 가까운 물질이 분리되었다. 이것이 BHA, BHT와 거의 같은 RT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보아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가진 물질로 해석 되어진다. 분리된 항산화성 물질의 분자량은 GC/MS 분석으로 얻은 mass spectrum을 해석한 결과 181, 238의 두 가지 물질로 비교적 작은 안정한 항산화성 물질로 사료되어 진다.

  • PDF

멸치액젓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Fermented Anchovy)

  • 박종옥;윤미선;조은정;김희숙;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78-1385
    • /
    • 1999
  • 멸치액젓으로부터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용매추출 및 chromatography를 행하였다. 모든 용매분획들에 항산화활성이 있었으며 그 중 BuOH층과 수용액층이 소금을 함유하고 있었으나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다. 수용액층을 투석막(MWCO 1000)으로 증류수에 대하여 투석하였을 때 투석막 내액의 항산화활성이 소실되었으므로 멸치액젓의 항산화성 물질은 분자량 1000이하의 분자량을 가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Sephadex G-50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에서 얻은 항산화물질 분획(tube No. 230-245)로 DE-52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행한 결과 column에 결합하지 않고 흘러나온 분획(0 N NaCl용액) 및 0.05N NaCl용액으로 용출된 분획에서 항산화활성이 있었으나 $15\;{\mu}M$$Fe^{+++}\;ion$의 존재하에서 0 N NaCl 분획만 항산화활성이 유지되었다. Biogel P2 chromatography를 행한 결과 3번과 5번 분획의 항산화 활성이 특히 우수하였으며 TLC확인결과 아미노기가 풍부한 분자들임을 알 수 있었고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을 때 다른 분획들보다 3번과 5번 분획에 소수성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TLC로 분리하여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하나의 band를 HPLC의 C18 column으로 분석하였을 때 3개의 peak 중 항산화활성을 갖은 물질은 methionine 유도체이었으며 이는 멸치젓 수용액층의 많은 항산화물질 중 하나로 여러 아미노산 또는 oligopeptide의 유도체들의 상승효과가 멸치액젓의 항산화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urine Macrophage RAW 264.7 세포에서 구실잣밤나무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Castanopsis cuspidata Extract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 고영종;송상목;현우철;양수경;송창길;이동선;윤원종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39-446
    • /
    • 2014
  • 본 연구는 구실잣밤나무(C. cuspidate) 잎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이 염증성 매개인자 생성 저해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억제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짐에 따라, 구실잣밤나무를 대상으로 80% 에탄올를 가지고 추출한 후 추출물을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매분획을 실시하여, 구실잣밤나무 80% 에탄올 추출물 및 용매분획물들이 염증반응의 주체가 되는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에서 LPS로 유도된 NO의 생성억제효과, 그리고 iNOS와 COX-2의 mRNA와 단백질 발현 억제효과 및 IL-6와 IL-$1{\beta}$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효과 등을 알아보았다. 대식세포 계열인 RAW 264.7 세포에 LPS로 자극을 주고 구실잣밤나무 8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을 처리하여 확인해본 결과,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NO의 생성억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는 iNOS와 COX-2 생성 억제 효과가 다른 분획물에 비해 강하게 나타났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효능도 80%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이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헥산과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서 IL-6와 IL-$1{\beta}$에서 생성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구실잣밤나무 잎에서 유효성분 추출을 통한 항염증 물질의 연구 또는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염증 억제 성분의 분리 및 그 작용기전 연구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구실잣밤나무 추출물로부터 염증억제 성분을 도출하고자 활성분획인 디클로로 메탄 분획물에 대하여 활성성분의 분리가 진행 중이다.

국내산 포도 캠벨종의 종자 및 과피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능 탐색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from Campbell Early Grape (Vitis labruscana B.))

  • 박성진;이현용;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5-118
    • /
    • 2003
  • 본 연구는 캠벨종 포도의 종자와 과피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조건과 그에 따른 DPPH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추출 조건의 확립과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았다. 추출 조건은 추출 용매인 에탄올의 농도와 추출 온도를 달리 하여 각각의 수율을 비교하였으며, 각 분획물은 hexane 분획물, chloroform 분획물, ethyl acetate 분획물, butanol 분획물 및 물 분획물로 나누어,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RC$_{50}$으로 나타내었다. 추출 수율은 종자에서는 추출 온도 78$^{\circ}C$, 에탄올 농도 100%에서 11.4%로 다른 온도와 농도 조건에 비하여 높은 수율을 나타냈으며, 과피 에서도 역시 추출 온도 78$^{\circ}C$, 에탄올 농도 100%에서 44.5%로 다른 온도와 농도 조건에 비하여 높은 수율을 나타냈다. 각 분획물 중에서는 물 분획물이 종자에서는 39.2%인데 비하여 과피 에서는 85.6%로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많이 차지하였다. DPPH법에 의한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종자의 경우, 5$0^{\circ}C$ 에탄을 추출물이 RC$_{50}$=16.8 $\mu\textrm{g}$/mL로, 분획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RC/syb 50/=15.4 $\mu\textrm{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과피의 경우, 78$^{\circ}C$ 에탄올 추출물이 RC$_{50}$=2437.5 $\mu\textrm{g}$/mL로, 분획물에서는 butanol 분획물이 RC$_{50}$=698.4 $\mu\textrm{g}$/m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추출 온도와 용매 농도에 따른 수율의 차이가 있었으며 free radical 소거 활성에서는 종자 에탄을 추출물이 과피 에탄올 추출물 보다 145배 이상의 현저히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을 나타내었다.

염주괴불주머니 (Corydalis heterocarpa) 추출물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Antiproliferative Effect of Extracts from Corydalis heterocarpa on Human Cancer Cells)

  • 김유아;이정임;공창숙;예성수;서영완
    • KSBB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201-20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한 종인 염주괴불주머니의 조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물질에 의한 항발암성 물질의 생성 및 생체방어물질로서의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5종의 인체암세포 (AGS, HT1080, U-937, MCF-7 및 HT-29)에 대한 증식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조추출물에 대한 암세포 증식 억제능 측정 결과, 10, 50 및 100 ${\mu}g/ml$의 시료 처리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생존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모든 세포주에 대하여 methanol 조추출물 보다 methylene chloride 조추출물이 뛰어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물질의 극성에 따른 암세포 성장 억제능을 관찰하고자 조추출물을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하여 $H_2O$, n-BuOH, 85% aq. MeOH 및 n-hexane의 네 가지 분획층을 얻었으며, 조추출물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암세포 증식 억제능을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n-BuOH 분획층보다 85% aq. MeOH 분획층에서 우수한 암세포 성장 억제능이 확인되어, 이는 비교적 비극성인 methylene chloride 조추출물로부터 활성성분들이 85% aq. MeOH 분획층으로 이동된 것으로 여겨졌다. 특히 100 ${\mu}g/ml$의 85% aq. MeOH 분획층의 시료를 처리한 AGS 인체 위암세포는 93.4%라는 강력한 효력을 기록하였으며, 그 외에도 HT1080 인체 섬유육종 세포가 85.0%, U-937 인체 구성 림프종 세포 71.5%, MCF-7 인체 유방암세포와 HT-29 인체 결장암세포가 각각 51.7% 및 36.8%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해양생물 중 염생식물의 한 종류인 염주괴불주머니의 높은 항암활성효과와 함께 암예방 기능성 소재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염주괴불주머니의 85% aq. MeOH 분획층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통해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의 개발이 기대된다.

고추잎 용매 분획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Capsicum annuum Leaves)

  • 김지혜;정창호;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40-546
    • /
    • 2003
  • 고추잎을 기능성식품의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각 용매 분획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 즉, 전자공여효과,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효과, 항균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을 조사한 결과 물 분획층에서 16.9%로 가장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낸 반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 0.6%로 가장 낮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효과는 전반적으로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환원력도 분획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특히 ethyl acetate 분획물 0∼600 $\mu\textrm{g}$을 첨가하였을 때는 환원력의 증가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900 $\mu\textrm{g}$이상 첨가구에서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환원력이 매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추잎 분획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측정한 결과 pH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ethyl acetate fraction에서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어 500 $\mu\textrm{g}$을 첨가하였을 때 90%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효과도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추잎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ethyl acetate 및 butanol 분획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각 균주에 대한 clear zone의 직경을 확인한 결과 gram 양성균인 Bacillus cereus에서 20 mm로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Staphylococcus aureus 18 mm, Streptecoccus mutans 17 mm순으로 주로 gram 양성균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망초(Conyza canadensis) Ethyl Acetate 추출물의 항산화성 물질의 분리와 동정 (Isolation and Structural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Substances from Ethyl Acetate Extract of Conyza canadensis)

  • 송현숙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5
    • /
    • 2023
  • 배경: 야생 망초(줄기와 잎)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에서 생리활성 성분의 함유가 확인되어 화합물의 규명이 필요하다. 목적: 망초에는 항산화성 물질이 함유되었다는 선행연구 결과가 있어서 화합물의 분자적 구조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망초(줄기와 잎) 초음파 분쇄물을 1차로 90% 메탄올로, 다음에 유기 용매로 추출하였다. 다음에 HPLC, LC/MS 크로마토그래피 등으로 분획하였고, 분핵물을 NMR 분광기로 정밀 분석하여 분자의 구조를 동정하였다. 결과: 망초 100 g을 초음파기로 파쇄하여 90% methanol로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조 추출물 11.96 g을 얻었다. 조추출물을 유기용매로 재추출하여 n-hexane으로 123.8 mg, dichloromethane으로 448.2 mg, ethyl acetate(EA)로는 1047.7 mg, butanol로는 2563.8 mg, water로는 7.04 g을 얻었다. EA 추출물을 LC-MS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고, 정밀 분획하여 F1~F20의 20개를 얻었다. F15 분획을 다시 분획하여 9개를 얻었다. F17 분획을 재분획하여 10개의 분획을 얻었다. F15-7 분획물을 LC-MS 분석과 NMR 분광기로 분석한 결과는 이 화합물의 구조가 3,5-di-caffeoylquinic acid로 확인되었다. F17-4와 F17-5의 구조를 조사한 결과는 Quercetin-3-o-β-galactose로 동정 되었다. F17-10의 구조를 확인한 결과는 1,3,4-tri-caffeoylquinic acid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망초 성분에도 항산화성 물질이 있었으며, 이의 활용성을 기대하며, 식물에는 항산화성 물질인 phenol 성분을 다양하게 함유하였다.

식용유지에 대한 붉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Rhus javanica $Linn\'{e}$ on Edible Oil)

  • 최웅;신동화;장영상;신재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20-325
    • /
    • 1992
  • 천연 항산화 물질을 분리하고자 식용 또는 한약재로 이용되는 붉나무를 75% ethyl alcohol로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여 chloroform, ethyl acetate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separatory funnel, column chromatography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붉나무 추출물중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은 ethyl acetate와 chloroform에 잘 용해되는 물질로, ethyl acetate로 분리한 분획물을 팜유에 600 ppm 첨가시 AI는 1.60, 돈지에서는 AI가 3.90으로 이들 용매로 분리한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는 붉나무 추출 원액보다 높은 현상을 보였다. 붉나무 추출물을 팜유, 돈지 및 대두유에 농도별로 첨가하여 $60^{\circ}C$에 저장하면서 POV, AV 및 TBA가를 측정하여 이들 유지에 대한 산화안정성을 시험한 결과 Rancimat test 결과와 비슷하여 팜유에는 항산화 효과가 뚜렷하였고, 돈지에는 탁월한 결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