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양층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43초

요양서비스 질 결정요인에 대한 관리자의 의식구조 퍼지분석 (Fuzzy Analysis of Consciousness Structure of Administrator for Determinative of Care Service Quality)

  • 장윤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32-237
    • /
    • 2013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입소시설)에서 근무하는 시설장 또는 관리자가 인식하고 있는 요양서비스 질 결정모형을 사회시스템의 구조화에 이용되고 있는 FSM을 이용하여 구조화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상층의 서비스 질은 중간층의 직무몰입, 조직몰입, 경력, 요양기술, 노인에 대한 지식, 연수 및 교육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간층(직무몰입, 조직몰입, 경력, 요양기술, 노인에 대한 지식, 연수 및 교육)은 하위층의 고용형태, 직무만족, 리더쉽, 이용자 관계, 직장 내 인간관계와 연결되어 있거나, 중간층에 위치한 요인 간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나타났으며 구체적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몰입에는 직무만족과 이용자 관계, 조직몰입에는 리더쉽과 직장 내 인간관계, 경력에는 고용형태와 직무만족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요양기술에는 직무만족, 경력, 노인에 대한 지식, 연수 및 교육, 노인에 대한 지식에는 직무몰입, 경력, 연수 및 교육, 연수 및 교육에는 직무몰입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업무전문성을 나타내는 요양기술 및 노인에 대한 지식은 경력을 바탕으로 해서 서비스 질에 연결되는 구조를 보였다. 둘째, 중간층의 직무몰입은 최상위층의 서비스 질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같은 중간층에 위치한 요양기술, 노인에 대한 지식, 연수 및 교육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서비스 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리더십과 관련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시설장의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연결되고 조직몰입이 서비스 질에 연결되는 구조를 통해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시설장이 수행할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노인요양시설 요양층의 기능별 면적구성과 상관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al Area Composition and Correlation Factors of Elderly Care Floor in Nursing Home)

  • 윤소희;김석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156-164
    • /
    • 2015
  • Nursing Homes do not have a defined standard in the space area nor does it have a detailed standard facility requirement by law. This can possibly lead to the deterioration of the facility and the system. This directly affects the medical treatment space area within the nursing home. The medical treatment area provides medical treatment to seniors and this is where the seniors get most of their daily services. Therefore, this is research is about the study of the space area of the medical center and the ratio trend of the space area for the medical treatment facility located in senior nursing homes. Ten facilities have been selected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correlation factors between space area and its trends. The analysis performed includes the conditions relating to the area and what affects the center. We have followed up with a proposal for improvement of the facility and area configuration for the medical treatment facility. Based on the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 can be made: First, the senior welfare centers are mostly used as a residence purpose followed a temporary stay of residence facility for the seniors. Second, research indicates that the bigger the facility, nursing and public functions took a larger portion of the space area compared to other services within the senior welfare centers. Third, the study shows the management space area took up about 1%~6% of the entire medical center within the nursing home which is a narrow space area because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Fourth, analysis based on the trend in the time-series indicate after the adoption of the system, there is a continued decline in the space area of nursing, management and public areas. Lastly, since before and after 2008, the space area composition of the nursing facility shows a continuous decline in our study. We can safely conclude that the revised senior welfare act's construction plan has an effect in the facility and is effectively working to meet its requirement. Therefore, the revision of the law is required to reflect the social needs of the residents.

알아둡시다

  • 한국계육협회
    • 월간 닭고기
    • /
    • 제14권8호
    • /
    • pp.97-101
    • /
    • 2008
  • 7월부터 노인층을 위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새로 도입되고, 상습 성폭력범에게는 전자발찌가 채워지는 등 하반기에 달라지는 것이 많다. 부문별 주요 내용을 짚어본다.

  • PDF

한국 중년층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인식과 구강보건진료에 대한 요구의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f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elderly of awareness of middle-aged people and demand for dental services in the system)

  • 박정란;윤미선;최유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95-10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층의 노후 준비계획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내에서 치과의료서비스 분야의 인식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설문응답대상자들은 노후생활비를 미리 저축하는 비율이 56.1%였으며, 가족들에게 노후 부담을 주기 싫어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41.8%) 노후 보살핌은 시설서비스, 간병 제도 등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해 "조금 알고 있다"는 응답이 36.7%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요양보험제도 내 치과의료서비스의 필요성이 높다고 생각하였다 (98.5%), 만약 서비스가 이루어진다면 참여하겠다고 하는 응답이 92.3%로 나타났으며, 장기요양보험 내 치과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 하지 못한 비율이 85.2%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장기요양보험 내 치과의료서비스부분의 인식 확대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내 치과의료서비스 부분의 추후 제도 개선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장기요양시설의 노인보호를 위한 시설안전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시설안전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cilites Safety of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Elderly :Focused on the Factual Survey of Seoul Metropolitan Area)

  • 문용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08-32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시설의 노인보호를 위한 시설안전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장기요양시설 시설안전 정책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주요국의 장기요양시설 시설안전 대응정책에 대해서 검토하고, 한국의 요양시설 안전실태를 파악하였다. 분석에서는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인천) 중심으로 장기요양시설의 시설안전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의 안전관리 비교결과이다. 관련 규정 및 법률 비교결과에서 장기요양시설은 사회복지시설, 어린이집, 병원 등에 비해 안전관리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지조건 분석결과이다. 수도권 장기요양시설이 건물의 6층 이상에 위치한 시설이 많았고, 개인시설이 법인, 지자체 시설에 비해 입지조건이 취약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기관의 구조/설비 결과이다. 전체적으로 배연창(화재안전창문), 배연설비, 연기 질식대비 방연마스크, 방화담요 등의 배치상태가 미흡하였다. 또, 법적 필수 설치설비가 미비한 곳도 있었고, 개인시설이 지자체, 법인 시설에 비해 시설 구조/설비구조에서 대체로 미비하였다. 넷째, 안전관리 분석에서 대응매뉴얼, 화재대비훈련 등에서 개인설립 시설이 지자체설립 시설에 비해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장기요양시설에서 입소노인의 안전한 삶을 살 수 있는 시설환경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노인요양시설의 시설구성 현황과 개선방안 (Present State of Institute Composition and Reform Measures of Nursing Homes)

  • 유용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86-195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시설구성에 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앞으로 계획되어질 노인요양시설의 시설 구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 복도부분은 5개 시설은 중복도형이고 1개 시설은 확대복도형, 1개 시설은 그룹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부분은 침실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침대식과 온돌식의 크기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료부분은 의료 간호사실과 물리치료실의 비율이 비슷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물리치료실에 대한 호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용부분은 식당 조리실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그램실로 이동하는데 많은 부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리부분은 사무실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층 로비와 인접 배치되어 있었다. 여섯째, 1인당 소요면적은 3개 시설이 1인당 침실 면적 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시설의 부분별 전체 연면적 비율은 주거부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중년층의 유료노인요양시설에 대한 견해 (The Opinions of Middle Aged Korean about User-Paid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Frail Elderly)

  • 권오정;김대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4호
    • /
    • pp.1-14
    • /
    • 2004
  • Although the proportion of frail elderly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has been rapidly increasing, there is little preparation to provide housing alternatives for them in Korean society. Long-term care facility a housing alternative for frail elderly that enables them to receive social and medical care services that enhance the quality of their lif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tudy the opinions of middle-aged Koreans about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frail elderly. This study provides useful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user-paid long-term care facilities in the near future.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00 adults in their 50s to collect data. The sample was stratified according to region, gender, and housing structure type.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frail elderly; but they were relatively unwilling to live in these facilities, as compared to other housing alternatives. However, a larger number of respondents said that as they became very frail, they would be willing to live in these facilities. The respondents expressed a high level of need for user-paid long-term care facilities as an alternative to hospitalization. Also, they wanted to have a variety of long-term care facilities that are designed for different levels of disability. The education level of respondents and their spouses, average monthly income, subjective economic level, and religion were major variables that differentiated significantly the opinions about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frail elderly.

노인전문요양시설 거주층의 복도 및 휴게홀 이용행태 (Using Behavior of Corridor and Lounge at the Residence Floor in Skilled Nur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이민아;유옥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31-4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planning to reduce elderly isolation and to improve their rehabilitation ability. Four re%archers observed the using behavior of the elderly residents in the corridor and lounge of 5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using rate of the lounge wis higher than that of the corridor since most of the elderly were controlled by the staffs at the lounge. The facility could decrease the crowd of the lounge by arranging the sofa at the corridor-especially surrounding the atrium. The use rate in the lounge was very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because its use was influenced mainly by daily schedule, and this resoled in it being largely inactive most of the time. A counter plan is needed to encourage natural interaction among the elderly. Individual or small group activities are required in addition to the regular programs. Since the furniture arrangements_(sofas and tables) at the corridor could induce elderly isolation and inactivity, various equipments should be arranged for the self-controlled activities. The indirect participation in the regular activities, which are usually conducted in the lounge,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corridor so that the elderly could observe them at any places.

조호환경 내 환자 탐지를 위한 YOLO 모델 기반 바운딩 박스 앙상블 기법 (YOLO models based Bounding-Box Ensemble Method for Patient Detection In Homecare Place Images)

  • 박준휘;김범준;김인기;곽정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62-564
    • /
    • 2022
  • 조호환경이란 환자의 지속적인 추적 및 관찰이 필요한 환경으로써, 병원 입원실, 요양원 등을 의미한다. 조호환경 내 환자의 이상 증세가 발생하는 시간 및 이상 증세의 종류는 예측할 수 없기에 인력을 통한 상시 관리는 필수적이다. 또한, 환자의 이상 증세 발견 시간은 발병 시점부터의 소요 시간이 생사와 즉결되기에 빠른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인력을 통한 상시 관리는 많은 경제적 비용을 수반하기에 독거 노인, 빈민층 등 요양 비용을 충당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수혜받는 것은 어려우며, 인력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상 증세 발병 즉시 발견에 한계를 가진다. 즉, 기존까지 조호환경 내 환자 관리 방식은 경제적 비용과 이상 증세 발병 즉시 발견에 한계를 가진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YOLO 모델의 조호환경 내 환자 탐지 성능 비교 및 바운딩 박스 앙상블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딥러닝 모델을 통한 환자 상시 관리가 이루어지기에 높은 경제적 비용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YOLO 모델 바운딩 박스 앙상블 기법 WBF를 통해 폐색이 짙은 조호환경 영상 데이터 내에 객체 탐지 영역 정확도 향상 방법을 연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