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acilites Safety of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Elderly :Focused on the Factual Survey of Seoul Metropolitan Area

장기요양시설의 노인보호를 위한 시설안전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시설안전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 문용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 부연구위원)
  • Received : 2020.09.03
  • Accepted : 2020.10.06
  • Published : 2020.10.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factual facilites safety of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eldery, for improvement of Korean policy. So, This study reviewed policies of facilites safety of long-term care facilities on main OECD countries. We analyzed factual survey of facilites safety of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f law and rule of facilites safety of long-term care facilitie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child day-care center, hospital. Second, it was the result of location condition analysis. Long-term care facil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located on more than six floors of buildings. The location conditions of private facilities are weak compared to those of corporations and local governments. Third, there were the result of internal structure of facilities. Overall, the placement status was insufficient. For instance, there are smokeproof masks/fireproof blankets, smoke windows(fire safety windows), smoke smothering. In addition, there were places where legal essential installation structures were insufficient. Private facilities were generally insufficient in facility structures compared to those of local governments and welfare corporations. Fourth, there were the result of safety management. It was confirmed that private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local government facilities. For instance, there are safety management analysis, response manuals, fire preparedness training, etc. Finally,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policies of facilites safety of long-term care facilit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시설의 노인보호를 위한 시설안전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장기요양시설 시설안전 정책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주요국의 장기요양시설 시설안전 대응정책에 대해서 검토하고, 한국의 요양시설 안전실태를 파악하였다. 분석에서는 수도권 지역(서울, 경기, 인천) 중심으로 장기요양시설의 시설안전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의 안전관리 비교결과이다. 관련 규정 및 법률 비교결과에서 장기요양시설은 사회복지시설, 어린이집, 병원 등에 비해 안전관리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지조건 분석결과이다. 수도권 장기요양시설이 건물의 6층 이상에 위치한 시설이 많았고, 개인시설이 법인, 지자체 시설에 비해 입지조건이 취약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기관의 구조/설비 결과이다. 전체적으로 배연창(화재안전창문), 배연설비, 연기 질식대비 방연마스크, 방화담요 등의 배치상태가 미흡하였다. 또, 법적 필수 설치설비가 미비한 곳도 있었고, 개인시설이 지자체, 법인 시설에 비해 시설 구조/설비구조에서 대체로 미비하였다. 넷째, 안전관리 분석에서 대응매뉴얼, 화재대비훈련 등에서 개인설립 시설이 지자체설립 시설에 비해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장기요양시설에서 입소노인의 안전한 삶을 살 수 있는 시설환경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OECD, Health at a Glance, OECD, 2019.
  2. OECD, Workforce and Safety in Long-Term Ca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2020.22. June), OECD Policy Responses to Coronavirus (COVID-19), OECD, 2020.
  3. GAO(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NURSING HOME FIRE SAFETY: Recent Fires Highlight Weaknesses in Federal Standards and Oversight, Report to Congressional Requester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United States, 2004.
  4. 문용필, 이정석, 이호용, 장기요양기관 시설안전 관리방안 연구-화재예방 체크리스트 개발을 중심으로, 건강보험연구원,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
  5.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현황(2019.12), 국민건강보험공단, 2019.
  6. UN, UN Principle for Older Persons, 1991.
  7. 문용필, 정창률,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정책변화에 대한 분석(2008-2018): OECD 주요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1권, pp.45-66, 2019.
  8. H. Theobald, "Combining welfare mix and New Public Management: The case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German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21, Issue s1, 2012.
  9. J. Marczak and G. Wistow, Commissioning Long-Term Services. In: C. Gori, J-L Fernandez and R Wittenberg eds Long-term reforms in OECD Countries: Successes and failures. Bristol: Policy Press, pp.117-142, 2016.
  10. NFPA, NURSING HOME FIRES FACT SHEET. NFPA, United States, 2013.
  11. Colorado Springs Fire Department, FIRE SAFETY & EVACUATION PLANNING FOR NURSING HOMES & ASSISTED LIVING FACILITIES, Government of Colorado Springs, United States, 2013.
  12. NSW, Fire Safety in Health Care Facilities. Ministry of Health, NSW(New South Wales), Australia, 2010.
  13. UK, Fire safety risk assesment: residential care premises.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HM Government, UK, 2006.
  14. HSE(Health and Safety Executive), Health and safety in care homes, Health and Safety Executive, UK, 2014.
  15. Scottish Government, PRACTICAL FIRE SAFETY GUIDANCE FOR CARE HOMES, Scottish Government, 2014.
  16. Health Information and Quality Authority, Guidance for Registered Providers and Persons in Charge of Designated Centres for Older People, Philip Daughen Presentation, Fire Precautions in Designated Centres, Ireland, 2015.
  17. British Columbia, ASSISTED LIVING and RESIDENTIAL CARE: Fire and Life Safety, province of British Columbia, Canada, 2008.
  18.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 화재안전관리 매뉴얼, 보건복지부, 2012.
  19. 최규출, "사회복지시설의 화재안전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27권, 제1호, pp.1-7, 2013.
  20. 신효진, 공하성, "사회복지시설의 유형에 따른 안전관리의 차이에 관한 연구," Fire Sci. Eng, Vol.28, No.5, pp.89-97, 2014. https://doi.org/10.7731/KIFSE.2014.28.5.089
  21.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매뉴얼(SOP), 보건복지부, 2015.
  22. 권용신, "노인요양시설 화재시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한 안전관리 지원정책," 2015년 사회정책연합 공동학술대회, 발표문, 2015.
  23. 박현식, 이옥진, "노인요양시설의 소방안전에 대한 노인복지적 고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30권, 제6호, pp.124-129, 2016.
  24.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보건복지부, 2016.
  25. 윤숙희, 김세영, 오향련, "한국 노인요양시설 실무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도," 간호행정학회지, 제20권, 제3호, pp.247-256, 2014.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3.247
  26. 홍해리, 김봉찬, 하세미유지, 권영진, "재난약자의 피난안전을 위한 화재사례분석 및 노인요양시설 소방안전관리 실태조사,"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제16권, 제2호, pp.35-42, 2016.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2.35
  27. 박재성, "노인요양시설 화재안전 관련 기준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제17권, 제5호, pp.189-195, 2017. https://doi.org/10.9798/KOSHAM.2017.17.5.189
  28. 홍해리, 츠치야신이치, 하세미유지, "노인요양시설의 피난안전을 위한 입주자 피난행동능력 및 재난대응체제에 관한 실태조사,"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제19권, 제1호, pp.13-24, 2019.
  29. 문용필, 이준영, "노인요양시설 내 노인학대 예방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유럽 4개 국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44권, 제2호, pp.261-294, 2017.
  30. 보건복지부, 노인보건복지 사업안내(1), 보건복지부,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