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양병원

검색결과 633건 처리시간 0.027초

요양병원 간호사의 윤리적 환경과 환자안전문화 (Ethical Climat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between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

  • 이진숙;이소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237-242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윤리적 풍토, 환자안전문화를 확인하고,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D시의 요양병원 간호사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은 3.45± .41점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는 윤리적 풍토의 동료(r=.123, p<.001), 관리자(r=.241, p<.001), 병원(r=.241, p<.0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동료(β=.23, p=.003), 관리자(β=.55, p=.004), 병원(β=.43, p=.031)이었고, 설명력은 33.5%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 서비스 질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ervice Quality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 박주희;박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09-415
    • /
    • 2022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 서비스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서비스 질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또한 간호 근무 환경, 인간중심 돌봄,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서비스 질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G지역에 근무하는 요양병원 간호사 129명이 대상이었으며, 자가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간호 근무환경, 인간중심 돌봄, 직무스트레스, 서비스 질을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서비스 질의 영향요인은 기혼, 간호 근무환경, 인간중심 돌봄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 서비스 질을 49.9% 설명하였다. 이중 간호 근무환경은 간호 서비스 질에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간호사의 근무환경 개선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간호 서비스 질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병원 경영진은 바람직한 간호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조직 구조 개선을 통한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하며, 인간중심 돌봄에 대한 병원 구성원의 인지 정착과 인간중심 돌봄 확대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국내 요양병원 간호사의 일가치감과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이 간호역량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ce Effects of Perceived Value of Work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Nursing Confidence of Nurses in Convalescent Hospital)

  • 윤영미;우정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293-299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간호사의 간호역량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7 월부터 2019년 8월까지 D 시 8개 요양병원 간호사 161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 WIN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에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일가치감,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 대학원(교육수준), 휴직경험 없음, 2 교대 근무형태가 간호역량을 5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일에 대한 가치감과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을 증진하고 전문적인 교육기회와 재취업간호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leadership, Nursing Professionalism, Job involve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 권상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9권2호
    • /
    • pp.61-75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의 정도와 관련성을 파악하며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35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하여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이직의도는 평균평점 2.87점으로 연령, 결혼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셀프리더십은 3.66점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셀프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3.42점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몰입은 3.51점으로 측정되었다.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는 간호전문직관, 결혼상태, 연령이 유의한 변수였으며 설명력은 30.6%로 나타냈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요양병원은 간호 전문성 향상을 위한 내·외적 교육에 대한 조직의 지원과 간호업무에 몰입할 수 있는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간호업무 수행을 위한 병원조직 관리체계에 대한 재정비도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in a Long Term Care Hospital Caregivers)

  • 홍나경;강경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호
    • /
    • pp.187-1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지역 요양병원 간병인의 일반적 특성, 감염관리 특성, 감염예방지식과 감염관리환경을 확인하고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일개 지역 8개 요양병원의 간병인 197명이며, 자료수집은 자가기입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2018년 8월에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in 20.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stepwise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염 예방지식은 감염관리수행도와 유의한 상관관계(p<.001)가 있었다.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은 70세 이상(t=2.50, p=.013), 8시간 근무(t=-2.62, p=.010), 1등급(t=2.48, p=.014), 감염예방지식(t=2.96 p=.003)이었으며, 제 변수들은 요양병원 간병인 감염관리수행도의 12.9%를 설명(F=6.70, p<.001)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요양병원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간병인의 감염관리수행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요양병원의 감염관리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가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on Musculoskeletal Symptoms of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Hospitals for Job Environment, Psychological Work Demand, Fatigue)

  • 오진영;하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559-569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도, 근골격계 증상의 관계를 파악하고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S시에 소재한 3곳의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128명을 대상으로 2020년 4~5월까지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은 어깨, 손/손목/손가락, 허리 세 부분에 대한 증상발생빈도, 증상지속기간, 통증의 강도를 합한 값으로 42점 만점에 평균 11.41±9.50점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근무병동(β=.18, p=.034)과 심리적 업무요구(β=.21, p=.013), 피로도(β=.25, p=.003)가 근골격계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3개 변수는 근골격계 증상에 대하여 21.6%의 설명력을 보였다(F=6.87,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병원 요양보호사들의 근골격계 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담당하는 환자의 중증도를 고려하여 심리적 업무요구와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자와 미이용자의 의료비 지출 차이 및 의료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의료비 지출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n Health Care Utilization of the Non-Use of Beneficiaries of Long-Term Care Insurance Service - around of Geriatric Hospital's Medical Cost -)

  • 정운숙;임은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463-7473
    • /
    • 2015
  • 본 연구는 장기요양 1등급 건강보험가입자를 대상으로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와 미이용자의 의료비 지출 차이를 비교하고, 의료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건강보험가입자로 2009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등급 판정을 받은 21,213명 전수를 대상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급여, 건강보험급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2007년부터 2009년의 연간 총 진료비 변화량의 경우 서비스 이용자에 비해 미이용자는 5,337천원 증가하였으며, 연간 요양병원 진료비 변화량은 5,449천원 증가하였다. 연간 총 입원일 변화량의 경우 서비스 이용자에 비해 미이용자는 87.31일 증가하였으며, 요양병원 입원일 변화량은 79.47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장기요양 서비스 미이용자의 의료이용, 특히 요양병원의 의료이용이 높게 나타남에 따라 미이용자에 대한 적정의료와 요양서비스 지원 정책을 통해 장기요양과 의료서비스의 효율적 연계가 필요로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