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요양돌봄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5초

재가노인 돌봄 요양보호사의 우울 및 스트레스 관련 요인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Stress among Korean Women Care-workers for Older Adults Dwelling in Community)

  • 전경숙;유선주;김묘경;김유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18
    • /
    • 2017
  • Purpose: This study identified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explored correlat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women care-workers caring older adults living in community. Methods: A total of 465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Depressive symptoms was measured by the CES-D10 and distress was assessed using a single question given 5 Likert scale.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distress among care-workers were 32.5% and 32.0% respectively. Work environment safety,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work-family conflict, weekly care work time, and poor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symptoms. Only violence exposure experience and poor health status were associated with distres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more attention on mental health of care-workers and their risky work condition such as violence.

요양보호사의 마음건강, 관점수용, 노인 돌봄태도 및 정량 뇌파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Mental Fitness, Perspective Taking,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Quantitative Encephalogram among Caregivers)

  • 원희욱;손해경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8-9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ntal fitness, perspective taking,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quantitative encephalogram among caregivers. Methods: In this mixed method research, 14 female caregivers at an elderly care facility in Y city were participated from December 1st to December 31st, 2019.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applied to measure general characteristics, mental fitness, perspective taking,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Brain waves were measured by quantitative encephalogram in the prefrontal lobe. High frequency and high level of care tasks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analysis of brain waves, caregivers experienced high level of physical strain &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action & stress. Mental fitness (p<.05) and perspective taking (p<.001) were associated with attitude toward the elderly. Moreover, physical strain & stress was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distraction & stress (p<.05, p<.001). High frequency and high level tasks were excretion and position change & movement care related tasks,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 as an evidence for supporting care tasks based on concrete and objective understanding of caregivers using self-reported index as well as neurophysiological indicators including brain waves.

요양보호사의 치매태도와 돌봄행위 간의 관계에서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Dementia Attitude and Care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Compassion Competence)

  • 오영주;전영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6-46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ompassion competence and it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dementia and care behavior among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nursing homes. Methods: 211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or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st to May 24th, 2023,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he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The mean score for care behavior was 3.67±0.97 (range 1~5). Car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ttitudes toward dementia (r=.76, p<.001) and compassion competence (r=.75, p<.001). Using Baron and Kenny's approach and PROCESS Macro model 4, care behavior was directly affected by dementia attitude (β=.76, p<.001). Compassion competence (β=.66, p<.001) was directly affected by dementia attitude. The partial mediating effects of compassion competence (β=.47, p<.001, 95% confidence interval 0.10~0.23) on the impact of dementia attitude on care behavior was confirmed.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ompassion compete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enhance dementia-related attitudes and improve care behavior among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임종돌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ttitude to Death in the Hospice and Palliative Professionals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 양경희;권성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4호
    • /
    • pp.285-293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의 죽음에 대한 태도의 임종 돌봄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를 탐구하고, 이 두 변수와 관련된 우울, 대처전략들의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 131명이며, J도를 중심으로 2개의 상급종합병원과 2개의 종합병원 암병동, 2개의 호스피스 시설, 2개의 전문요양병원 및 2개의 노인병원에서 실시되었다. 자료는 2015년 3월부터 6월에 수집되었으며, 자료 분석에는 SPSS/WIN 21.0과 AMOS 18.0 programs을 사용하였고, t-test, factor analysis, ANOVA ($Scheff{\acute{e}}$), Pearson's correlation 및 path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결과: 죽음에 대한 태도는 낮았으며(2.63점), 우울 점수는 0.45점이였으나 15.0%의 대상자는 우울관리가 요구되었다. 임종 돌봄 스트레스가 높고(3.82점), 그 중 의료 한계에 대한 갈등이 가장 높았다(4.04점). 스트레스 대처는 낮았으며(3.13점), 대인관계 기피(4.03점), 간식이나 잠을 취하는 기본욕구 충족(3.65점)과 같은 소극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죽음에 대한 태도는 임종 돌봄 스트레스에 직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주었으며, 우울과 기본 욕구 충족(CS2)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들에게 죽음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대처전략을 활용하게 하는 인지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제공이 요구된다.

중증장애 가족의 돌봄과 미래기대 (Care and future expectations of families with severe disabilities)

  • 신경안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139-146
    • /
    • 2020
  • 중증장애인의 돌봄은 비장애 가족에 비해 전 생애주기에 돌봄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중증장애 가족의 돌봄자는 일상적인 스트레스는 물론 가족 전체에 부정적인 감정을 가질 우려가 높다. 장애가족 역시 장애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생활에서 비 장애자녀나 부부간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다. 특히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는 장애 돌봄자의 노령화와 함께 노인장애인의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장애인 돌봄자의 과거와 현재 경험을 통한 현실적 지원에 대한 대안을 탐색하였으며,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장애 영유아에 대한 장애확인 후 지원체계나 제도에 대한 정보전달이 등급판정 기관에서부터 제공. 둘째, 장애유형이나 개별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돌봄지원'의 사회, 정치, 제도, 경제적 차원에서의 제공. 셋째, 비장애 자녀대상의 프로그램의 제공과 장애인을 포함하거나 혹은 장애가족만을 위한 힐링 프로그램의 제공. 넷째, 성인장애인을 위한 휴식과 쉼을 제공하는 공간과 프로그램의 제공. 다섯째, 장애인 노화연령을 반영한 노인장기요양제도 적용과 장애인 커뮤니티케어의 제도화이다. 이러한 대안제시를 통해 연구는 성인과 노인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논의점의 제시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A Study on Emotional Labor of Home Elderly Welfare Center Certified Nursing Assistants

  • Jung Seo,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03-110
    • /
    • 2023
  • 재가노인복지센터 요양보호사들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를 통해 복지센터의 운영과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K시와 J도 소재 재가노인복지센터 소속 요양보호사 138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을 이용하여 신뢰도 Cronbach's α 계수산출, t-test, 분산분석, Pearson 적률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재가노인복지센터 요양보호사들의 감정노동 차이는 치매 교육, 근무경력, 고용 형태, 학력, 나이순으로 감정노동 정도가 더 높았다. 둘째, 조사대상의 소진 정도는 근무경력, 치매 교육, 고용 형태, 나이순으로 높았다. 마지막으로 업무 스트레스, 감정노동은 업무소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요양보호사들의 업무소진 방지를 위한 체계적인 감정조절 경험사례와 치매 교육, 서비스 대처 방법에 관한 업무 환류와 업무 스트레스 완화를 근무 여건 개선 대책 연구가 필요하다.

노인 및 거동 불편 환자들의 안전한 목욕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의 샤워 부스 개발 (Designing a Universally Accessible Shower Booth to Enhance Bathing Safety for Elderly and Patients with Mobility Impairments)

  • 김정현;김진현;표준호;이재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84-985
    • /
    • 2023
  • 노인 및 거동 불편 환자들이 목욕 중 낙상 사고 등을 당하는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내 65세 이상 1인 가구 197만 가구는(22년 기준) 가족의 돌봄 없이 혼자 생활하고 있어, 이들이 목욕 중에 사고를 당하는 경우, 빠른 구호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독거노인의 증가와 낙상 사고의 위험성에 초점을 맞추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라도 혼자서 목욕이 가능한, 모든 사용자로부터 접근성을 높인 샤워 부스를 개발 및 연구한다. 요양보호사 두 명과 인터뷰를 하여 실제 상황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한다.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안전을 1순위로 고려하고, 사용 편의성 및 청결을 유지하는 방안을 고려한다.

치매 노인을 돌보는 노년기 배우자의 돌봄 부담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Care Burden of Elderly Spouses Caring for Dementia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박주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4호
    • /
    • pp.43-54
    • /
    • 2021
  •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을 돌보는 노년기 배우자가 지각한 돌봄부담과 사회적지지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지역 재가방문요양센터의 치매 노인을 돌보는 만60세 이상 배우자 165명을 조사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 노인을 돌보는 배우자의 전체 돌봄부담은 3.76점(SD=.57)으로 중앙값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사회적지지의 경우 비공식적지지는 2.65점(SD=.78), 공식적지지는 2.60점(SD=.77)으로 중앙값 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생활만족도는 3.11점(SD=.78)으로 중앙값 보다 약간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치매 노인 배우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소득수준, 사회활동 부담, 비공식적지지가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치매 노인 배우자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사회활동 부담이 낮을수록, 비공식적지지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활동 부담과 비공식적 지지 상호작용 항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치매 노인에 대한 사회활동 부담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비공식적지지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치매 노인 배우자가 사회활동 부담을 경험하여도 비공식적지지를 많이 사용할수록 생활만족도가 감소하는 정도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AI로봇 통합관리프로그램이 재가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I Robot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aily life activity,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at home)

  • 김연미;송미영;양정숙;나현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511-523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다양한 노인돌봄 방식의 변화가 제기되고 있어, 재가의 경증치매 및 신체허약노인을 대상으로 비대면 방식의 돌봄기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AI 로봇 통합관리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우울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1년 6월 4일부터 9월 17일까지이며 실험군 17명, 대조군 18명 대상자의 설문결과를 SPSS 25.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언어기능, 일상생활활동, 우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중등도 이상 우울과 경증 우울이 감소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인지기능은 장기요양등급과, 일상생활활동은 동거가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위드 코로나 시대'에 노인돌봄 현장에 비대면 방식의 돌봄기술을 도입한다면, 노인의 인지기능훈련 및 우울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인환자와 가족의 임종의료결정 권리 및 사회복지사 역할 이해도 - 장기요양 입소 시설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 (A Study of Social Workers' Understanding of Elderl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Rights to End-of-Life Care Decisions and of Their Own Roles in the Process)

  • 한수연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1호
    • /
    • pp.42-50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장기요양 입소시설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임종의료결정 권리, 사회복지사의 역할 이해도를 분석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 334부 중 분석에 포함하기 어려운 37부를 제외한 297부를 SPSS 20.0을 이용하여 T-test,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사회복지사가 이해하는 노인환자와 가족의 임종의료결정 권리 이해도는 5점 만점에 $3.46{\pm}0.69$, 사회복지사 역할 이해도는 $3.48{\pm}0.84$이다. 사회복지사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연명치료 결정 도움 경험, 임종의료결정 도움 업무, 근무 경력, 침상 수 등에 따라 임종의료 결정 권리 및 사회복지사 역할 이해도에 의미 있는 수준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임종의료결정 권리와 사회복지사 역할 이해도와의 상관관계는 의미 있는 수준에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Pearson r=0.329, P<0.001). 결론: 장기요양 입소시설에서 노인환자와 가족에게 사전의료의향서 및 연명치료 결정 도움을 제공하는 사회복지사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노인환자와 가족의 임종의료결정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임종의료결정에서의 사회복지사 역할 수행을 위한 교육이나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