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재적 가치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생의 내·외재적 직업가치 변화양상 및 잠재집단 유형과 성, 사회경제적 지위, 학업성취, 진로성숙의 관계 (The latent classes depending on trajectori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and its relationship with gender, academic achievement, socioeconomic status, career maturity amongst college students)

  • 하문선
    • 직업교육연구
    • /
    • 제33권3호
    • /
    • pp.57-81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내 외재적 직업가치 변화양상과 잠재집단유형을 파악하고 각 잠재집단과 성별, 사회경제적 지위, 학업성취, 진로성숙과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잠재집단성장모형분석(LCGA) 결과, 대학생의 내 외재적 직업가치 변화는 각각 이질적인 변화양상을 가지는 두 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직업가치 변화의 잠재집단유형은 내재적 직업가치 증가집단(29.4%)과 내재적 직업가치 소폭감소집단(70.8%)으로 분류되었고, 외재적 직업가치는 외재적 직업가치 소폭감소집단(18.1%)과 외재적 직업가치 증가집단(81.9%)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대학생들은 학업성취수준이 높을수록 내재적 직업가치 증가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남학생일수록,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외재적 직업가치 증가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에 대한 연구를 풍부하게 할 것이며 진로상담 전략과 개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공동가치창출을 위한 활성화 정책이 참여 동기에 미치는 조절 효과 분석 (The Moderating Effect of Activation Factors : An Empirical Study on the Motivation of Co-creation Participation)

  • 김나랑;홍순구;김종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227-236
    • /
    • 2016
  • 공동가치창출은 기업 내 외의 자원을 이용하여 혁신을 달성하는 중요한 접근방법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의 경험에 기반한 공동가치창출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동가치창출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181개의 유효 데이타를 분석 하였다. 다중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공동가치창출 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활성화 요인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재적 동기는 공동가치창출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외재적 동기는 공동가치창출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공동가치창출 활성화 요인은 내재적 동기와 참여에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외재적 동기와 참여관계에서는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업에서 공동가치창출 참여 동기 요인에 근거하여 고객의 참여를 증진시키고 활성화 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여러 계층에서의 설문응답을 확보하여 분석한다면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직업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 -외식업체 1년 미만 신입종사원을 중심으로- (A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Effect of Work Value on Turnover Intention -Focuse on Food-service Industry Newcomers Less than 1 Year-)

  • 임태근;최우성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3호
    • /
    • pp.37-5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외식업체에 종사하는 신입사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직업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직업가치 중 내재적 가치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가치 중 사회헌신만이 이직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직업가치 중 외재적 가치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외재적 가치 중 체면유지와 안정추구만이 이직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후원에 따라 내재적 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가치 중 지식추구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정서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내재적 가치 중 인간관계중심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정서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후원에 따라 외재적 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외재적 가치 중 경제우선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정서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외재적 가치 중 체면유지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정서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단적 후원에 따라 내재적 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가치 중 지식추구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수단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수단적 후원에 따라 외재적 가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외재적 가치 중 경제우선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수단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대로, 외재적 가치 중 체면유지에 대해 높게 지각한다면 수단적 후원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Relative Extrinsic Value Orientation and Life-satisfaction)

  • 구재선
    • 감성과학
    • /
    • 제22권4호
    • /
    • pp.85-96
    • /
    • 2019
  •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은 내재적 가치(e.g. 사회적 관계, 자기수용 등)에 비해서 외재적 가치(e.g. 부유함, 사회적 인정 등)를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성이다. 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상대적 외적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도의 인과적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에 성별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1패널의 3차, 5차, 7차 년도 조사 자료(N = 2,259; 남자 1,140명, 여자 1,119명)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상대적 외적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이전 시점의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은 다음 시점의 삶의 만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은 이후 시점의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을 설명하지 못했다. 끝으로 이러한 관계는 남녀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삶에 대한 불만족이 내재적 가치보다 외재적 가치를 지향하게끔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이 높을 때 삶의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고객의 공동가치창출 행태 모형 연구 (Study on the behavioral model of co-creation by customers)

  • 김나랑;홍순구;김종기;박순형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59-72
    • /
    • 2016
  • 공동가치창출이 주요한 사회현상으로 부각되고 있지만 아직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 있지 않다. 특히 고객의 공동가치창출 참여에 대한 사회 심리학적 동기에 대한 분석은 심도 있게 연구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고객의 공동가치창출행태 모형을 제안하고, 고객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와 지속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요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샤 뷰티넷 이용자들의 심층인터뷰 자료를 근거이론으로 분석 하여 고객의 공동가치창출 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객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내재적 요인과 외재적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참여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공동가치창출 플랫폼, 기업의 정책, 개인적인 특성 등이 제시되었다.

직업상담사의 직업가치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 매개효과 (The effects of work value of vocational counselor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 Mediator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최현아;김인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72-48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상담사의 직업가치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의 직업상담사 207명을 대상으로 직업가치관,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업상담사의 직업가치관이 높을수록 조직 몰입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상담사의 직업가치관과 조직 몰입의 관계에서 직무 만족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가치관의 유형에 따라 내재적 직업가치관과 외재적 직업가치관 유형 모두와 조직 몰입의 관계에서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 역시 유의하였다. 이를 통해 직업상담사들은 직업 그 자체에 대한 내재적 의미와 가치뿐만 아니라, 직업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으로 취할 수 있는 이익 등 외재적 가치 모두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조직에 대한 몰입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내재적 가치관보다 외재적 가치관이 상대적으로 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업상담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자신감과 자부심 등 내재적 가치 외에 물질적 보상과 직업안정성 등 외재적 가치를 증진시켜 주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지식공유의 내재적 외재적 동기가 사회적 유대감과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Knowledge Contributor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on Social Connectedness and Satisfaction)

  • 박소라;강재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3호
    • /
    • pp.91-116
    • /
    • 2016
  • 목적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지식교류의 질과 양은 지식공유자의 재량에 달려있다. 지식공유자의 공유동기에 대한 이해는 지식교류의 질과 양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이 논문은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 지식공유 시에 느낄 수 있는 사회적인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한다. 설계/방법론/접근 지식공유 모델에서, 숙련레벨에 따른 내재적 외재적 동기가치와 변수의 변화를 연구하여 그룹 간 비교한다. 연구모델에서는 명성과 이타주이가 내재적 외재적 동기가치의 선행변수로, 사회적 유대감과 만족이 종속변수로 쓰였다. 자기 결정 이론을 바탕으로 숙련레벨이 선행변수와 종속변수에 다르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설명한다. 시사점 2005년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정보공유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중 262개의 샘플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유대감이 중요한 종속변수로 밝혀졌고, 숙련레벨에 따른 그룹 비교 분석은 이타주의가 숙련레벨이 높은 정보 공유자에게만 외재적 동기가치에 반 (-)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재적 동기가치는 숙련레벨이 낮은 그룹과 높은 그룹에서 만족에 정(+)의 영향을 끼치나 두 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가지면서 숙련레벨이 높은 그룹이 더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Holland 6각형 모형의 탐구형·진취형(IE) 축과 직업가치와의 관계분석 (The Analysis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Axis of Investigative·Enterprising(IE) in Holland Hexagonal Model and Job Value)

  • 최선희;조인수;서설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372-383
    • /
    • 2017
  • 본 논문은 Holland 6각형 모형에서 내 외재적 직업가치를 가늠하는 축이 탐구형 진취형(IE)임을 검증하기 위해 직업카드분류150 검사에 참여한 19명 연구대상자의 Holland 6각형 모형과 내 외재적 직업가치를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탐구형 진취형(IE) 축을 중심으로 Holland 6각형 모형이 예술형(A), 사회형(S) 쪽으로 치우쳐 있는 연구 집단은 내재적 직업가치를 나타내어 가설을 지지하였다. 둘째, 탐구형 진취형(IE) 축을 중심으로 6각형 모형이 현실형(R), 관습형(C) 쪽으로 치우쳐 있는 집단은 외재적 직업가치를 추구할 것이라고 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는 유교문화권에서 정신문화적 가치를 추구하는 한국 특유의 문화적 맥락이 작용한 결과이며, Holland 6각형 모형이 정확하게 탐구형 진취형(IE) 축의 왼쪽에 분포되지 않은 면도 있다. 셋째, 양가적 직업가치의 집단은 탐구형 진취형(IE)축을 기준으로 Holland 6각형이 예술형(A), 사회형(S), 현실형(R), 관습형(C) 등에 걸쳐 나타낸다는 일부 가설을 지지하였다. 본 논문은 일부 가설이 기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Holland 6각형 모형 중 탐구형 진취형(IE) 축이 가치를 구별하는 잣대라는 것을 처음 제시한 연구로서 Holland 6각형 모형이 직업선택 뿐만 아니라 직업가치를 예언할 수 있음을 제시하여 Holland 이론의 저변 확대를 꾀하였고, 직업학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The Pre-service Teachers'Conceptions of the Question 'Why Should Students Learn Science?')

  • 장명덕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2
    • /
    • 2018
  • 이 연구는 '학생들은 왜 과학을 공부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자유로운 서술식 응답의 분석을 통해 그들의 과학학습의 가치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과학의 내재적 가치 중시 관점과 외재적 가치 중시 관점에 대한 응답 비율은 거의 같았고 이들의 응답은 매우 다양하여 국내외 연구자들이 제시한 과학학습의 가치가 거의 다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최하위 범주의 세부항목 합리적인 의사결정자로서의 미래 시민 육성에 관한 것에 대한 응답 비율은 매우 낮았다. 둘째, 이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약 30%는 내재적 가치 또는 외재적 가치 중 어느 하나에 편향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과학을 왜 배워야하는가에 대한 학생의 질문에 대해 어느하나의 가치 관점에 치우진 설명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과학의 본유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 두 관점 모두를 포함한 균형 잡힌 인식의 기회가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직업가치에 따른 취업준비행동 분석 (The Analysis of Job Preparation Activities by Work Value)

  • 조윤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690-1698
    • /
    • 2013
  •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0년도를 활용하여 대학생 6847명의 직업가치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직업가치는 내재적 중요도, 실제적 중요도, 외재적 중요도 등으로 설정하였고, 취업준비행동을 취업목표 설정 유무, 진로/취업에 관해 학점 인정되는 교과목 참여 유무, 직장체험 프로그램 참여 유무, 인/적성검사 등 직업심리 검사 참여 유무, 교내 취업 박람회 참여 유무, 진로 관련 개인/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 유무, 면접기술/이력서 작성 프로그램 참여 유무, 취업캠프 참여 유무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자의 성별, 학교유형, 학교소재지, 전공에 따라 직업가치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직업가치 중 실제적 중요도가 취업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내재적 중요도와 외재적 중요도는 취업준비행동에 부(-)의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준비에 대한 세분화된 분석 자료를 제공하고 직업탐색의 중요한 요소인 직업가치에 대한 새로운 검증에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