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외상성 견관절 불안정성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Hill-Sachs 병변을 동반한 재발된 외상성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Remplissage' 술기를 이용한 관절경적 술식 - 증례 보고 -

  • Go, Sang-Hun
    • The Academic Congress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 /
    • 2009.03a
    • /
    • pp.185-185
    • /
    • 2009
  • 관절와 및 상완골의 의미 있는 골결손을 동반한 불안정한 견관절에 대해 어떻게 최선의 치료를 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은 남아있다. 어떤 저자들은 외회전과 외전을 제한하는 것으로 Hill-Sachs 병변의 진입을 예방하는 일종의 관혈적 관절낭 변위를 통한 제한된 상완와관절 운동을 주장해왔으며, 다른 관혈적 시술들은 극하근건과 관절낭을 Hill-Sachs 병변 내로 관혈적 전이시키는 것으로 기술되어왔다. 최근에는 여러 저자들에 의해 Hill-Sachs 병변의 진입을 치료하는 더 새로운 접근법들이 기술되었으며, Bankart 병변 복원술에 더하여 Hill-Sachs 병변을 채우기 위해 관절경 하 후방 관절낭 고정술과 극하근건 고정술로 이루어진 이른바 'Remplissage'술기가 소개된 바 있어, 이에 저자는 외상성 견관절 불안정성으로 관절경 하 Bankart 병변 복원술 및 관절낭 축화술 시행 후 외상으로 재발된 견관절 불안정성이 발생하여 관절경 하 Bankart 병변 복원술과 함께'Remplissage'술기를 이용한 Hill-Sachs 병변 복원술을 시행한 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견관절 불안정성 진단 및 치료방침의 결정

  • Choe, Chang-Hyeok
    • The Academic Congress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 /
    • 2007.11a
    • /
    • pp.104-109
    • /
    • 2007
  • 외상성 전방탈구의 경우 일차성 탈구이거나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호소하지 않는 불안정성이 있을 경우 및 비외상성 다방향 불안정성의 경우 보존적 치료가 바람직하며, 10대 및 20대의 재탈구로 인한 불안정성이 유발될 경우 관절경적 혹은 개방성 Bankart 술식을 통하여 관절순의 해부학적 정복 및 술 후 잘 조절된 재활치료를 시행할 경우,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치료 방법의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환자의 원하는 결과를 만족 시켜줄 수 있는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며, 이는 불안정성의 원인, 정도, 탈구의 횟수, 환자의 활동도 및 재활 의지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 PDF

Recurrent Traumatic Glenohumeral Instability associated with Glenoid Bone Defect (관절 와 골 결손이 동반된 재발성 견관절 외상성 불안정증 - 3례 보고 -)

  • Tae, Seok-Gi;O, Jong-Su;Im, Mu-Jun
    • The Academic Congress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 /
    • 2009.03a
    • /
    • pp.224-224
    • /
    • 2009
  • 견관절 전방 외상성 불안정증에서 관절 낭-순 재건술은 재발성 불완정증 예방 및 기능 회복에 있어 매우 성공적인 술식이다. 그러나 관절 와의 30 % 이상의 심한 골 결손이 존재 할 때 관절 낭-순 재건술 만으로는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힘들다. 본 연구는 관절 와의 심한 골 결손을 가진 재발성 전방 외상성 불안정성 견관절에서 관절외 자가 장골 이식으로 보강한 관절 낭-순 재건술의 술기와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