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모 만족도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75초

간호대학생의 외모만족도, 대인관계 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ody Imag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Depression Among Nursing Students in Korea)

  • 김윤경;차남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89-500
    • /
    • 2016
  • 본 논문은 한국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대인관계 성향 및 우울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17세-27세 범위이며 총 247명이 편의 추출에 의해 선정되었다. 연구는 2012년 11월 1일부터 2013년 3월 30일까지 시행하였다. 우울에 유의한 변수는 형제서열순위, 종교, 학교성적, 경제적 상태, 거주상태, 스트레스 해소방법이었다. 우울과 외모만족도, 대인관계 경향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외형, 경제적 수준이었고, 다음으로 동정-수용적, 반항-불신적, 체형과 거주상태 순으로 모형의 수정된 결정계수(R2)는 .268 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간호대학생의 우울을 이해하고 개인간 상호관계와 우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연구가 될 것이다.

노년 여성의 웰빙 성향과 외모관심도가 화장품 구매의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ell-being Disposition and Appearance Concern on Cosmetic Purchase Intention and Brand Loyalty for Elderly Women)

  • 홍병숙;조유현;백인선;이은진;박성희;권유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778-1787
    • /
    • 2006
  • 질적인 삶을 추구하는 노년 여성이 증가하고, 아름답게 가꾸고 싶어하는 미적 욕구가 커짐에 따라 화장품 산업의 급성장이 예견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노년 여성들의 웰빙 성향과 외모관심도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들 변인이 화장품 구매의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55세 이상의 여성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년 여성의 웰빙 성향은 친환경요인, 생활만족요인, 신체건강요인으로 나뉘어졌고, 외모관심도는 외모중시요인, 외모관리요인, 피부관리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들 요인 중 웰빙 성향의 신체건강요인과 외모관심도의 외모중시요인이 노년 여성의 화장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화장품 구매 의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노년 여성들이 신체건강 및 외모를 중시할수록 화장품 구매의도 및 브랜드 충성도가 높아졌으므로, 이들의 웰빙 성향과 외모관심도는 브랜드 충성도를 유발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 집단별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만족도의 차이분석 (Differenc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Lifestyle Groups)

  • 박광희;김인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54-564
    • /
    • 2013
  • We provide an empirical assessment that examines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life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variables between groups classified by individual lifestyl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513 female and male adults over 17 years of age in the Daegu and Kyungbok metropolitan regions. Descriptive statistics, cluster analysis, Cronbach's ${\alpha}$, ANOVA, Duncan test and ${\chi}^2$ test were applied to analyze data from 513 respon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did a cluster analysis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weight training, skin care, hair care, make-up and clothing selection. Four groups (passive, rational, fashion oriented, and active typed) where classified according to individual lifestyle. Second, the rational and active group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social life, environmental stability, health, fashion and economic seeking life. They were also more involved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in a high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differenc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lifestyle group (mal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females with higher level of income and education (among the demographic variables) belonged to the active group.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life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variables among male and female groups classified by lifestyle.

간호대학생의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외모만족도,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Body-Image, and Self-Estee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김효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2-7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ppearance satisfaction, body-image, and self-esteem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designed a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he subjects were 753 nursing students of three nursing colleges.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collected from April 1 to May 31, 2011.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WIN (ver.12.0). Results: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ccording to gender, economic status and physical health status. Th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body-image and self-esteem.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showed physical health status, body-image and self-esteem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ese three predictors accounted for 37% of the varia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Conclusion: Physical health status, body-image and self-esteem were the predictors influenc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Therefore,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중년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women)

  • 석혜정;조신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1-93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influ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wome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153 women aged 40-59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ANOVA, Duncan's test,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5.0.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SPSS Process MACRO #4 was borrowed,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1)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amo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2)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me differences were found. 3)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the 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was confirmed. The above results show that middle-aged women experience an increase in self-efficacy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improvements in their life satisfaction through such self-efficacy, not just enhancing life satisfaction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other words, appearance management increases life satisfaction through an ego-discovery process.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에 대한 영역 만족도의 상대적 예측력: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 비교 연구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domain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and hedonic balance: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anadian university students)

  • 김현지;이화령;서은국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3호
    • /
    • pp.303-327
    • /
    • 2020
  • 영역 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다양한 영역 만족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 영역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 및 정서적 안녕감 각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게다가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서구 문화권에서 진행되어 왔으며 문화비교 연구는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영역 만족도(건강한 라이프스타일, 가족관계, 외모, 재정상황, 학업 성적에 대한 만족도)가 개인의 삶의 만족도 및 정서적 안녕감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봄과 동시에, 문화별로 어떤 특정 영역이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을 더 잘 예측하는지 한국과 캐나다 두 문화권의 대학생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두 문화에서 다섯 영역의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 및 정서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흥미롭게도, 다섯 영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문화별로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들에 차이가 있었다. 한국인의 경우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이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을 가장 잘 설명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럽계 캐나다인의 경우 외모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 모두를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만족도가 행복 요소들을 가장 잘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개인의 주관적 안녕감의 예측에 있어, 문화 공통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삶의 영역이 있으며, 더불어 문화의 특성에 따라 더 좋은 예측력을 가지는 삶의 영역도 있음을 보여준다.

인물의 매력에 관련된 아름다움의 차원 (The Beauty Dimensions Related to Human Attractiveness)

  • 박상준;이영란;김은정
    • 감성과학
    • /
    • 제11권2호
    • /
    • pp.139-152
    • /
    • 2008
  • 대부분의 경영분석가들은 뷰티산업이 미래의 주요산업의 하나가 될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뷰티산업은 뷰티에 관련된 서비스와 상품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시장에서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뷰티 서비스와 뷰티 상품을 마케팅하기 위해서는 뷰티가 측정될 수 있어야 하지만, 실제적으로 뷰티를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은 사실상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Langmeyer and Shank(1994)의 연구를 바탕으로 인물의 매력을 단일의 차원이 아닌 다차원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258명의 대학생 응답자를 대상으로 인물의 매력에 관련된 뷰티의 차원에 관련된 설문을 실시했고, 이를 바탕으로 인물의 매력에 관련된 뷰티의 차원을 도출하고, 뷰티 측정에 대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행된 정량적 분석에 기초하여 최종적으로 인물 매력에 관련된 4가지 뷰티 차원을 도출하였는데, 2개 차원은 인물의 내면의 아름다움에 관련된 것(역동적 성격, 배려)이었고, 나머지 2개 차원은 인물의 외면의 아름다움에 관련된 것(형상, 스타일)이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응답자 특성에 따라 아름다움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응답자 특성으로는 성별, 외적 아름다움의 인식 차이, 자신의 외모 만족도가 고려되었다. 분석결과는 자신의 외모 만족도와 아름다움의 인식 가치가 본 연구에서 도출된 아름다움 차원에 있어서 아름다움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1)자신의 외모 만족도가 높은 경우 전반적으로 외모차원과 심성차원의 아름다움을 모두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아름다움의 인식 가치가 높은 경우 외면의 아름다움 차원을 내면의 아름다움 차원보다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와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teeth awareness and satisfaction on self-esteem)

  • 정은서;이경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315-324
    • /
    • 2016
  • 본 연구는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및 자신의 치아 만족도,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과 자아존중감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향후 치아 미용 관련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15년 5월부터 8월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 32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중 응답이 미흡한 18부를 제외한 302(94.38%)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적합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01), 모형 설명력은 23.4%로 나타났으며, 선정된 독립변수 중 학력(대졸 이상)과 치아가 외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은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주관적인 치아에 대한 인식이 증가할수록 자아존중감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나 치과를 내원하는 환자들의 구강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와 관련된 구강보건교육을 시행하고, 치아의 색이나 배열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신감과 만족감을 더 고취시킬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 한팬(韩饭)의 K-POP 팬덤 형성요인 IPA 분석 (IPA Analysis of The Causes of The Formation of K-POP Fans Phenomenon in China)

  • 왕안열;권병웅
    • 예술경영연구
    • /
    • 제49호
    • /
    • pp.87-115
    • /
    • 2019
  • K-POP 중국 진출의 현지 적합성과 지속가능한 성장 문제에 전략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시점이다. 본 연구는 중국 K-POP 팬덤의 형성요인에 있어서 중요도와 만족도의 우선순위를 밝히기 위하여 IPA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중 절반이 넘는 팬들(65%)이 한류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이 중 49.5%는 좋아하는 아이돌에 대해 경제적 소비를 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POP 팬덤형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에서 가장 높은 요소는 음악의 선율이었고, 공연효과 면에서는 안무가 높은 형성요인으로 나타났다. 스타일 면에서는 외모를 최우선으로 꼽았고, 화제성에서는 방송출연 여부가 1순위로 나타났다. 셋째, K-POP 팬덤 형성요인의 중요도-만족도에 대한 IPA 격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K-POP 팬덤 형성에 있어 음악요인은 '음악장르'와 '선율', '노래수준', '감정표현'이 유지강화 항목으로, '가사'는 점진개선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안무요인은 '군무'와 '표현력', '공연효과(라이브)'가 유지강화 항목으로, '기교성'과 '백댄서'는 점진개선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스타일요인의 중요도는 '외모', '메이크업', '의상', '헤어' 순으로 나타났고, 만족도는 '외모', '메이크업', '헤어', '조형 포인트', '의상' 순으로 나타났다. 화제성 요인의 중요도는 '방송출연', '팬클럽 및 커뮤니티 활동', 'SNS 영향', '음악 외 재능활동', 'OST 등 참여' 순으로 나타났고, 만족도는 '팬클럽 및 커뮤니티 활동', '음악 외 재능활동', 'SNS 영향', '방송출연', 'OST 등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성과는 향후 K-POP의 중국시장 진출과 현지적합성, 중국 K-POP 팬덤 형성 요인의 변화를 분석해 가는데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