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래진료부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3초

가상현실을 이용한 수술 전 안내 및 수술실 환경 체험이 수술 전 정보만족도와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eoperative Guidance and Operating Room Environment Experience Using Virtual Reality on Satisfaction with Preoperative Information and Anxiety Reduction)

  • 오인옥;백은정;정지윤;최은영;김종희;김치향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30권1호
    • /
    • pp.51-59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eoperative guidance and operating room environment experience using virtual reality on increasing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 and reducing anxiety in preoperative patients undergoing general anesthesia and local anesthesia.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employed. The participants were 80 surgical patients from 4 wards (40 experimental group and 40 control group) of th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Gyeonggi-do.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to November 2023 after completing the control group survey in January 2023.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using SPSS 23.0 program. Results: Satisfaction with preoperative information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anxiety related to surger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preoperative state anxiety scor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viding patient education and information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can not only alleviate patients' anxiety related to surgery, but also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positive patient experiences.

서울시 어린이 전문병원 외래진료부의 공간구성방식과 대기공간의 치유환경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Methods of O.P.D & the Construction of Healing Environment on O.P.D Waiting Area in Children's Hospital in Seoul Metropolis)

  • 김건형;박재승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37-48
    • /
    • 2010
  •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elements of a healing environment of the waiting rooms in outpatient clinics of children' hospitals (3 hospitals in Seoul) so as to propose a design to build a healing environment within the children' hospital.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the healing environment in the waiting rooms, this paper has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The study shows that the space structure of outpatient clinics in children' hospitals are composed of 1 story or 2 stories and designed in a duplication design or a dispersed alcove design. 2)The waiting room of the SC Hospital, with an area of 66.56$m^2$, and the waiting room of the SU Hospital, with an area of 38.78$m^2$ received the highest score for its space. 3)As most patients visit the hospital with their guardian, the waiting room should also be someplace families can rest and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4)It is essential to build an environment that eliminates stress elements that patients may come to face by minimizing noise and elements that obstruct the view for mental stability. 5)The results show that those who took part in the survey preferred the following, respectively, healing environment design for the waiting room in the outpatient clinic at children' hospital: Pleasantness>Easiness in finding one' destination>Artificial materials>Natural materials>Environment like that at home>Co-promotion spaces>Space that supports the patients'activities>Openness>Sociality>Safety/Security>Approachability and Privacy. The results also show that healing conditions respect these preferences.

국내 종합병원 전문진료센터의 건축 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Specialized Care Center in the Korean General Hospital)

  • 정가영;양내원;이한승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5-33
    • /
    • 2007
  • This study is about change a necessary and natural change from institutionalized hospital based health care to a more patient centered, accessible health care. Rapidly change of social and medical facts such as growing aging population, malady, changing of medical policy are made new paradigm. This paradigm is both required to the hospital ; consolidate department and service; architectural change. Benefit to patient and hospital are many, so there are many challenges in Korean general hospi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architectural design guideline to Korean general hospital which is struggling to change from to functional organization to the patient based care center. As a result, the type is divided into three classes, consultation type(C), some of examinations are added on consultation type(EAC), consultation and examination are fully integrated type(CEI). Each type has different organization and the proportion of area, group unit, process of treatment.

  • PDF

일개 종합병원 고객관리 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Study on customer management analysis model for one General Hospital)

  • 김영종;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082-4089
    • /
    • 2012
  • 본 연구는 병원을 이용하는 외래환자들의 불만족요인과 만족요인들을 조사하여 보다 높은 고객만족경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에 소재하는 일개의 종합병원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2011년 10월 24일 1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총 1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144부를 통계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행정지원부문의 특성 중 전반적 만족도와 타인추천 의향에 대하여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접수 수납 절차의 신속 간편성인 편리성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실 외래 진료대기실의 쾌적성도 공통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는 고객지향적 병원경영시스템을 구축 운영한다면 병원의 경쟁력은 향상되고 병원의 지속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며 고객만족경영이라는 경영목표도 달성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여성 전문병원 외래부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환자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Outpatient Department in the Women′s Hospital - Focused on the Outpatient -)

  • 주진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33-142
    • /
    • 2004
  • Recently, the Korean medical system changed with diversification & specialization and the field of medical service is also specialized in these days. And healing environment is proposed as a general concept in the hospital architecture. There is a trend that a establishment of women's hospital is increasing as specialized type. In difference from general hospital, they are providing specialized and integrated services in response to the women's disease and demand. Particularly, Outpatient department space in women's hospital has been changed in terms of area, shape and program. However, there used to be not enough research efforts of responding these changes. This study includes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s women's hospital in the form of small and medium sized building over a certain level in Korea. And the methods of the study adopted the theoric examination based concept and features of women's hospital, the abstraction of distinctions in the Outpatient depart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rawing, and the analysis of distinctions in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women's hospital with the structural space classified and the analysis of space rel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is to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Outpatient department space in women's hospital through a analysis of case study. To conclude, the space composition can be classified into the entry space, the clinic space for patients, the support space of patients' check-up, the reception and waiting space, the rest and convenience space, and the link space in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women's hospital. The level space can account for the waiting space type, the clinic office type, the type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waiting room and the clinic office with its features. As a result, the results will be applied for the planning & design for the future women's hospital.

의대생들의 과제해결기반 병원 내 진료지원부서 현장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Task-Based Field Experience for Medical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cal Care Support Department in the Hospital)

  • 박귀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52-16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 1학년을 대상으로 병원 내 진료지원 부서에 대한 과제해결 기반의 현장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 후, 학생들의 경험과 그 의미를 현상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병원 내 진료지원 부서로 간호부(병동과 외래, 중환자실), 인공신장실, 의무기록실, 약제부, 진단의학검사실, 영상의학실, 원무팀, 고객상담센터, 장기이식센터, 국제의료센터를 선정하였다. 학생들은 부서를 방문하여, 인터뷰, 관찰, 직접 시행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고, 프로그램 만족도와 자기성찰 에세이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학생들은 병원 내에 많은 직종과 역할이 있고, 보건의료 직종의 역할을 이해하게 되었다는 것을 가장 높게 평가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성찰일지에 나타난 현장체험학습 경험에 대한 본질적 주제는 현실을 인식에서는 '체험이 주는 이상과 현실의 괴리'로 나타났으며, 존중과 협력에서는 '다른 직종의 전문성 인정과 존중', '팀이라는 인식 형성'이 나타났으며, 경험으로부터의 자기성찰에서는 '내면의 변화'가 나타났다.

현역병사의 의료이용 경험에 따른 진료의료기관 선택 의향 (Intention to Medical Facilities Selection according to Medical Service Experience of Serviceman)

  • 황병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47-256
    • /
    • 2010
  • 이 연구는 현역병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9년 10월 5일부터 24일까지 20일이었으며, 600부를 배부하여 565부를 회수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현역병들의 의료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의료기관이용경험에 따른 향후 민간병원의 선택의사 및 군병원의 진료서비스 수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래이용경험률은 군병원이 60.7%, 민간병원이 18.9%이었으며 급이 높을수록 이용경험이 높았다(p<.000). 민간병원을 이용하게 된 동기는 우수한 의료진이 58.9%로 가장 높았으며 의료장비 및 시설만족 49.6% 순이었다. 군복무중 진료의료기관의 선택의향에서는 '입원 외래 모두 민간병원 선택'이 가장 높았으며 계급이 높을수록 민간병원을 선호하는 경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현역병의 군병원에 대한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군의료수준을 민간의료수준으로 발전시켜야 하며, 의료인력의 확충과 첨단의료장비의 도입 등 적극적인 재원투자가 필요하다. 또한 군병원도 일반병원과 경쟁하도록 외부의 의료서비스 평가를 의뢰하고 그 결과를 적극 수용하도록 하여 의료 서비스의 질적 개선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병원 외래진료부에서의 피난 과밀 공간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A Space Analysis Model of Evacuation Overcrowding at Hospital Outpatient Department)

  • 이주희;권지훈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109-116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quantitative model analyzing overcrowding area under emergency evacuation situation in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hospital. Overall study process included the review on legal conditions of an emergency evacuation, the investigation of precedent research documents and the analysis of spatial configuration. The user movement with considering exit gates and the one without considering exit gates were analyzed for routine activity condition. An agent-based simulation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Also, user movement for the emergency condition was tested with evacuation simulation. The variation of simulation conditions revealed the difference between overcrowding spaces from situation change. At all nodes, visit frequencies derived from different conditions and situations were compared. The overcrowding spaces are to increase the risk of delaying emergency evacuation time which is critical for user safety. It suggests the need for dispersing overcrowding spaces under evacuation situation. The suggested analysis model can evaluate overcrowding spaces in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hospital and provide locational data for distributing evacuation design resources.

의료기관 운영요인과 환경요인이 진료비 삭감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f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Medical Expense Reduction)

  • 양유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493-502
    • /
    • 2012
  • 본 연구는 진료비 삭감율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기관의 운영요인과 환경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삭감율을 최초 삭감율과 최종 삭감율로 구분하고, 진료비는 입원과 외래로 구분하여 조사 연구 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전국 병원급 이상 독립된 보험심사부서의 부서장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205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료비 최초 삭감율과 최종 삭감율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입원의 의료기관 운영요인은 보유 병상, 총 진료과, 보험심사 인력, 총 직원수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외래는 의무기록 운영형태, 보유병상, 총 진료과, 보험심사인력, 총 직원수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진료비 삭감율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기관의 운영요인은 최초 삭감과 최종 삭감이 동일하게 입원은 병상수가 높을수록, 외래는 전자의무기록을 시행할수록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진료비 삭감율에 영향을 미치는 의료기관의 환경요인은 최초 삭감과 최종 삭감이 동일하게 입원은 업무협조가 잘 될수록, 지표관리를 시행할수록, 시간외 수당이 지급될수록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외래의 경우 진료비 최초 삭감은 지표관리를 시행할수록, 진료비 관련 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할수록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최종 삭감은 업무협조가 잘 될수록, 지표관리를 시행할수록, 시간외수당이 지급될수록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한국의 MRI 건강보험 급여기준 및 진료이용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Health Insurance Standards and Utilization of MRI in Korea: Based on Health Insurance Claim Data)

  • 조영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869-877
    • /
    • 2018
  • 본 연구는 MRI 건강보험 급여기준 적용 연혁과 건강보험 청구 자료를 바탕으로 MRI 진료 현황(검사 수, 진료금액)을 분석하여 추후 MRI 급여기준 확대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MRI 검사가 급여로 적용되기 시작한 것은 2005년으로 초기에는 일부 질환에 대해서만 적응증이 제한되었으나, 2010년, 2013년, 2016년, 2018년 급여 대상이 확대되었으며, 보건복지부는 2021년에는 모든 MRI 검사에 대해 건강보험을 적용키로 하였다. 2010년부터 2017년까지 MRI 검사수와 진료금액 변화는 검사수는 2010년 대비 2017년도에 86.7% 증가하였고, 진료금액은 53.5% 증가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MRI 진료현황은 여성이 남성보다 검사수가 많았고, 연령별로는 70-79세 연령대가 검사수가 가장 많았다. 진료 형태는 외래 검사가 입원검사 보다 많았으며, 의료기관 형태에 따라서는 상급종합병원의 검사수가 가장 많았다. 검사 부위별로는 뇌 MRI 검사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2013년 12월 심장질환과 크론병에 급여 확대에 따른 진료 현황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심장 MRI와 복부 MRI 검사수가 2013년 대비 2014년에 증가하였다. 하지만 전체 대비 검사수가 차지하는 비율이 낮고 질병명과 연계하지 못한 제한점으로 전체 MRI 검사수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우리나라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하여 MRI 급여기준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건강보험 지속가능성과 정책 효과 평가를 위해 추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