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외국식물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자원식물의 연구동향과 실용화 현황

  • Park, Ho-Gi;Yang, Min-Ho;Lee, By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3-3
    • /
    • 2012
  • 자원식물은 인간의 천연물에 대한 관심 고조와 미래 생물자원으로서의 경제적 가치가 재인식되어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은 오래전부터 유용한 식물자원 보존과 이를 이용한 산업화에 정부가 앞장서 추진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에 비해 많은 식물종이 분포하고 뚜렷한 4계절과 다양한 토양특성으로 우수한 기능성식물자원이 많으며 이들 식물자원의 이용과 효능에 대한 풍부한 지식이 전통적으로 이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자원식물에 대한 보존과 이용이 과학화 체계화되지 못하여 세계적인 품종이나 제품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토종자원에 대한 관심과 꾸준한 연구개발로 농촌진흥청 보존 농업유전자원은 세계 6위 수준('10년말 291천점) 이며, 멀티기능 유용물질 함유 작물 개발 및 실용화 기술수준도 기술력 지수 세계7위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자원식물로부터 유용물질을 이용하여 세계시장을 선도하는 천연물신약, 건강기능성식품, 한방화장품, 천연 색소 및 향료 등의 제품개발은 미흡하여 앞으로 유망 자원식물을 이용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고부가 산업 육성을 위한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자원식물을 이용한 천연물 신약개발은 고부가가치 제품과 산업재산권 확보가 가능하므로 수입 대체와 기술 및 제품수출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여 현재 연구개발 중인 신약후보 도출 및 임상개발 과제의 수요를 반영한 후 단계별 대규모 신약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건강기능 식품 개발은 고령사회 진입과 노령인구 증가로 노화억제 및 고령자 건강유지용 식품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추정되어 약용식물을 소재로 개인 맞춤형 나노바이오 건강기능성 식품 개발을 통한 다양한 제품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우리나라 화장품분야의 전반적인 기술수준은 세계최고 기술의 62% 수준이나 화장품 소재의 자원식물 발굴과 나노기술 접목을 통한 효능의 극대화는 소비자의 웰빙 트랜드와 외국화장품과의 차별화 전략에 맞물려 국내 한방화장품의 세계화가 가능한 품목 중 하나이다. 식용 및 염색용 색소도 자원식물이 풍부하고 천연색소 시장이 크게 확장되고 있어 자원식물 중 경제성과 기술적 개발 가능성을 고려하여 단계적인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우리의 식물자원, 전통지식, 과학기술이 통합되어 효능을 현저하게 상승시키는 천연물신약, 건강보조식품, 화장품 등이 개발된다면 세계시장을 선도할 날도 멀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urvey on Plant-Parasitic Nematodes in Peach Orchards in Gyeongbuk Province (경북지역 복숭아과원에 분포하는 식물기생성 선충의 조사)

  • 권태영;김동근;최충돈;윤재탁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3 no.1
    • /
    • pp.81-84
    • /
    • 2004
  • Plant-parasitic nematodes were surveyed at peach orchards in Gyeongbuk province for three years from 2000 to 2002. Species, density, frequency, Simpson's index, Shannon and Wiener index, and prominence value were analyzed. Plant-parasitic nematodes were isolated from 97 orchards out of 124 orchards. More important plant-parasitic nematode genera on peach were Tylenchorhynchus nudus, Criconemoides informis, Paratylenchus elachistus, Pratylenchus vulnus, and Helicotylenchus digonichus. Aphelenchus sp., Tylenchus sp., Heterodera sp., Scutellonema sp. were found, but were not important. Root-knot nematodes were not found even though they were serious in foreign countried.

오대산 백리향과 골든레몬타임 백리향의 형태적 특성 및 정유 성분 비교

  • 이기연;김경대;이재희;장은하;함진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 /
    • 2022.10a
    • /
    • pp.310-310
    • /
    • 2022
  • 백리향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세계적으로 약 100여 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백리향은 외국 허브인 타임(Thymus vulgaris)과는 형태학적 및 유전학적으로 다르나 시중에서 백리향과 타임 구분 없이 유통되고 있다. 백리향은 가지가 많고 포복성으로 자라는 특성이 있어 지피용 식물로 유용하고 독특한 향기를 지니고 있어 식품 및 향장품용 향료자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우울증이나 불면증 등과 같은 신경성 질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향료 식물의 발굴 및 산업화 소재 가능성 검토를 위하여 토종 허브인 백리향을 오대산에서 수집하여 증식한 후 외래종 타임과 특성을 비교하였다. 백리향과 골든레몬타임의 유전형태 조사는 국립수목원 백리향 조사 요령을 참고하여 각 20개체씩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식물의 높이, 엽신의 형태와 길이 및 너비, 화서 길이와 마디당 꽃 수, 꽃의 길이 등이었다. 오대산 백리향의 식물 높이는 평균 14.3 cm, 엽신 형태는 난형, 엽신 길이는 1.24 cm이었고 꽃의 길이는 0.92 cm, 꽃 수는 35개이었다. 골든레몬타임의 식물 높이는 평균 18.03 cm, 엽신 형태는 타원형, 엽신 길이는 1.06 cm이었고 꽃의 길이는 0.59 cm, 꽃 수는 146개이었다. 백리향과 골든레몬타임의 정유 추출수율은 각각 0.22, 0.08%이었으며 추출된 정유를 GC-TOF의 SPME장치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thymol, Caryophyllene, linalool, camphor 등이 향기 성분으로 검출되었다.

  • PDF

외국연구소 소개-일본식물바이러스 연구소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1 no.1 s.104
    • /
    • pp.38-40
    • /
    • 1978
  • 일본은 1979년에 완공을 목표로 차성현에 자성현에 축파연구학원도시를 건설중에 있다. 이미 과학기술청 산하의 무기재질연구소 국립방재과학기술센터 환경청 산하의 국립공해연구소(본지1977년 6월호에 소개) 문부성 산하 고에너지 연구소 축파대학등이 이전신설을 완료하여 새로운 연구원도시로서 활기를 대기 시작하고 있는데 시년에는 농림성 관계 연구기관의 이전이 본격화 되고 있다. 즉 열대농업기술연구센터,식물바이러스연구소의 개소에 이어 과수실험장,농업토목연구소,임업실험장이 가까운 시일내에 전시설의 정비를 끝내고 개소할 예정이며 금년도에는 식품종합연구소, 가축위생실험소가 그리고 내년도에는 농업기술연구소,축산기술연구소,단사실험장, 농사실험장의 일부가 이전할 예정이다. 이 이외에도 농림성의 과수화목과 축파분실(가칭)과 농림수산기술회의 사무국의 일부도 입주할 것이라 한다. 용지 총면적은 474.5핵터, 건물용지는 227.4핵터에 이르고 있다. 이들 농림성 산하 연구기관이 집중된 지역을 흔히 농림단지라고 부르고 있다. 이번에는 최근 식물 바이러스 연구소를 중심으로 농업단지를 소개한다.

  • PDF

Current Status of Naturalization by Exotic Ornamental Plants in Korea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귀화 현황)

  • Kil, Jihyon;Kim, Chang-Gi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3 no.3
    • /
    • pp.206-214
    • /
    • 2014
  • Numerous cases have been reported of naturalization by exotic ornamental plants. To obtain basic data about how those plants affect the ecosystems of Korea, we compiled a list of 78 species categorized as ornamentals from 309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and analyzed their life forms, origin, and their current global status of naturalization and regulation. Plants belonging to Compositae comprised the largest group, with 23 species. In all, 75 species were considered herbaceous, and perennial species out-numbered annuals and biennials. Most species originated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Except for Houttuynia cordata, the other 77 species were naturalized in other countries as well. Furthermore, 34 species, including Aster pilosus and Solidago altissima, have been subject to legal restrictions or classified as alert species in Korea or other countries. Therefore, monitoring may be required to prevent spread of those species, especially for species which have not been managed under domestic law up to now.

Introduction of Plant Variety Protection Right and Plant Patent System of Ornamental Crops in U.S.A (미국 화훼류 품종보호제도 및 식물특허 운영실태)

  • Lee, Ho-Sun;Choi, Keun Jin;Hwang, Suk-Jung
    • FLOWER RESEARCH JOURNAL
    • /
    • v.16 no.4
    • /
    • pp.325-332
    • /
    • 2008
  • This paper outlines the system and operation of plant variety protection right and plant patent of ornamental crops in USA to guide for application of new varieties developed in Korea and to use for national examination of applied variety from USA. The Plant Variety Protection Act(PVPA) in USA is given as PVPR to the developers of new variety for the seed propagating crops and tubers and provides as plant patent for asexually reproducing crops. A certificate of PVPR and plant patent is awarded to an owner of a variety has shown that it is new, distinct from other varieties, genetically uniform and stable through successive generations by official evaluation without the growing trial. The term of protection for plant patent and PVPR for most crops is 20 years but 25 years for trees, shrubs, and vines. The application of ornamental variety in USA is mostly for plant patent. The application of ornamental crops accounted for 87% of total applications for plant patent. The ratio of new variety applications for plant patent from national and foreign countries i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troduced Plant Pathogenes and Plant Quarantine in Korea (침입병원균(侵入病原菌)과 식물검역(植物檢疫))

  • Park, Jong-Seo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3 no.1
    • /
    • pp.121-134
    • /
    • 1976
  • There are many evidences that vaiious plant pathogenes were introduced with imported plants and agricultural productsrfrom foreign countries and caused heavy losses of domestic economic plants, ever since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hen our country began to trade plants and agricultural products with foreign countries. There are many ways that foreign plant pathogenes have been introduced into our country, but the main route is considered to be imported plants and agricultural products contaminated with plant pathogenes. Plant quarantine which prevent effectively introduction of plant pathogenes from abroad was practiced for the first time in our country in 1912, and that is relatively earlier activity in the history of plant quarantine of the world. Several plant pathogenes have been introduced into our country even after plant quarantine had been practiced. Particularly for about 15 years, from the 2nd World War to 1961 when the law of Plant Protection was enacted and practical works of plant quarantine was reoperated, Korean agriculture was opened to various foreign plant pathogenes as a lapse period of plant quarantine in our country. Introduced plant pathogenes are, for the most part, from Japan because of depending upon Japan in the foreign trade of plants and agricultural products of our country. As present plant quarantine is required more exactness and rapidness, reasonable organization of quarantine system including more trained quarantine specialists, modernized facilities and introduction of improved quarantine techniques are necessary. Reasonable organization and improvement of plant quarantine system are important not only for protection of korean agriculture to plant pathogenes possible to be introduced from foreing countries, but also for increasing and stabilization of export of plants and agricultural product of our country.

  • PDF

Genetic Relationship of the Ampelopsis brevipedunculata var. heterophylla and Vitis thunbergii var. sinuata with the Other Vitis Plants (개머루와 까마귀머루의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

  • Bae, Young-Mi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7 no.1
    • /
    • pp.89-94
    • /
    • 2017
  • DNA sequences of the intergenic spacer 1 and intergenic spacer 2 of the nineteen plants belonging Vitis genus were collected from the Genbank. DNA sequences of the same regions of Vitis thunbergii var. sinuata and Ampelopsis brevipedunculata var. heterophylla, both common plants in Korea, were not available in Genbank. Those two plants were collected, their genomic DNA encoding 18S rRNA, intergenic spacer 1, 5.8S rRNA, intergenic spacer 2 and part of 28S rRNA amplified and DNA sequence determined. DNA sequences of twenty-one plants including two Korean plants were aligned by the Multiple sequence comparison by log-expectation(MUSCLE) algorithm and the alignment was used to calculate neighbor-joining tree and pairwise distance. The results indicate DNA sequences of the two Korean plants are highly homologous with each other, but they are quite distantly related to the other Vitis plants. Distant relationship of the two Korean plants with the other Vitis plants might be due to independent evolution of those two plants in geographically isolated environment. Those two Korean plants are classified in different genera based on the morphology, one in Vitis genus and the other in Ampelopsis genus, providing another example of discrepancy between morphological and genetic classification.

Termites-Biology and their Behaviour

  • 박현철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4 no.4
    • /
    • pp.163-169
    • /
    • 1994
  • 흰개미는 해충이기도 하지만 생태계내에서 식물이 필요로 하는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분해자로 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토양내 함유 영양물질의 양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흰개미의 직접, 간접적인 영향으로 인해 세계 각국에서는 흰개미에 대한 다방면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나, 국내에서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 분류 및 분포조사 조차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총설에서는 국내에서 생소한 곤충인 흰개미에 대한 현재까지의 조사, 연구된 외국의 문헌들을 생물학적 특징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 PDF

한국에서 일하는 외국인 과학기술자 - 인삼서 합성토양 연구하는 민스크 과학자 Vladimir Bobrov박사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8 s.375
    • /
    • pp.78-79
    • /
    • 2000
  • 한국인삼연초연구원에서 1년 8개월째 합성 인조토양을 이용한 묘삼재배개발법을 연구하고 있는 민스크 출신의 Vladimir Bobrov박사(54세)는 대덕에서의 연구소 생활이 매우 즐겁다고 말한다. 최근에는 주로 정밀농업, 컴퓨터모델화, 합성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한 식물재배용 인조토양 개발에 열정을 쏟고 있는 그는 현재까지 연구결과로는 묘삼재배에 이온교환수지를 응용한 인조토양 이용은 매우 적절하다고 말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