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 영재교육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and Characteristics in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배경변인과 특성에 따른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차이 분석)

  • Chae, Yoojung;Lee, Sunghye;Park, Sung He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6 no.4
    • /
    • pp.611-633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learners' background variables and characteristics in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The participants included 63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ttended the 3-months online gifted program. Participants volunteerly surveyed on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subjects, self-efficacy of internet,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T-test, ANOVA, and M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tudents'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n variou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overall, participants perceived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gifted program positively; (2) participants perceived the satisfaction of the online gifted program positively. In specific, they perceived system satisfaction higher than interaction satisfaction. (3)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impacted on both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were grade, self-efficacy of interne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uggestion for the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were discussed.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al Program for Disadvantaged Students (소외계층 학생을 위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Kim, Seong-Won;Kim, Jiseon;Ryu,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07-208
    • /
    • 2019
  •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통하여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 영재교육의 활성화가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전체 학생 중에서 영재교육의 대상자 수의 비율도 증가하였으며, 영재교육 대상자 중 소외계층의 비율도 증가하였다. 일반 영재학생과 다르게 소외계층 영재 학생은 경제적, 문화적, 지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선행 연구에서는 소외계층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외계층 중학생을 위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총 20차시이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 수학, 정보 교과의 교육 내용을 기반으로 주제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주제를 기반으로 기초-심화로 이루어진 온라인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며, 교과별 역량 개발을 위하여 탐구 과제를 구성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소외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Online Education Program for Disadvantaged Informatics Gifted Students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학생을 위한 머신러닝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Kim, Seong-Won;Kim, Jiseon;Ryu,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33-63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소외계층 초등정보영재를 위한 온라인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초등정보영재 전문가가 개발하였으며, 인공지능 교육 전문가가 검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15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 데이터 수집 및 표현, 모델 선택, 훈련, 평가, 실생활 사례 제작, 예측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 모형은 이재호와 홍창의(2009)의 문제 중심형 e-PBL 학습 모형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소외계층 초등 정보영재에 적용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소외계층 초등정보 영재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Design of Online Learning Mentoring for Disadvantaged Gifted Student (소외계층 영재학생을 위한 온라인 학습 멘토링 설계)

  • Kim, Seong-Won;Kim, Youngmin;Ryu,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37-63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소외계층 영재학생을 위한 온라인 학습 멘토링 운영 방안을 도출하였다. 소외계층 영재학생에게 필요한 맞춤형 과제, 실생활 문제, 학업 관리를 지원하기 위하여 맞춤형 과제와 피드백, 학업 상담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학습 멘토링 운영 방안을 도출하였다. 맞춤형 과제에서는 소외계층 영재학생의 수준에 따라 실생활 주제를 활용한 과제를 제시하였으며, 피드백을 통하여 과제의 결과물을 평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학업 상담에서는 학업 계획 및 관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문가와 함께 상담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멘토링을 소외계층 영재학생에게 운영하고, 온라인 학습 멘토링의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 PDF

Design of Online Web Counseling System for Emotional Development of Science-Gifted Students (과학영재의 정서 발달을 위한 온라인 상담 시스템 설계)

  • Kim, Seong-Won;Jeong, Yuri;Ryu,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05-206
    • /
    • 2019
  • 과학영재의 인지적 영역을 발달시키기 위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었지만, 과학영재가 겪고 있는 사회-정서적 어려움과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지원 체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과학영재는 낮은 자아존중감으로 인하여 정서적 민감성, 과흥분성, 완벽주의, 실존적 우울감 등 다양한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과학영재의 정서적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개별화된 상담이 필요하다고 말하였다. 하지만, 시공간적 한계로 인하여 지속적이고 개별화된 상담을 진행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에게 지속적이고 개별화된 상담을 제공하기 위하여 온라인 상담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온라인 상담 시스템은 과학영재가 내인적 요인에 따른 상담을 신청하면, 상담 전문가가 Peterson과 Moon(2008)의 상담 모형을 기반으로 상담을 지원하도록 설계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담 시스템을 구축 및 실행하여 시스템에 대한 과학영재의 만족도와 자아효능감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한다.

  • PDF

Examples of online-based math and science learning mentoring : KAIST Science Outreach Program (온라인을 통한 수학, 과학 학습멘토링 운영 사례 : KAIST Science Outreach Program)

  • Kim, Youngmin;Kim, Seong-Won;Ryu, J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635-636
    • /
    • 2020
  • 이 논문은 KAIST 교육기부 프로그램인 KAIST Science Outreach Program에서 운영하고 있는 수학, 과학 온라인 학습멘토링 운영 사례 공유를 통해 온라인 학습멘토링 운영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하는 소외계층 학생들의 교육격차와 양극화 해소를 위해 기존에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던 학습멘토링을 격주로 수학, 과학 학습 과제를 제시하고, 채점 및 피드백 해주는 방법으로 진행되며, 실시간 화상멘토링과 온라인 질의응답을 지원하고 있어, 현재의 오프라인 학습멘토링이 어려운 상황과 기존의 오프라인 학습멘토링이 갖고 있는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어 참가 학생 및 학부모들이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System of Student's Participation for IT-Gifted Youth Education (정보과학기술 영재교육을 위한 학생 참여도 분석시스템 연구)

  • Joo, Jee-Young;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b
    • /
    • pp.260-264
    • /
    • 2010
  • 본 연구는 2010년 전국 정보과학기술(IT) 영재교육을 위한 학생 선발 과정을 중심으로 과거의 선발 과정과 차이점을 비교해보고, 정보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교육생을 대상으로 모집된 결과로 부터 성별, 지역별, 학교별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비율이 1 : 0.29로 나타났는데 이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정보과학기술을 접하기 어려운 분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지역별 분포비율을 조사한 결과 부산지역이 가장 많은 관심 비율을 보이고 있었는데, 이는 부산에 한국과학영재학교를 비롯한 부산광역시 교육청 산하 정보영재교육원과 같은 정보영재교육의 참여도가 많은 학생들이 지원한 것으로 보인다. 세번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약간 우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좀 더 일찍 자신의 적성에 적합한 영재교육의 혜택을 경험해보기 위해서이며, 학업의 내용이 학교 교과과정에만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계발을 위한 학부모와 학생들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국가적 IT 브랜드의 위상이 높아지고 IT의 발전이 학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본 연구에서는 판단된다. 정보과학기술 영재교육의 학생 선발 방식이 새롭게 전환되면서 무엇보다도 전국의 많은 학생들이 IT영재교육원의 교육 혜택을 받게 되었다는 점과, 많은 학생들이 온라인 교육을 통해서 소셜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창의력과 자기계발 잠재력을 키울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Motivation, Self-regulation Strategy use, Learning Style Preference among High, Medium, Low Achievers in an Online Gifted Program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 성취 수준에 따른 학생의 동기, 자기조절전략, 학습양식 차이 분석)

  • Chae, Yoojung;Lee, Sunghy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5 no.6
    • /
    • pp.905-926
    • /
    • 2015
  •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among high, medium, and low achievers' motivation, self-regulation strategy, and learning style in an online gifted program. The sample included 78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3-months online gifted program. Participants volunteerly completed 60 questions on their motivation, self-regulation strategy use, and learning styl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19.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as levels of students' achievement increased,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increased as well;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existed on the levels of elaboration strategy, effort management, and time management strategy use among three levels of achievement and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learning style preference were found between competitive or cooperative learning style. To sum up, high achieving students'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elaboration strategy, effort management strategy, and time management strategy use were the highest compared to medium and low achieving students.

A Relationship among Facilitating Discourse, Students' Perceived Challenge, and Learning Outcomes in an Online Science Gifted Education (온라인 영재교육에서 담화촉진, 도전감, 학습결과간의 관계)

  • Choi, Kyoung Ae;Lee, Sunghy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6 no.3
    • /
    • pp.541-559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a relationship among facilitating discourse, students' perceived challenge, and learning outcomes(persistent intention and learning achievement) in an online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 Two hundreds and forty-two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hich was consisted of 6 items of facilitating discourse from teaching presence questionnaire(Shea, Swan, & Pickett, 2005) and 5 items of challenge from Student Perceptions of Classroom Quality(Gentry & Owen, 2004) was administered. Firs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ents' perceived facilitating discourse as a part of teaching pres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students' perceived challenge in an online course. Second, students' perceived facilitating discourse were positively related to persistent intention, but were negatively related to students' achievement. Third, students' perceived challenge was positively related to persistent intention and achievement. Finally, challeng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ived facilitating discourse and persistent inten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ived facilitating discourse and students' achievement as well. This results suggested that online program should be designed to increase the levels of facilitating discourse.

The Influence of Students' Perception of Tutor's roles on Deep Learning, Achievement, and Course Evaluation in Online Gifted Education Program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에서 중학생의 튜터 역할에 대한 인식이 심층학습, 학업성취, 수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 Choi, Kyoungae;Lee, Sunghy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5 no.6
    • /
    • pp.857-879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the roles of online tutor, their deep learning, achievement, and overall evaluation of learning experiences in the context of inquiry based online gifted mathematics and science learning. For this purpose, 249 middle school students who took online course were surveyed about their perceptions on the degree to which their tutor performed the roles as an online tutor. The students were also asked about the activities which indicate deep learning approaches and overall course experiences such as the level of satisfaction, understanding and engagement in the course. Th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students' perceptions on the roles of online tutor, deep learning, achievement, and overall course experiences. The results first showed that the roles of online tutor which affects students' deep learning approach such as high-order learning, integrative learning, reflective learning were the role as a subject matter and evaluation expert. Among the sub variables of deep learning approach the variable that was related to students' overall achievement was the use of high-order learning strategy. Second, the achievement in inquiry task was related to the role of tutor as a guide of learning process and method. Third, students' overall course evaluations such as the level of satisfaction, understanding and engagement were not related to any role of tu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