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차 전달 현상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INDEPENDENT JAW를 이용한 인접한 HALF BEAM 조사야 경계에서 조작방법과 조작자에 따른 선량오차의 경향

  • 서정민;박용철;주상규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Radiation Therapy
    • /
    • v.13 no.1
    • /
    • pp.126-129
    • /
    • 2001
  • I. 목적 : Half beam을 이용하여 인접한 조사면 치료시, 경계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Jaw Position에 의한 기하학적 오차는 정확한 선량전달에 문제를 일으킨다. 이에 본 저자는 QA용 필름을 이용하여 조사면 setting 방법과 조작자간의 오차를 분석하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 II. 대상 및 방법 : 본 실험은 6MV선(CL2100C, Varian, USA)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폴리스틸렌팬톰($25{\times}25cm2$)을 SSD 100 cm으로 고정한 후, 측정용 필름(X-omat V2, Kodak, USA)을 5 cm 깊이에 위치 시켜 조사면의 중심에서 경계를 이루는 비대칭 조사면 ($0/7.5{\times}15,7.5/0{\times}15 cm$)을 쌍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된 필름은 자동현상기를 이용하여 현상한 후 농도계(Densitometer, Multidata, USA)를 이용하여 중심축상에서의 농도분포를 측정하여 인접한 조사면에서의 오차를 분석하였다. 조작방법과 조작자간의 오차를 분석하기 위하여 5명의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auto및 manual set-up을 실시하였고 각 방법의 평균 오차를 분석하기 위해 5회 반복하였다. III. 결과 : 필름 농도곡선을 이용하여 두 조사면이 만나는 경계에서의 오차를 분석한 결과, remote console set-up의 경우 주변 조사면에 비해 $-0.16{\pm}3.44\%$, pendant방식에서는 $+5.04{\pm}4.37\%$로 나타났고, 조작자간의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IV. 결론 : 비대칭 조사면을 이용한 근접 조사면의 치료시 pendant 방식보다 remote console 방식에서 오차가 적 게 나타나므로 Auto set-up 기능의 이용은 치료시에 조사면 경계에서의 선량 오차를 최소한으로 줄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manual 방식으로 set-up 시 오차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므로 치료시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 Adaptive K-best detection algorithm for MIMO systems (다중 송수신 안테나 시스템에서 적응 K-best 검출 알고리즘)

  • Kim, Jong-Wook;Kang, Ji-Won;Lee, Chung-Yon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3 no.10 s.352
    • /
    • pp.1-7
    • /
    • 2006
  • Lattice decoding concept has been propo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Maximum-Likelihood detection which is the optimal receiver from the viewpoint of the BER (Bit Error Rate) performance for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s. Sphere decoding algorithm and K-best decoding algorithm are based on the lattice decoding concept. A K-best decoding algorithm shows a good BER performance with relatively low complexity. However, with small K value, the error propagation effect severely degrades the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K-best decoding algorithm which has lower average complexity and better BER performance than conventional K-best decoding algorithm.

Performance Analysis of LDPC code with Channel Estimation in Underwater Communication (수중통신 채널에서 채널 추정 오차에 따른 LDPC 부호 성능분석)

  • Kim, Nam-Soo;Jung, Ji-Won;Kim, Ki-Man;Seo, Dong-Ho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11
    • /
    • pp.2295-2303
    • /
    • 2009
  • Underwater acoustic(UWA) communication has multipath error because of reflection by sea-level and sea-bottom. The multipath of UWA channel causes signal distortion and error floor.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compensation method of multipath effect using the impulse response of the UWA channel and then analysis the performance of channel coding such as LDPC code, concatenate code. Also we analysed the time-delay errors and estimated amplitude errors of estimated channel information and its affection on the performance. As shown in simulation results, the performance of proposed compensation method is better than the performance of conventional method.

Development of Location Data Stream Processor for RTLS (RTLS를 위한 위치 데이터 스트림 처리기 개발)

  • Lee, Seung-Chul;Hong, Bong-Hee;Kim, Gi-Hong;Park, Jae-Kwa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5-20
    • /
    • 2007
  • 최근 항만 물류 및 자산 관리 분야에서 실시간 위치 정보를 처리하는 RTLS(Real Time Locating System)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RTLS 서버는 태그를 부착한 이동 객체들의 위치 데이터 스트림을 일정 시간 동안 수집하여 애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이 때 위치 정보는 전파 굴절 현상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하며, 이동 객체에 부착된 태그는 수 초 마다 위치 정보를 보고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과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과의 호환성을 고려하고, 요구사항을 반영한 위치 데이터 스트림 처리기를 설계 및 개발하였다. RTLS 시스템의 전파 굴절 현상으로 야기되는 비정상적인 위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맵 매칭 기법을 도입하여 위치 데이터 스트림의 신뢰성을 제공하며, 위치 변화가 없는 객체의 위치 데이터 스트림을 빠르게 정제하는 정지 상태 제거 필터를 개발하여 질의 처리 시 부하를 줄인다. 또한 각 애플리케이션의 질의 결과에 무의미한 위치 정보를 배제하는 중요 위치 수집기를 개발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킨다.

  • PDF

High-Speed and High-Quality Haze Removal Method Based on Dual Dark Channels (이중 다크 채널에 기반한 고속 고품질의 안개 제거 방법)

  • Moon, Sun-A;Kim, Won-Tae;Kim, Tae-Hwa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0 no.5
    • /
    • pp.697-705
    • /
    • 2015
  • This paper proposes a high-speed and high-quality haze removal method based on dual dark channel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halo artifacts are suppressed by the additional transmission refinement, but the transmission refinement is computationally intensive and the quality of the haze removal is sometimes unsatisfactory because of the residual halo artifacts. In the proposed method, the transmission is estimated with the mixture of the two dark channels with different window size. By mixing the two dark channels so as to avoid the halo artifacts, the proposed method realizes a high-quality haze removal even without the transmission refinement.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quality of the results by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ose by the conventional method and the speed of the haze removal is about 14.2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On the Errors of the Phased Beam Tracing Method for the Room Acoustic Analysis (실내음향 해석을 위한 위상 빔 추적법의 사용시 오차에 관하여)

  • Jeong, Cheol-Ho;Ih, Jeong-Guo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7 no.1
    • /
    • pp.1-11
    • /
    • 2008
  • To overcome the mid frequency limitation of geometrical acoustic techniques, the phased geometrical method was suggested by introducing the phase information into the sound propagation from the source. By virtue of phase information, the phased tracing method has a definite benefit in taking the interference phenomenon at mid frequencies into account. Still, this analysis technique has suffered from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low frequency phenomena, so called, wave nature of sound. At low frequencies, diffraction at corners, edges, and obstacles can cause errors in simulating the transfer function and the impulse response. Due to the use of real valued absorption coefficient, simulated results have shown a discrepancy with measured data. Thus, incorrect phase of the reflection characteristic of a wall should be corrected. In this work, the uniform theory of diffraction was integrated into the phased beam tracing method (PBTM) and the result was compared to the ordinary PBTM. By changing the phase of the reflection coefficient, effects of phase information were investigated. Incorporating such error compensation methods, the acoustic prediction by PBTM can be further extended to low frequency range with improved accuracy in the room acoustic field.

Performance Prediction of SOFC using Numerical Analysis (전산해석을 이용한 SOFC 성능 예측)

  • Park, S.M.;Oh, T.Y.;Kim, J.Y.;Lee, H.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88.1-8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SOFC 시스템 설계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전산해석을 이용한 SOFC 성능예측 기법을 개발하였다. 기본설계 단계에서 SOFC의 성능을 개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1차원 예측 모델을 정립하였으며, 온도, 조성, 전해질, 전극 두께 등을 비롯한 다양한 조건 변화에 따른 성능예측을 수행하여 실험값과 비교한 결과 최대전력밀도 조건에서 23%의 오차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tack 제작단계에서 다양한 운전조건과 형상변화에 따른 SOFC 성능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3차원 해석기법을 정립하였으며, 최대전력밀도에서 5.1%의 오차를 보였다. 포괄적인 열 및 물질 전달 현상과 전기화학반응을 3차원적으로 해석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였다. 또한 수소와 적당량의 수분을 함께 공급할 경우 SOFC 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기술을 활용할 경우 시제품 제작 전에 전지시스템의 성능을 미리 예측할 수 있으므로, 향후 제품 개발시 제작비용 절감과 설계기간 단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automated neural network design from a well organized data set (정제된 데이터를 이용한 신경망의 설계 자동화에 관한 연구)

  • 백주현;김홍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8.03a
    • /
    • pp.53-56
    • /
    • 1998
  • 본 논문에서의 공학적인 체계성을 갖고 초기 연결 가중치 및 임계치를 결정해 주면서, 학습까지 가능한 신경망을 제안한다. 기존의 오류 역전파 신경망을 적용할 때 경험에 의하여 은닉층 노드수를 결정하거나 임의의 실수 값으로 초기 연결 가중치 및 임계값을 주었을 때 자주 발생하는 학습 마비 현상을 피할 수 있고, Bose가 제안된 Voronoi 공간 분류에 의한 신경망 구성에서 학습이 불가능하다는 제안적인 단점을 보안하였다. 초기 가중치는 Voronoi 공간 분류가 이루어져 있다고 할 때 Bose가 제안한 초기 가중치 결정법을 개선하여 사용하고, Bose의 경우 신경망 노드가 Step function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학습이 가능한 함수인 Sigmoid function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새로운 신경망의 성능 및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선형분리가 불가능한 XOR문제를 실험한 결과, 기존의 학습 가능한 EBP에서 허용오차 0.05 수준일 때 80%정도 학습마비 현상이 발생하였던 심각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었고, 또한 학습 속도면에서 8~9배 정도 빠른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Experimental Performance Evaluation of MIMO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in Water Tank (수조에서 MIMO 수중음향통신의 실험적 성능 고찰)

  • Gwun, Byung-Chul;Kim, Ki-M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7
    • /
    • pp.1577-1582
    • /
    • 2013
  •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the performance of MIMO (Multi-Input Multi-Output)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by using the acquired data via the experiments in water tank. First of all, in the pursuit of this aim, we have measured the channel transfer characteristics at several transceiver locations. The transmitted signal was modulated by QPSK(Quadrature Phase Shit Keying) and the received signal was recovered through the detector that contains the zero forcing equalizer. A maximum 30~40 ms delay was appeared because of physically closed water tank environment that has the harsh multi-path transmission conditions. In result of experiment, even though the bit error rate showed comparatively large when $2{\times}2$ MIMO system with two transmitters and receivers was considered. However, we confirmed it has approximately 15% enhanced performance compared with SISO (Single-Input Single-Output) system.

Study on Boiling Heat Transfer Phenomenon in Micro-channels (마이크로채널에서의 비등열전달 현상에 관한 연구)

  • Jeong, Namgy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1 no.9
    • /
    • pp.605-613
    • /
    • 2017
  • Recently, efficient heat dissipation has become necessary because of the miniaturization of devices, and research on boiling on micro-channels has attracted attention. However, in the case of micro-channels, the friction coefficient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those in macro-channels. This leads to large errors in the micro scale results, when compared to correlations derived from the macro scale. In addi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mechanism, the boiling phenomenon in micro-channels cannot be approached only by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methods. Therefore, numerical methods should be utilized as well, to supplement these methods. However, most numeric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macro-channels.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lattice Boltzmann method, proposed as an alternative numerical tool to simulate the boiling phenomenon in the micro-channel, and predicted the bubble growth process in the cha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