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적 간호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7초

호스피스 대상자의 신체 증상관리 (General Protocols for Hospital and Home Care in Hospice)

  • 한상임
    • 대한간호
    • /
    • 제26권5호통권143호
    • /
    • pp.14-20
    • /
    • 1988
  • 이제까지 죽어가는 이들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증상을 언급하였다. 어떤이들에게는 이런 증상이 거의 없고 어떤이에게는 증상이 심하다. 간호원은 좋은 환자/가족 간호를 위해 신체, 정서, 영적 증상 관리를 잘 해야 하나 우선적으로 신체 증상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도외시한 정서적, 영적 관리는 옳지 않다. 환자의 문제는 단순하지 않고 여러 원인이 복합될 수 있기에 주의 깊게 관찰하고 사정해야 좋은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는 보다 편안하게 남은 생을 보낼 수 있게 된다. 간호원은 천국의 문턱을 장식하는 하느님의 부름받은 사자이다.

  • PDF

간호대학생의 영적 간호 수행능력이 영적 간호 수행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egree of the Spiritual Nursing Care Performance on the Spiritual Nursing Care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고영숙;하미옥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149-158
    • /
    • 2018
  •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effect of the degree of spiritual nursing care performance on the spiritual nursing care ability of the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er sampled 130 nursing students for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from September 17 until September 27, 2018. The data of analysis used SPSS 23.0 program. Results: The spiritual nursing care ability was $4.4{\pm}0.8$(total score 6) and the degree of spiritual nursing care performance was $2.9{\pm}1.8$(total score 4). The spiritual nursing care ability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religion(F=7.570, p<.001), the level of spiritual nursing knowledge(F=19.873, p<.001), education type(F=14.626, p<.001), necessity of hospice(t=2.280, p=.024). The degree of spiritual nursing care performanc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spiritual nursing education time(F=2.932, p=.036). The correlation of two variab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r=.206, p=.019).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spiritual nursing care ability was religion, the level of spiritual nursing knowledge, education type, dying experience($R^2=0.378$, Adj $R^2=0.353$), the degree of spiritual nursing care performance was spiritual nursing education time($R^2=0.065$, Adj $R^2=0.043$).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nursing students are not able to perform spiritual nursing care properly to subjects who need spiritual nursing ca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e programs to meet the spiritual nursing care needs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practical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ogram by cooperating with the nursing education staff, clergy and clinical nurse etc. And spiritual nursing care should be taught as a required subjects in the curriculum.

간호 대학생의 영적 간호 경험 분석 (A Study of Nursing Students' Spiritual Care Experiences)

  • 고명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5-185
    • /
    • 2003
  •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piritual nursing car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who were in a university, Seoul, Korea. Method: This study is based on descriptive analysis of case studies that were submitted by nursing students. Nursing students were 64 person who were sophomores in a university of the year 2000, 2001. Results: 1. The problems that students report for their subjects were: Loss of self-confidence, body image complex, health status problems, maladaptability, economic problems of home, guilty feeling, problems with dating, loneliness, uncertainty of their future, faith problem, accountability, stress and apart from intimate friends. 2. The methods which students use to solve the subjects's problems were: prayer with subjects, use the Scripture, conversation, meet frequently, listening, frequent phone call, explore problem solving methods together, write letters or E-mails, present with books or music CD etc. 3. After the students have experienced spiritual nursing care they feel that: satisfaction, lack of knowledge of spiritual care,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piritual nursing care make a new resolution for others,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listening, understanding the power of prayer, the need of Bible study. Conclusion: Maintaining spiritual wellness is a important as maintaining physical fitness and essential for optimal well being. Therefore educating nursing students in developing and maintaining spiritual wellness is essential for the patient to achieve holism.

  • PDF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 영적 간호경험 I :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Experiences in Spiritual Nursing Care by Student Nurses before Starting Nursing Practice in Hospital: Part I)

  • 고명숙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62-472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spiritual care experiences of student nurses after they have received 2 credits in a spiritual nursing care course at a university in Seoul, Korea. The major finding are as follow: 1 The problems that students reported for their patients were. loss of self- confidence, anxiety about outward appearance, anxiety about his(her) health and illness, maladaptability, guilt, problems with dating, uncertainty about his (her) future. 2. The methods which students used to help solve the patients' problems were: prayer with patients, use of Scripture, conversation, advice, frequent meetings listening, frequent phone call, writing letters, exploring problem solving methods together, and introduction of similar patients. 3. After the students had experienced spiritual nursing care they felt satis-faction, lack of knowledge of spiritual care, understood that spiritual nursing care courses at the university are important for education and experience, and understood the need for experience to increase sensitivity to the spiritual needs of their patients. Conclusion : Maintaining spiritual wellness is a important as maintaining physical fitness and essential for optimal well being. Therefore educating student nurses in developing and maintaining spiritual wellness is essential in order for them to help their patients achieve holism.

  • PDF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Based on the ASSET Model)

  • 정미자;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73-683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SCEP) for nursing students to help increase their awareness of the essence of spirituality in care so as to enable them to promote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42) or a control group (n=39). From August to October 2009,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CEP, which were held 2 hours a week for 6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paired t-test, t-test with the SPSS WIN 17.0 statistics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mean score for spirituality,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than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CEP was effective in improving spirituality, spiritu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for nursing students.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과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관계 연구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Death Perception, Spiritual Well Being and Terminal Care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 양진희;신성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510-520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 영적 안녕,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련요인을 분석하여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 되었다. 연구 대상은 노인요양병원 6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81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2015년 7월 16일부터 2015년 8월 1일 까지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죽음 인식은 평균 4.30점, 영적 안녕은 평균 3.40점,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평균 3.84점이었고,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종교, 총 임상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종간호 스트레스의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적 안녕은 임종간호 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47), 영적 안녕이 평균 평점 1단위 증가할 때마다 임종간호 스트레스가 '상'그룹에 속할 확률이 Odds비 1.702로 나타났다. 노인요양병원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간호중재 개발이 요구되며, 임종간호 스트레스 감소를 통해 임종간호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영성이 영적 안녕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of Spirituality affecting on Spiritual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 이도영;박진경;최애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59-6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영성이 영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1학년 148명을 대상으로 2014년 10월부터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8 프로그램을 통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 분석하였다. 영성과 영적 안녕의 하위 영역 간의 상관관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종교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에는 종교유무, 매일 기도하기와 영성의 내적자원으로 65.1%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실존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에는 삶의 의미, 내적 자원으로 59.3%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영적 안녕 향상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Self Esteem and Spiritual Well-being for Inpatients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 최성은;강은실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2권4호
    • /
    • pp.209-219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 사후 원시실험설계 연구로서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 환자를 위한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무지개 프로그램")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4월 6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경북포항시 소재 선린병원의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에 입원한 만18세 이상의 성인 환자로서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연구참여에 서면 동의한 27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 후 2주간, 총 10회(회당 120분)로 구성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 제공 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효과 검정을 위해 자아존중감 측정 도구로는 성인용으로 수정보완된 Self Esteem Questionnaire (SEQ), 영적안녕 측정도구로는 Spiritual Well-being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1. 가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환자(이하 실험군)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11.554, P<0.000) 2. 가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영적안녕 정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t=6.387, P<0.000). 결론: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입원환자의 자아존중감과 영적안녕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므로, 호스피스완화의료 병동에 입원한 말기환자를 위해 임상 실무에서 적용 가능하며, 호스피스 전문직의 다학제적 팀 접근 모델로 연구, 교육 측면에서도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