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재교육과정

Search Result 65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that suitable for The Basic course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과학영재교육원 기초반에 적합한 초등정보과학영재용 교육과정 개발)

  • Oh, Sung-Hoo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98-307
    • /
    • 2004
  • 한 개인의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지만, 민주국가와 인류공영에 크게 이바지하는 입장에서도 영재성의 발휘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현재 운영되고 있는 영재교육을 살펴보면 국가에서 영재교육을 해야 한다고 영재교육의 중요성만 이야기했지 실제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교육내용을 정해주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보면 그 내용과 방법은 영재교육을 맡은 기관에 따라 매우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17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을 보면 대부분 프로그래밍 위주의 교육을 하고 있고, 그 교육과정도 다른 곳에 개방되어 있지 않아서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마다 교육과정 개발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10학년에 걸쳐 실시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교육내용과 방과 후 특기적성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컴퓨터 교육내용,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실제로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 과정을 개발하였다. 단, 현재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이 기초반과 심화반으로 나누어서 운영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초반과 심화반 중 기초반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학생 반응분석

  • 문경근;박일영;박수경;정권순;추봉욱;곽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5-166
    • /
    • 2003
  • 2002년 3월부터 영재교육법 시행령이 적용됨에 따라 과학기술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협약을 통하여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3월 신입생 입학 이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계획, 운영, 평가되기 위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영 전반에 대하여 점검 및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과학영재학교 운영상의 주요 측면인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 대하여 그 실태와 학생 반응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기본 방침은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통하여 지식을 창출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자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자율연구, 위탁교육 및 특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에는 국어, 사회, 외국어, 예체능을 포함하는 보통교과와 수학, 과학, 정보과학을 포함하는 전공교과가 있다(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안내서, 2003).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편제, R&E, 교수학습 및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 그 실태와 각 영역별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 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과학영재학교 선발과정에서 수학, 과학 각 분야별 우수자로 선발된 경우가 많아 학생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가지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과정의 운영지침(이상천, 2002)에 의하면, 대학 수준의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는 속진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PDF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the Cultivating the Creative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of Informatics (창의적 정보과학영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 Kim, Sung Yul;Lee, Jong Y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3
    • /
    • pp.25-39
    • /
    • 2014
  • Existing curricula for the gifted and talented of informatics are inapplicable directly to the current educational fields because its educational objectives are abstract and impractical. In particular, after the gifted and talented of informatics was defin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5 and other institutes, there is not a clear standard definition. Curriculum for the gifted and talented of informatics also varies and i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research institutes. Therefore, we propose the defini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of informatics and then suggest seven educational goals and a curriculum for the gifted and talented as well as its detailed learning contents. Finally, for proving the validity for those suggestions, this paper is verified by conducting the construct validity with a content validity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18.0 and AMOS 21.

  • PDF

A Fundamental Study on Developing the Enrichment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in Informatics Education Using Delphi Method (Delphi 기법을 적용한 심화형 정보 영재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연구)

  • Park, Jeong-Sun;Kim, Yung-Si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3 no.4
    • /
    • pp.13-2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nrichment curriculum connected to a Revised Version of 7th National Informatics Curriculum in Middle School for gifted students in IT education. This study uses a Delphi Method to develop a curriculum which is comprised of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ducational evaluation. This study carried out a three-round delphi survey in 'The problem-solving method and its procedure' field from grade 1 to grade 3. In this study, first, the responses of the experts about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ducational evaluation of each grade were analyzed. Second, organized items were designed. Finally, important items were selected by statistics.

  • PDF

${\cdot}$ 도 교육청 영재 심화 교수 ${\cdot}$ 학습 자료개발에 관한 연구

  • Lee, Sang-Won;Bang, Seung-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171-197
    • /
    • 2004
  • 1999년 교육개발원에서는 초 ${\cdot}$ 중학교 영재 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와 수학과 영재 교육과정 시안에 관한 보고서를 발간하였는데 이 보고서에 초 ${\cdot}$ 중학교 수학과 영재 교육과정 시안이 제시되어 있다. 이 영재 교육과정 시안으로써 그 내용에 상응하는 수학 교수 ·학습 자료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영재 교수 ${\cdot}$ 학습 자료개발 및 영재교사 연수가 본격적으로 확대,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2002년${\sim}$2003년 2년간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영재학생을 위한 교수 ${\cdot}$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왔다. 이런 취지를 바탕으로 지금 우리에게 영재 교육의 시급한 문제는 초 ${\cdot}$ 중등에 필요한 다양한 영재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마련한 교재개발 지침에 따라 2005학년도 교수 학습 자료를 중학교중심으로 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구현해 보고자 한다.

  • PDF

Design of a Stepwise Enrichment Curriculum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cs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단계별 심화 교육과정의 설계)

  • Kim, KyungKyu;Lee, JongY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1
    • /
    • pp.35-50
    • /
    • 2014
  • The current curriculu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informatics are not practical and systematic in teaching methods because it is hard to provide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with appropriate education individualized at their own levels. Furthermore, there are still some problems in previous curriculu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informatics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t sufficient on previous curriculu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informatics in middle and high schools. Second, previous curriculums in use do not contribute to cultivating the creativity, problem-solving, logical thinking abilities and insight for the gifted students. Third, there is no curriculum, which reflects on individual's ability and aptitude, for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informatics. Therefore, in this paper, we suggest stepwise enrichment curriculums that enables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to be equipped with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ies. In this regard, at first, The problem with existing research and educational institute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cs were analyzed. Next we developed a concrete stepwise enrichment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practical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cs.

  • PDF

Exploring the Problem and Solu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of School-based Program for the Gifted in the Arts (단위학교 예술영재학급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탐색)

  • Lee, Kyungjin;Kim, Sunghye;Kang, Byoungji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5 no.2
    • /
    • pp.299-320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roblem in curriculum development in school-based gifted program in the arts and suggest the way to solve that. For this study, we surveyed 28 teachers and guest instructors, furthermore interviewed 6 teachers (4 in music and 2 visual art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not only curriculum development of school-based program for the gifted in the arts was not systemic, but also most teacher depended excessively on guest instructors due to the lack of expertise and information for curriculum development. Also, They did not understand specific meaning of the giftedness and gifted curriculum in arts nor recognize the unique role of school-based gifted program. In addition, most teachers simply attempted to solve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on a personal level. Their research condition were inadequate to plan curriculum. To solve these problems in curriculum development in school-based gifted program in arts, we suggested some solutions: differentiated teacher in-service program,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fundamentals of curriculum, system for connecting materials, information and human resources, as well as consultative body for improv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chool-based gifted program.

A Study on Analyzing Mathematics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and Developing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중등학교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한인기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1 no.3
    • /
    • pp.175-20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analyze various mathematics programs and related studies for gifted students of secondary school, to extract meaningful suggestions, and to develop some mathematics materials to realize our suggestions. We analyzed mathematics curriculum drafts for gifted students(by KEDI), mathematics program for the gifted students of Russia, and mathematics programs of some specialist of gifted education. We were able to extract some important aspects for developing teaching & teaming materials. Especially in this study we took notice of systematiz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and suggested a model of systematiz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 PDF

A Modular Integrated Curriculum Model for the Gifted Information Children (초등정보영재아들을 위한 모듈형 교육과정 모델)

  • Kim, Kap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6 no.3
    • /
    • pp.299-307
    • /
    • 2012
  • Even though there are many models for educational curriculum of giftedness for children, there is little model for educational methodology and curriculum of information science giftedness of children. A curriculum model for information science giftedness of children is proposed on this study. This model's characteristics is a modular integrated curriculum model combined the mathematics, natural science, and information science. Because there is no regular curriculums of information science at elementary school. this model is valided. Also, There is also need to train multiple area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cience to expose information science giftedness of the children, This model is to minimiz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ules, and to maximize the cohesion in the each module. As for result of statistics analysis for 60 giftedness students during three years, we know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 PDF

Development a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for the Basic Course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과학영재교육원 기초반을 위한 초등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 개발)

  • Oh, Sung-Hoon;Lee, Ae-Jung;Lee, Jae-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9 no.1
    • /
    • pp.89-96
    • /
    • 2005
  • This paper focused on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elementary children who are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dealt the contents of the scientific school attached to universities for gifted children. Second, this paper abstracted educational elements for the gifted children from the research of the information science course in current education. Third, for applying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children who are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to practical education efficiently, the contents were classified into many steps. Fourth, this paper developed the annual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children who are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