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Problem and Solu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of School-based Program for the Gifted in the Arts

단위학교 예술영재학급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탐색

  • Lee, Kyungjin (Korea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the Gifted in Arts) ;
  • Kim, Sunghye (Korea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the Gifted in Arts) ;
  • Kang, Byoungjik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5.03.26
  • Accepted : 2015.04.28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roblem in curriculum development in school-based gifted program in the arts and suggest the way to solve that. For this study, we surveyed 28 teachers and guest instructors, furthermore interviewed 6 teachers (4 in music and 2 visual art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not only curriculum development of school-based program for the gifted in the arts was not systemic, but also most teacher depended excessively on guest instructors due to the lack of expertise and information for curriculum development. Also, They did not understand specific meaning of the giftedness and gifted curriculum in arts nor recognize the unique role of school-based gifted program. In addition, most teachers simply attempted to solve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 on a personal level. Their research condition were inadequate to plan curriculum. To solve these problems in curriculum development in school-based gifted program in arts, we suggested some solutions: differentiated teacher in-service program, the achievement criteria for fundamentals of curriculum, system for connecting materials, information and human resources, as well as consultative body for improving the present condition of school-based gifted program.

본 연구는 예술영재교육기관의 유형 중 단위학교 예술영재학급의 교육과정 개발에 어떠한 문제가 있는지 그리고 그 문제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단위학교 예술영재학급 교 강사 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6명(음악4명, 미술2명)을 면담했다. 분석결과, 단위학교 예술영재학급 교육과정 개발은 담당교사들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강사에 대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교육과정이 체계적이지 못하고, 관련 정보가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교사가 교육대상자인 예술영재나 예술영재 교육과정에 대해서 모호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며 교사의 개인적 노력에 의존하여 전문성 부족을 해결하려고 하고 있고, 장기적인 교육과정 개발을 계획할 수 있는 연구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예술영재교육 연수를 제공해야 하고, 예술영재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들을 단위학교 예술영재 담당교사나 강사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며, 교육과정 개발 협의체나 컨설팅단을 구성해서 단위학교 예술영재학급의 교육과정 개발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위학교 예술영재학급의 역할을 명확하게 하고, 교육과정 개발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예술영재 성취기준을 개발하며, 중장기적 안목에서 예술영재학급에 대한 지원을 계획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교육부.
  2. 구자억, 박승재, 안병환, 이석열, 정택희(2013). 학교컨설팅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 김성혜(2013). 예술영재교육연구원 중장기 발전계획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4. 김영천(2012). 질적연구방법론 I.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5. 김춘미, 한수연, 이미경, 전동호, 신기현, 조주현, 김정환(2006). 예술영재교육 발전방안 연구.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6. 김혜정, 한기순(2013). 단위학교 영재학급 선발방식에 따른 영재 특성 비교. 영재교육연구, 23(2), 257-273. https://doi.org/10.9722/JGTE.2013.23.2.257
  7. 백경미(2012). 한국 미술영재교육 현장의 요구. 기초조형학연구, 13(3), 153-161.
  8. 원영실, 김은경(2014).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 평가지표 개발. 영재교육연구, 24(2), 191-215. https://doi.org/10.9722/JGTE.2014.24.2.191
  9. 이미경, 강병직(2010). 예술영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0. 이미경, 강병직, 조주현, 홍소영(2006). 예술영재교육대상자 선발모형 개발 연구(I).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1. 이경진(2014). 예술영재교육기관 컨설팅 모형 개발.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2. 이경진, 최진영(2010).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협력적 실천: 초등교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8(2), 91-119.
  13. 이경진, 최진영(2013).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교사 인식과 요구: 영재교육기관 유형별 사례연구. 영재교육연구, 23(4), 537-565. https://doi.org/10.9722/JGTE.2013.23.4.537
  14. 이정규, 김미숙, 박춘성, 이승희, 이행은(2007). 영재학급 . 영재교육원 운영실태 및 확대 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5. 이학식, 임지훈(2014). 사회과학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방법론. 서울: 집현재.
  16. 이희현, 김미숙, 정경란(2009). 영재교육기관 맞춤형 컨설팅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7. 정진원(2012). 음악영재성의 체계적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모형연구. 한국초등교육, 23(1), 269-291.
  18. 한국교육개발원(2014). 2013년 중앙영재교육컨설팅 성과보고회.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 Croft, L. J. (2003). Teachers of the gifted: Gifted teachers.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Boston, MA: Pearson.
  20. Karnes, F. A., & Stephens, K. P. (2008). Achieving excellence: Educating the gifted and talented. Old Tappan, NJ: Pearson Education Inc.
  21. Miles.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