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재고

Search Result 4,53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Elementary School in Computers (초등정보영계들의 특성 분석)

  • Choi, Young-Seon;Lee, Soon-Young;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289-297
    • /
    • 2004
  • 정보들을 잘 다루는 소수의 인재들만으로도 국가의 경제적 부가가치가 크게 높아지고 있는 지금,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고급 두뇌인력을 배출하는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수학, 과학영재에 관한 연구는 무수히 많이 이루어져 있으나 정작 21세기 정보화 사회를 이끌어갈 정보영재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현재 우리나라 정보영재교육에서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정보영재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의 분석과 이에 대한 연구이다. 그렇다면 정보영재들의 특성은 실제로 어떠할까 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영재관련 연구 중 많이 인용되며 정의적 요소가 포함된 Renzulli(1978)의 삼원모델(Three-ring model)을 보면 영재의 특성을 극단적으로 높을 필요는 없는 '평균 이상의 능력', '높은 창의성', '높은 과제 집착력'으로 보고 있다. 본 고에서는 정보영재들의 특성을 Renzulli(1978)의 삼원모델(Three-ring model)에 의거하여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첫째, 정보영재집단의 특성은 일반학생집단과 비교해 보았을 때 어떠한 점이 다른가? 둘째, 일반영재집단과 정보영재집단을 비교해 보았을 때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 본 고에서 분석 제시되는 연구결과들은 정보영재성을 정의하고, 그에 따른 판별도구 및 정보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증적 자료가 되어 우리나라 실정에 부합하는 정보영재교육을 수립해 나가는 데에 주춧돌이 될 것이다.

  • PDF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원격영재교육-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격영재교육시스템의 사례

  • 배성민;유성진;박상찬;이군현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9 no.2
    • /
    • pp.153-172
    • /
    • 1999
  • 1990년대 이르러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인터넷 사용인구의 증가와 급속한 컴퓨터 응용 기술의 발전은 교육에 있어서 기존의 대면교육을 원격교육으로 대체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21세기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해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와 결합된 원격교육 시스템이 영재교육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기존의 원격교육 시스템 개발방법론과 차이점을 통해 한국과학기술원 과학영재교육센터 원격영재교육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장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고등학생 대상의 정보과학 영재교육을 위한 차별화된 원격교육시스템

  • Kim, Ji-Seon;Park, Hyo-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5.05a
    • /
    • pp.151-163
    • /
    • 2005
  • 정보화 기술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정보과학 영재 판별 및 프로그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 대상이 대체로 초${\cdot$중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정보과학에 잠재성이 있고 전공 선택에 목전을 두고 있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정보과학 영재교육은 부재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생 대상의 정보과학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의 한 형태인 원격 교육, 특별히 웹을 통한 정보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과 원격 정보과학 영재교육에 필요한 교육 체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선발을 위한 평가문항 개발

  • Lee, Jae-Su;Lee, J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7-216
    • /
    • 2005
  • 정보과학영재의 선발에서 가장 중시되어야 할 문제는 교육에 의한 가능성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보과학영재의 선발에서는 정보과학영재의 정의와 특성에 따라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과학분야에 대한 창의적 사고력과 이해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영재와 정보과학영재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정의와 특성을 바탕으로 초등정보과학영재 선발평가에 필요한 필수요소를 추출하여 선발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Selection-Method for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판별방법 연구)

  • Hwang, Kuk-Hwan;Lee, Jae-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321-330
    • /
    • 2004
  • 21세기는 지식정보사회다.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정보과학영재와 정보과학영재의 판별방법에 대한 연구는 꼭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영재와 정보과학영재에 대해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정의하고, 수학, 과학 영재아의 판별사례를 살펴보고 이것을 바탕으로 정보과학 영재아의 영재판별을 위해 초등 컴퓨터교과의 단계 및 영역을 바탕으로 초등정보과학영재의 판별의 원칙, 절차, 검사방법을 에 대한 판별방법을 살펴보았다.

  • PDF

수학 영재선발 문항분석 및 문항개발의 개선 방안

  • Bae, Jong-Su;Park, Ma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07.06a
    • /
    • pp.51-6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수학영재교육의 정상화라는 측면에서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수학과 영재선발 과정 중에서도 수학분야 문항의 분석을 통하여 지원한 학생들의 수학 개념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고 영재교육원에 지원하는 학생들의 수학 학습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수학 영재학습 대상자 선발을 위하여 보다 바람직한 수학 문항 개발 위한 개선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지원자들의 수학 개념, 원리, 법칙에 대한 이해도는 예상보다 매우 낮게 나왔으며 향후 수학영재 선발 문항의 개발에서는 문항의 개발자들이 수학영재 판별을 위한 진지한 고민과 함께 수학영재들의 능력을 적절히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

Mathematical Performance Prediction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with Gifted Behavior Ratings by Teachers and Parents (수학영재의 수행능력에 대한 교사 및 부모 평정의 예측력)

  • Lee, Mi-Soo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1 no.4
    • /
    • pp.829-84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athematical performance predictions with gifted behavior ratings by teachers and par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87 elementary 5th and 6th grade gifted students who took the mathematical performance test. This study asked gifted teachers and parents to rate gifted behaviors of these gifted students with using SRBCSS-R (Renzulli et al., 2002, 2009). The results indicated that gifted teachers rated gifted behaviors of the 5th grade gifted students higher than the 6th grade gifted students, except in 'mathematical characteristics.' Gifted teachers rated 'learning' gifted behaviors of male gifted students higher than those of female gifted students. In the meanwhile, parents of the 5th grade gifted students rated gifted behaviors higher than parents of the 6th grade gifted students in 'learning' and 'motivation.' In comparing the gifted behavior ratings by gifted teachers and par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and 'motivation' ratings. That is, gifted teachers rated significantly higher 'learning' and 'motivation' of gifted students than parents. When this study explored the prediction of gifted behavior ratings by gifted teachers and parents on mathematical performances of gifted students, 'learning' and 'mathematical characteristics' ratings by gifted teachers predicted the mathematical performances of gifted students.

Needs Assessment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Teacher Professionalism of Gifted Education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효율적 실천을 위한 행.재정 지원의 요구분석)

  • Seo, Hae-A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8 no.2
    • /
    • pp.175-200
    • /
    • 2008
  • The study aims to assess need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teacher professionalism of gifted. For this end, practicing teachers of gifted education were nationwide selected for survey questionnaires. The first survey of five-scale Likert item was conducted in July 2005 with 236 teachers and the second survey of open-ended item was done in November 2005 with 123 teachers. All the respondents provided their perceptions to current status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gifted education and needs for their effective performance of professionalism. Suggestions for improving conditions of administration and finance in terms of effective performance of teacher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uld be assigned as full-time for gifted education. Otherwise, their teaching hours and other related jobs should be, reduced Second, the financial support for gifted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in particular, more in provincial areas than metropolitan cities. Third, appropriate grouping and counseling according to diverse differences of students should be done. Fourth, understanding of principals and teachers in general education as well as parents and general public toward gifted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hrough inservice education program and other education programs. Further, teachers of gift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ith more frequent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ng inservice programs in quality, share knowledge and experiences among teachers through network systems, and be given appropriate incentives for better performance of professionalism.

A Study on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Gifted Children (정보영재아들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Kaps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7 no.2
    • /
    • pp.191-198
    • /
    • 2013
  •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cognitive and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in the areas of math and science until now. Also, there is a lot of research for about cognitive and non-cogni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But, it lacks a lot of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for information science area. So,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in the areas of information science are defined as structured information recall ability, regularization ability, reasoning ability, efficiency ability, structured ability, generalization ability, and abstract ability. And real problems for each ability are proposed. To make the evaluation questions proposed in this study on the cognitive gifted characteristics when compared with student achievement and prove that there is a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giftedness children and can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 PDF

Friendship Expectation Perceived in Gifted and Regular Class by Gifted Students of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원과 학교에서의 교우기대감)

  • Sung, SeungMin;Yeo, Sang-Ih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1 no.1
    • /
    • pp.98-11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friendship expectation that gifted students perceived in the gifted class and the regular class. To this study, friendship expectation survey, which sub-domains were intimacy, ability similarity, and morality, was conducted to 121 gif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friendship expectations of gifted students in the gifted class and the regular clas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domains of intimacy and morali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domain of ability similarity.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me detail items of all sub-domain(intimacy, ability similarity, and morality). Based the results of this, the implications to understand the friendship of the gifted student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