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thematical Performance Prediction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with Gifted Behavior Ratings by Teachers and Parents

수학영재의 수행능력에 대한 교사 및 부모 평정의 예측력

  • Received : 2011.10.04
  • Accepted : 2011.12.13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athematical performance predictions with gifted behavior ratings by teachers and par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87 elementary 5th and 6th grade gifted students who took the mathematical performance test. This study asked gifted teachers and parents to rate gifted behaviors of these gifted students with using SRBCSS-R (Renzulli et al., 2002, 2009). The results indicated that gifted teachers rated gifted behaviors of the 5th grade gifted students higher than the 6th grade gifted students, except in 'mathematical characteristics.' Gifted teachers rated 'learning' gifted behaviors of male gifted students higher than those of female gifted students. In the meanwhile, parents of the 5th grade gifted students rated gifted behaviors higher than parents of the 6th grade gifted students in 'learning' and 'motivation.' In comparing the gifted behavior ratings by gifted teachers and par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and 'motivation' ratings. That is, gifted teachers rated significantly higher 'learning' and 'motivation' of gifted students than parents. When this study explored the prediction of gifted behavior ratings by gifted teachers and parents on mathematical performances of gifted students, 'learning' and 'mathematical characteristics' ratings by gifted teachers predicted the mathematical performances of gifted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 수학영재의 수학적 수행능력에 대한 교사 및 부모 평정의 예측력을 조사하였다. 수학적 수행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A 광역시 소재 영재교육원에 재원 중인 초등 수학영재(n=787)를 대상으로 수학적 수행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영재교사 및 부모에게 영재아 행동 평정 척도(SRBCSS-R, Renzulli et al., 2002, 2009)를 의뢰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영재의 학년 수준 그리고 영재의 성에 따라 교사의 영재행동 평정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부모의 영재행동 평정은 수학영재의 학년수준에서만 차이가 나타나, 부모는 5학년 수학영재의 '학습특징'과 '동기 특징'을 6학년 수학영재보다 높게 평정하였다. 영재교사와 부모에 의한 수학영재의 영재행동 평정을 비교하였을 때, 영재교사가 부모보다 '수학적 특징'을 제외하고 '학습특징'과 '동기 특징'을 유의하게 높게 평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학영재의 수학적 수행능력에 대한 영재교사와 부모에 의한 영재행동 평정의 예측력을 조사하였을 때, 영재교사에 의한 '학습 특징' 그리고 '수학적 특징'에 대한 평정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측력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과 관련하여 교사 및 부모에 의한 관찰 및 추천의 현장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