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어 어휘 습득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7초

대학 교양영어 FnF수업유형이 목표어휘와 목표문법의 습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llege English FnF (Focus on Form) Class Types on Target Vocabulary and Grammar)

  • 김영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371-380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 교양영어 교육에서 영어학습 부진아 학생들을 대상으로 목표어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모두 얻기 위해서 언어의 형식적인 특성을 체계적으로 지도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기능 중심의 교양영어 교육을 하면서 기본적인 언어 요소인 문법과 어휘를 강화시키는 방법인 'focus on form'(FnF)를 투입하여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동질성이 검증된 3개 집단을 선정하여 의미중심의 의사소통 수업의 비교반과 FnF의 입력 강화 과제 방식 수업의 실험 A반, FnF의 출력 강화 수업의 실험 B반으로 구성하여 13주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입력 강화의 실험 A반은 비교반에 비해 문법 습득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 출력 강화의 실험 B반은 비교반에 비해 어휘 습득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어휘와 문법 습득에서 FnF의 두 방식의 통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교양영어수업에서 부진아 학생들에게 문법 항목과 관련해서는 인지적 부담이 낮은 입력 강화를 적용한 수업을 하고, 어휘 항목은 출력 강화를 적용한 FnF수업을 섞어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한다.

초등 영어 어휘 습득을 위한 인지전략 기반의 Speaking Training System 설계 및 구현 (Cognitive strategies-based Speaking Training system for elementary English vocabulary)

  • 서병태;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191-203
    • /
    • 2015
  • 언어학습에서 어휘는 가장 필수적이고 기본이 되는 단위임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서는 학생들에게 어휘를 지도하고 별도의 학습시간을 제공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어휘를 습득한다는 것은 소리 내어 말하고 듣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눈으로 내용을 이해하고 암기하는 전통적인 언어 습득 방식은 분명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인지전략과 음성인식을 기반으로 한 Speaking 중심의 학습 방법을 연구하여 초등 영어 어휘 습득을 위한 인지전략 기반의 Speaking Training system을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초등학교 5학년 두 개 학급을 선정하여 수준 테스트 후 실험 그룹과 비교 그룹으로 각각 편성하여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동기부여와 성취감을 높임으로써 학습자의 소리 영어 중심의 어휘 습득을 강화할 수 있었고, 학력향상 뿐만 아니라 학습참여도, 과제수행 정도, 흥미도 등의 자기주도적 능력까지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놀라울만한 성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실용적인 영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챗봇 활용이 국내 영어 학습자의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Chatbots and Korean EF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 김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1-7
    • /
    • 2018
  • 본 연구는 챗봇의 활용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 챗봇과의 채팅을 통해 실험 참가자의 영어 어휘 능력이 실제 상승하는지 여부와 영어 어휘 학습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47명의 국내 대학생을 실험그룹과 통제그룹으로 나누어 총 8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고, 챗봇 활용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 시작 전과 종료 후 사전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사전 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챗봇을 활용한 어휘 학습에 대한 참가자의 인식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사전 사후 어휘 평가 결과, 참가자의 어휘 능력은 실험 전에 비해 실험 종료 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고, 사전 사후 설문 결과, 챗봇의 활용은 참가자의 영어 어휘 학습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함께 최근 영어 교육에 있어 챗봇의 활용이 증가하는데 비해 그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판별분석을 통해 살펴본 영어 능력 수준을 구별하는 어휘의 정교화 특성 (Lexical Sophistication Features to Distinguish the English Proficiency Level Using a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 이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691-696
    • /
    • 2022
  • 본 연구는 영어 능력 수준을 구별할 수 있는 어휘적 정교화 특징이 무엇인지를 자동화된 어휘 분석 프로그램인 TAALES를 활용하여 탐색하였다. 300명의 한국 대학생이 쓴 총 600개의 에세이가 ICNALE 코퍼스에서 추출되었고 SPSS 프로그램의 판별 분석이 수행되었다. 판별 분석 결과 한국 대학생을 상. 중. 하의 세 개의 영어 능력 수준으로 유의미하게 구분하는 어휘 특성은 SUBTLEXUS 코퍼스의 내용어 빈도, 내용어의 어휘 습득 연령, 기능어의 어휘 결정 반응 평균 시간, 상위어 동사로 나타났다. 영어 능력 수준이 높은 상 수준 학생은 SUBTLEXUS 코퍼스에 빈번하게 나오는 어휘는 많이 사용하지 않았고, 어휘 습득 연령이 높고 어휘 결정 과업에서 평균 반응시간이 길게 나타난 정교화된 어휘와 구체적인 동사를 많이 사용한 특징이 있다.

짝 구성 유형이 영어어휘습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air Types on English Vocabulary Acquisition)

  • 장용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332-34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어휘 숙달도에 따라 짝을 세 가지 유형으로 구성하고 짝과 상호작용하면서 어휘 과제를 하는 것이 우연적인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 46명은 상대적인 어휘 숙달도에 따라 상상(n=14), 상하(n=18), 하하(n=14) 등의 세 집단으로 나뉘었다. 우선 참여자들은 사전 어휘 지식을 측정하는 시험을 보았고, 짝과 함께 3주 동안 어휘 과제를 실시한 후 짝의 구성 유형이 어휘 습득에 미친 영향에 어떤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지식을 평가하는 사후 시험을 보았다. 2주 후에는 실험 처치 효과의 지속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지연된 사후 시험이 시행되었다. 숙달도가 높은 학생들이 짝 활동을 통해 더 많은 학습 효과를 보았다는 선행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두 참여자의 어휘 숙달도가 같은 상상 집단 혹은 하하 집단보다 어휘 숙달도가 서로 다른 참여자가 짝을 이룬 상하 집단의 성취도가 전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협력적인 짝 활동은 상하 집단에 속한 상위 구성원뿐만 아니라 하위 학생들의 어휘 습득에도 효과가 있었고 이런 결과들을 종합하여 교육적인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짝/모둠 활동이 영어 어휘 습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ir/Group Work on English Vocabulary Acquisition)

  • 장용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629-64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짝 또는 모둠 활동에 의해 어휘 과제를 하는 것이 어휘 습득에 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대학생 112명이 세 집단으로 나뉘어 본 연구에 참여했다. 짝 집단(n=42)은 두 명씩 짝을 이루어 수업 시간 외에 3회의 어휘 과제를 한 후 공동의 결과물을 제출했고, 모둠 집단(n=32)은 4-5명이 한 조를 이루어 수업 시간에 과제를 해서 공동의 결과물을 제출했다. 대조군으로서 개별 집단(n=38)은 수업 시간 외에 혼자 어휘 과제를 하는 전통적인 방식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사전 어휘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어휘 지식 시험을 시행했고, 실험 처치 후에 수용적 및 산출적 어휘 지식의 습득을 측정하는 사후 시험을 보았으며, 2주 후에 효과의 지속 여부를 평가하는 지연된 사후 시험을 실시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수업 시간에 동료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어휘 과제를 한 모둠 집단의 성취도가 가장 높았으며, 수업 시간 외에 과제를 한 짝 집단은 개별 집단보다 결과가 좋지 않았다. 어휘 지식 상 하위 군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어휘 숙달도가 높은 참여자들이 협력적인 모둠 활동을 통해 더 많은 어휘를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들을 종합하여 교육적인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위키를 활용한 상호작용이 산출적 어휘 지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action using Wiki on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 장용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87-49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에서 동료 및 교사와 위키를 활용하여 상호작용하는 것이 우연적으로 산출적 어휘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학 1학년 학생 82명이 두 집단으로 구분되어 본 연구에 참여했다. 4-5명이 한 조가 되어 7-10분 길이의 영화를 만드는 프로젝트에서 조원들과 교사는 위키로 상호작용하면서 협동하여 영어 대본을 만들었다. 38명(과정 집단)은 위키로 상호작용하면서 영어 대본을 만드는 과정 중에 수시로 교사의 피드백을 받고 수정하면서 최종본을 만들었다. 반면에 44명(결과 집단)은 조원들이 위키로 협력하여 1차 대본을 작성하고 그 결과물에 대해 교사의 피드백을 1회 받은 후 수정하여 최종본을 만들었다. 참여자들의 사전 어휘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어휘 지식 시험을 시행했고, 실험 처치 후에 산출적 어휘 지식의 습득과 유지를 측정하는 사후 시험을 두 번 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위키를 활용하여 동료 및 교사와 상호작용할 때 어휘를 계속 사용할 기회가 많았던 것이 산출적 어휘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과정 집단이 결과 집단보다 조금 더 큰 폭으로 점수가 상승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교육적인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주제 중심의 영어 학습 방안: 사회문제 인식을 중심으로 (Topic-centered English Learning Method Using Animated Movie with Reference to Awareness of Social Issues)

  • 김혜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217-225
    • /
    • 2024
  • 본 연구는 영어 학습과 사회문제 인식을 위한 유용한 도구로서 애니메이션의 활용을 탐구하고 한다. 또한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주제 중심의 학습이 영어 어휘와 표현 습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편의 애니메이션 주토피아와 루카를 통해 차별과 편견이라는 주제에 중점을 두고 대화 분석, 토론 활동, 문맥 속 어휘와 표현 학습이 진행되었다. 평가를 위해 사전 테스트, 사후 테스트, 설문조사와 학습자들이 의견을 써서 제출한 생각 노트를 분석하였다. 두 테스트 결과 학습자들의 어휘와 표현 습득에는 성적 향상이 있었고 이는 두 테스트 간 유의미한 차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와 생각 노트 결과 학습자들은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사회문제 인식을 중점으로 한 수업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81.8%) 이에 대한 이유는 영화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도움, 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에 도움, 영화 활용을 통한 흥미 증진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들은 수업에서 애니메이션을 사용할 때 주제에 대한 심층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강조할 필요가 있다.

TAALE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한국 대학생이 작성한 에세이에 나타난 어휘의 정교화 특성 비교 (The Relationship between Lexical Sophistication Features and English Proficiency for Korean College Students using TAALES Program)

  • 이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33-438
    • /
    • 2021
  • 본 연구는 자동화된 어휘 분석 프로그램인 TAALES를 활용하여 영어능력 수준과 어휘의 정교화 지표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ICNALE 코퍼스에 포함된 한국인 대학생이 작성한 에세이 600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 수준별로 어휘의 정교화 특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이 수행되었다. 다변량 분산분석 결과 어휘의 정교화 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상. 중. 하의 세 개의 집단에 따라 어휘의 정교화 지표의 평균벡터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상. 중. 하의 세 집단은 어휘의 정교화 지표의 사용이 유의미하게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세 집단 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어휘의 정교화 지표는 내용어의 빈도, 내용어의 친숙도, 기능어의 어휘 결정 반응 평균 시간, 상위어 동사, 기능어의 워드 네이밍 반응시간, 내용어의 어휘 습득 연령으로 나타났다.

코퍼스를 기반으로 한 어휘 과제가 고등학생의 영어 어휘 학습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rpus-based vocabulary tasks o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nd attitude)

  • 이현진;이은주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4호
    • /
    • pp.239-265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orpus-based vocabulary tasks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vocabulary in an attempt to explore the influence of corpus use on EFL pedagogy. For this to be realized, a total of 40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over a 4-week period. An experimental group used a set of corpus-based tasks for vocabulary learning, whereas a control group carried out a traditional task (i.e., the L1-L2 translation) for vocabulary learning. To assess learning gains, th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pre- and post-treatment tests measuring the word form, meaning, and use aspects of target lexical items.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rpus-based vocabulary tasks were beneficial for the learning of word forms and use. In particular, corpus-based benefits were greatest in the low-proficiency EFL learners' collocational aspects of vocabulary use.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group, the traditional vocabulary tasks benefited the meaning aspects of target vocabulary items the most. In addition,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most students were positive about the corpus-based learning experience although some expressed reservations about the heavy cognitive load and the time-consuming nature of the analysis of corpus data primarily due to learners' lack of language proficienc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