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어쓰기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5초

온라인 영어쓰기학습에서 Padlet 활용이 쓰기 불안과 전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dlet use on writing anxiety and strategy use in online English writing learning)

  • 임희주;이영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69-7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온라인 영어쓰기수업에서 온라인 플랫폼, Padlet이 학생들의 영어쓰기 불안과 영어쓰기 전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총 64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영어 불안감, 영어쓰기 전략, 그리고 배경질문을 포함한 설문 작성을 완료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1학기동안 쓰기 과제를 위해 Padlet을 사용한 실험 그룹과 대학 이러닝 플랫폼을 사용한 통제 그룹으로 나누어 실험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Padlet을 사용한 학생들은 대학 e-learning 플랫폼을 사용한 학생보다 영어쓰기 전략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Padlet 활용은 영어 쓰기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영어 쓰기 불안은 영어수준별의 차이를 보였지만 수준과 상관없이 학기말에는 쓰기 불안이 감소했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Padlet은 학생들의 영어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유용한 온라인 학습도구이며 특히 영어쓰기수준이 낮은 학생들에게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협동학습을 통한 웹 기반 영어 쓰기 시스템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eb based English Writing System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 이혜림;고병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7-146
    • /
    • 2011
  • 현재 초등학교에서는 이루어지는 영어 교육은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 언어의 4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내용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6학년 영어 쓰기 학습 내용의 구성을 보면, 영어 문장 쓰기 학습은 하고 있으나 단순히 문장 따라 쓰기, 단어 넣어 문장 완성하기 등으로 한정되어 있고, 영어 쓰기 학습을 할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또한, 학생들의 영어 쓰기 학습은 영어 단어 암기 학습으로 생각하여 영어 쓰기 학습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웹을 기반으로 한 협동 영어 쓰기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정규 수업 시간 외에 방과 후 시간 또는 가정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시스템을 활용해 자신의 생각을 영어로 표현하고, 동료들과의 협동학습을 통해 영어 쓰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결과 영어 쓰기의 정의적 영역과 영어 쓰기 능력에 향상되었다.

  • PDF

영어 자동쓰기평가(AWE) 사용만족도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PLS-SEM 모델 분석 (The influence of users' satisfaction with AWE on English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self-efficacy: using PLS-SEM)

  • 주미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1-8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쓰기 교과목에서 자동쓰기평가(AWE) 프로그램의 사용자 만족도가 영어쓰기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습자의 학습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AWE는 쓰기 결과물에 대해 인공지능 기술에 의해 자동으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영어쓰기 교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주제별로 작문을 하고 AW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피드백을 받은 후 그것을 참고하여 최종 수정본을 제출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n=99)를 SPSS, Smart PLS-SE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AWE의 사용 편의성과 유용성은 재사용 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WE 사용 만족도는 영어쓰기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어쓰기 자기효능감은 언어적, 정서적 측면에서 학업 성취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 및 인공지능 기술 발달에 따라 영어교육에 AWE와 같은 새로운 학습재료 도입을 권장한다.

음운인식의 언어 간 전이와 한글 및 영어의 읽기 쓰기와의 관계 (Cross-language Transfer of Phonological Awareness and Its Relations with Reading and Writing in Korean and English)

  • 김상미;조증열;김지연
    • 인지과학
    • /
    • 제26권2호
    • /
    • pp.125-146
    • /
    • 2015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음운인식이 영어 음운인식에 기여하는지의 여부와, 한국어와 영어의 음운인식이 한글과 영어 읽기 및 쓰기와 관련이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휘력과 연령을 통제한 후에 한국어 음운인식은 영어 음운인식의 변량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음절과 음소인식은 영어 음절인식을 예측하였고, 한국어 음소인식은 영어 음소인식을 예측하였다. 연령과 어휘력을 통제한 후에 영어 음소인식은 영어와 한글의 읽기와 받아쓰기의 변량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한국어 음절인식이 한글읽기를 설명하였으며, 영어 음절인식은 한글 받아쓰기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운인식은 상위언어적 기술(metalinguistic skill)로 한국어에서 영어로 언어 간 전이되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음소인식이 영어의 읽기와 쓰기에 중요하지만, 음소와 음절인식이 한글의 읽기와 쓰기에 중요한 것을 시사한다.

인터넷 도구와 소프트웨어 활용 쓰기 학습 연구 (English Writing Education based on Internet Tools and Software)

  • 최미희 미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43-34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쓰기 학습 향상을 위한 도구로서 인터넷 활용과 소프트웨어의 영어 수업에 도입함으로써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이 될 수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로 영어 쓰기에 관한 기존 연구들의 비교 분석과 연구 배경을 기술하고 둘째, 인터넷 도구들을 이용하여 영어 쓰기 과제 학습에 얼마나 효율적인지 기술하고자 한다. 이것은 인터넷 게시판에 주어진 어휘나 동사들을 가지고 문장을 완성해가는 과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셋째, 이 연구는 인터넷 도구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경우 오프라인 수업과 비교하여 학습자의 수업 태도와 적극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오프라인 수업에서와는 달리 웹사이트, IRC (Internet Relay Chat), 다양한 인터넷 도구와 여러 영어 말하기 및 듣기 실력향상을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활용이 학습자의 쓰기 실력 향상과 태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만5세 유아의 읽기와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alanced English approach program on five-year-old children'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Ability)

  • 차경나;배재정;정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7-8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 잡힌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영어 읽기와 쓰기능력 증진에 효과적인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시의 유치원 만5세 유아 36명을(실험, 통제집단 각 18명씩) 대상으로 실험집단에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을 8주간 주 2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활용한 검사도구는 알파벳 읽기능력과 단어읽기능력은 이옥섭(1999)의 단어읽기 검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책읽기 능력은 Sulzby(1985)의 읽기 발달단계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유아들의 쓰기발달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Hildreth(1936)와 Schikedanz(1986)의 쓰기 발달단계에 기초하여 이경화(1997)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ANCOVA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읽기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하위 요인가운데 알파벳 읽기와 단어읽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영어책읽기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쓰기능력 발달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균형적 영어접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영어 읽기와 쓰기능력 증진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쓰기능력 향상을 위한 이러닝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for improving writing ability through e-learning)

  • 류다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51-60
    • /
    • 2014
  • 인터넷에 의해 사회의 모든 분야가 변해가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그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닝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학습자가 원하는 수준과 방법으로 능동적인 학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닝을 통하여 영어쓰기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강의 사이트, 인터넷 사이트, 커뮤니티나 블로그 등을 통해서 영어쓰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강의를 들을 수 있고 학습 자료를 받을 수 있다. 둘째, 이러닝을 통한 영어쓰기 학습은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며, 자신의 수준에 맞는 학습을 단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선택한 학습을 하기 때문에 흥미를 가지고 능동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 셋째, 이메일이나 채팅을 통해 원어민과 글로 의사소통을 함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고,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영어를 학습할 수 있다.

영어쓰기에서 AWE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및 태도 연구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r Attitudes on the Use of AWE Program in English Writing)

  • 임희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7-4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영어쓰기에서 활용되고 있는 온라인 자동쓰기평가 프로그램을 활용하는데 있어서 학생들의 인식 및 태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131명이 참여하였고 참여자는 대학교 1학년 초급수준의 학습자들로 구성되어있다. 연구도구로는 사전·사후 설문지, 사전·사후 테스트 그리고 학습저널의 자료가 수집되고 분석되었다. 연구는 2019년 2학기, 총 15주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참여한 학생들은 스스로 영문법에 어려움이 있고 영작문에 있어서 피드백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Grammarly 활용에 있어서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Grammarly는 영어학습과 과제수행에 도움이 되었고 활용도 면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전·사후 문법테스트에서 Grammarly의 효과성은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제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익숙해지는 시간을 갖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사는 학생들에게 AWE(Automated Writing Evaluation)의 피드백이 항상 정확하지만은 않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피드백이 반드시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한-영 기계번역 결과물의 오류 유형 및 원인 분석: 형태적·구문적 오류를 중심으로 (Analyzing the Types and Causes of Korean-to-English Machine Translation Errors: Focused on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Errors)

  • 백지연;구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199-20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기계번역을 활용한 대학교 영어쓰기 수업에서 한-영 기계번역 결과물에 나타난 형태적 및 구문적 오류 유형과 그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의 EFL 대학생 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그들은 한 학기동안 총 3회의 영어쓰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제출한 영어쓰기 결과물 중 기계번역 결과물에 나타난 형태적 및 구문적 오류의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우리말 초고와 비교 분석을 통하여 그 원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기계번역 결과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오류는 문장구조와 표기법 관련 오류였으며, 기계번역 결과물에서 발생한 대부분의 오류는 한국어 원문의 오류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한 기계번역에서 문장 다시 쓰기에 관한 연구 (Study on Sentence Rewriting in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 김성동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C)
    • /
    • pp.257-261
    • /
    • 2008
  • 규칙 기반의 영한 기계번역에서는 영어의 문법 규칙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영어의 구문 분석을 수행한다. 그러나 쉼표를 포함한 문장이나 특수한 형식의 문장들은 문법에 의해 분석하기 어렵다. 이를 문법에 의해 분석하기 위해서는 문법이 복잡해지고 문법의 수가 많아지게 되어 분석의 복잡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 존재하는 규칙에 의해 분석할 수 있는 형태로 문장을 바꾸는 문장 다시 쓰기를 제안한다. 문장 다시 쓰기를 위해 쉼표를 포함한 문장에 대해서 다시 쓰기가 필요한 패턴을 구축하였으며 이에 대해 문장 다시 쓰기를 실험하였다. 문장 다시 쓰기를 통해 입력 문장을 변형함으로써 규칙의 추가 없이 구문 분석이 가능하며 제안한 방법은 특수한 형식을 가진 문장 및 쉼표에 의해 연결되는 문장들에 대해 보다 정확한 분석과 번역을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서 의의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