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양염

검색결과 1,227건 처리시간 0.296초

영양염 증가에 따른 부유생태계 반응 모의: FVCOM을 이용한 중형폐쇄생태계(Mesocosm) 자료 재현 (Modeling the effect of nutrient enrichment on the plankton population: Validation using mesocosm experiment data)

  • 송용식;최희선;유상철;홍현표;서지호;이효진;김태인;우승범;최중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358-368
    • /
    • 2011
  • FVCOM을 이용하여 시화호의 부영양화 메소코즘 내 부유생태계 변화 현장실험 결과를 재현하였다. 용존산소는 부영양화된 연안의 지화학생태 반응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이나 FVCOM에서는 이를 모의하지 않아 용존산소 모듈을 추가하였으며, 그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수질생태 관련 상태변수를 영양염, 식물플랑크톤(극미소, 미소, 소형), 동물플랑크톤(원생동물 2군, 중형동물플랑크톤), 쇄설성 유기물, 용존성 유기물, 박테리아 그룹으로 설정하고 경기만과 시화호에서 측정된 생물군 간 먹이 상관관계 자료를 기반으로 모델을 구성하였다. 영양염 증가에 따른 메소코즘 내 크기별 식물플랑크톤의 변화 특성과 실험 초기에 나타나는 < 20 ${\mu}m$ 빈섬모충류 우점에서 scuticociliates로의 원생동물 천이 양상 등을 재현할 수 있었으며, 박테리아와 저산소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Oxygen Deficient Water Mass in Gamak Bay)

  • 김정배;이상용;유준;최양호;정창수;이필용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16-224
    • /
    • 2006
  • 하계 가막만에서 발생하는 빈산소 수괴의 형성과정과 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2005년 6월 17일부터 2005년 9월 12일까지 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표층 수온은 내만에서 만 입구로 갈수록 낮았으나, 저층 수온은 만 입구와 내만보다 만 중앙에서 높게 나타났다. 수괴의 수직적인 성층은 매우 발달하였으며, 수온약층은 수심 3-5m에서 관측되었다. 저층의 빈산소 수괴는 7월초에 내만 안쪽에서 나타났으며, 8월초에는 만 중앙부까지 확산되었다. 수괴의 평균투명도와 광소멸 계수($K_d$)는 각각 4.0m와 0.47로 나타났다. 저층의 영양염과 클로로필 ${\alpha}$ 농도는 표층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만 입구보다 내만에서 높게 나타났다. 빈산소 수괴의 저층에서 퇴적물의 산소투과 깊이는 지극히 낮았으며, 산소소모율은 빈산소가 소멸된 수괴에서 보다 낮았다.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는 기간동안 용존 산소 농도는 저층의 영양염 농도와 유의한 역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표층 영양염 농도와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저층에서 산소 감소의 촉진은 퇴적물에서 산소소모율 증가와 저층 부근에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춘계 남해 전선역에서 알칼리 인산분해 효소를 통한 제한 영양염의 평가 (Limiting Nutrient Based on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in the Frontal Area of the Southern Sea, Korea)

  • 오석진;장민익;남기택;김석윤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885-892
    • /
    • 2017
  • 2017년 추계에 남해 전선역을 파악하고, 알칼리 인산분해 효소(Alkaline Phosphatase; APase) 활성을 이용하여 제한 영양염과 제한 영양염의 시간적인 변화를 평가하였다. 전선역이 형성된 인근해역의 경우, 용존무기인(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의 농도와 용존무기질소(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DIP 비가 각각 $0.2{\mu}M$ 이하와 최대 23.2로, DIP가 제한된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Chlorophyll a(Chl.-a)가 $0.2{\mu}g/L$로 높은 생물생산력을 보였다. APase와 DIP는 중요한 역의 상관관계(r = -0.81; P<0.001)를 보여, DIP가 제한되어진 해역임을 알 수 있었으며, APase와 Chl-a 관계는 APase의 60 %가 식물플랑크톤, 40 %가 박테리아 기원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용존태 APase와 입자태 APase의 분포로부터 전선역은 장기간 DIP가 제한된 해역이며, 그 외의 해역은 최근에 DIP 제한이 해소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전선역에서 APase와 같이 가수분해효소의 측정은 제한 영양염의 시공간적인 변화 특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전선역에서 생지화학 순환의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해남군 송지해변 녹조류 참깃털말 Bryopsis plumosa(Hudson) C. Agardh의 대량발생 (Bloom of a green alga Bryopsis plumosa(Hudson) C. Agardh at Songji Beach, Haenam, Korea)

  • 유현일;이지웅;고소미;김인호;황은경
    • 환경생물
    • /
    • 제42권1호
    • /
    • pp.127-134
    • /
    • 2024
  • 2022년 11월 전남 해남 송지해변에서 녹조류의 대량발생이 일어났다. 해변에서는 악취가 발생하였고, 녹조류가 녹색의 두꺼운 매트처럼 해변을 넓게 덮고 있었다. 종동정 결과는 범세계분포종인 녹조류 참깃털말로 나타났다. 참깃털말의 대량발생이 일어난 송지해변과 인근 지역의 해수 중 영양염 농도를 비교한 결과, 용존무기질소와 용존무기인 농도는 각각 1.067 및 0.461 mg L-1로 남서해안 평균 영양염에 비해 6배 및 19배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참깃털말의 대량발생 양상에 대하여 보고하였으며, 이는 해수 중 영양염 농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참깃털말 등의 녹조류 대량발생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연안으로 유입되는 육상의 영양염 농도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피클제조를 위한 취청오이의 염농도에 따른 염장중 이화학적 특성 (Effects of Various Salt Concentrations on Physicochermical Properties of Brined Cucumbers for Pickle Process)

  • 박용곤;박미원;최인욱;최희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26-530
    • /
    • 2003
  • 각기 다른 염농도에서 염장한 오이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염장시 첨가되는 염농도가 높을수록 수축현상이 심하였으며, 오이의 염농도는 염장 30일경에 30% 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이론치와 유사한 농도를 나타내었다. pH의 경우 25%처리구는 염장 120일까지 감소 경향을 보인 반면 30%처리구는 60일이후부터 거의 변화가 없었다. 오이 표면의 녹색도는 염장 10일까지는 모든 처리구에서 녹색(-1.33~-2.87)이 유지되었으나 염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적색으로 변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염농도가 낮을수록 심하였다. 황색도는 염농도가 낮은 15% 첨가구가 염장 전기간에 걸쳐 가장 높은 황색도(6.15~12.52)를 보였다. Isopropyl alcohol 추출색소액 중 생오이의 색소추출액은 439, 473, 632 nm에서 피크를 나타낸 반면 염장오이는 염장초기 첨가된 염농도에 관계없이 생오이 색소추출액과는 다른 흡광도 변화를 나타내어 410, 505, 538, 607, 565 nm에서 새로운 피크를 형성하였다. 경도는 염농도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하였다.

마산만과 행암만 수층의 종속양양세균과 엽록소 a 함량 분포에 미치는 환경요인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Chlorophyll a Content in The)

  • 손재학;안태영;김상진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65-75
    • /
    • 2000
  • 1996년 6월부터 11월까지 적조가 빈번히 발생하는 해역인 행암만과 마산만을 대상으로 종속 영양세균과 엽록소 a 함량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역할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마산만과 행암만의 수계환경은 무기영양염의 함량이 뚜렷한 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행암만은 질소영양염이 제한된 수계환경이고, 마산만은 담수의 유입이 많은 초여름과 가을에 인에 비하여 질소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 행암만에 비해 인 영양염이 제한되는 수계환경특성을 갖고 있다. 단순회귀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엽록소 a는 행암만에서 강수량 (r=0.813, P<0.05), 인 (r=0.846, P<0.05)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마산만에서는 다른 환경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종속영양세균은 행암만 (규산염 규소, r=0.960, P<0.01) 보다 마산만 (강수량, r=0.990, P<0.01 : NO₃-N, r=0.901, P<0.05, 용존성 무기질소, r=0.899, P<0.05 ;N/P mole 비, r=0.952, P<0.05 : 염분, r=-0.934, P<0.05)에서 많은 환경변수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중회귀분석에 의하면, 엽록소 a는 마산만에서 규산염 규소에 의해 67.8%의 중요도를 나타내었으며 행암만에서 N/P 비에 의해 37.6%의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마산만에서 규산염 규소와 염분에 의해 각각 42.3%와 32.1%의 중요도를 나타내었으며, 행암만에서 규산염 규소에 의해 76.3%의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초여름과 가을사이에 행암만과 마산만에서 담수의 유입은 풍부한 영양원, 유기물과 용존성 무기질소의 증가를 유도하였으며 종속영양세균과 엽록소 a 함량의 변화를 지배하는 주된 환경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소금의 보돌연변이 및 암세포성장억제 효과 (Effects of Different Kinds of Salt in the Comutagenicity and Growth of Cancer Cells)

  • 조흔;김소희;재영제;김소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6-32
    • /
    • 2012
  • 국내산 정제염, 천일염과 유럽산 천일염 등의 SEM에서의 형태, 무기질 성분, 보돌연변이와 암세포 in vitro 항암 기능성을 측정하였다. 정제염은 SEM을 이용한 관찰 시 구조가 규칙적이었고 천일염은 불규칙한 표면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천일염의 크기도 차이가 있었고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천일염I은 다른 천일염보다 크기가 작았다. 무기질 함량은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 천일염I이 Ca, K, Mg 등의 함량이 다른 소금보다 더 많았다. pH도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 천일염I이 가장 높았다. 한국산 두 가지의 천일염은 무기질 함량에 따라 물리적 특성의 차이를 보였고 한국 천일염I은 프랑스 천일염과 비슷한 무기질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소금은 보돌연변이 효과가 있었지만 특히 무기질 함량이 높았던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산 천일염I은 다른 소금보다 낮은 보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HCT-116과 AGS 암세포에 대한 in vitro 항암 효과에서도 보돌연변이 효과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많은 무기질을 함유한 프랑스 천일염과 한국산 천일염I의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와 암세포의 apoptosis 유도 효과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소금의 기능성은 무기질 함량이 많은 천일염이 정제염보다 좋으며 천일염 중에도 Ca, K 등의 무기질 함량이 높을수록 기능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팔당호 현장수를 이용한 남조류 Anabaena circinalis의 발아 및 성장 잠재력 시험 (Akinete Germination and Algal Growth Potential Test of Cyanobacterium Anabaena circinalis on Different Waters in Lake Paldang)

  • 박명환;임병진;서완범;박채홍;김건희;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8권4호
    • /
    • pp.287-295
    • /
    • 2015
  • 본 연구는 2014년 9월과 2015년 3월에 채수한 팔당호 3지점의 현장수 (PD-1, PD-2 및 PD-3)를 이용하여 북한강에서 우점하는 A. circinalis의 휴면포자 발아 및 성장 잠재력을 평가하였다. 질소와 인 농도는 팔당댐앞 (PD-1)과 광동교 (PD-3)에 비교하여 금남리 (PD-2)에서 좀 더 높게 나타났다. 팔당호 3지점의 총질소에 대한 영양상태지수 (TSI)는 65~85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부영양 또는 과영양 상태로 평가되었다. 또한 총인에 대한 영양상태지수(TSI) 값은 49~68의 범위로서, 중영양 또는 부영양 상태로 평가되었다. 휴면포자 발아 잠재력은 영양염 농도가 높은 금남리 지점 (PD-2)에서 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세포 성장 잠재력도 영양염 농도가 높은 현장수에서 증가하였다.

골관절염과 대사증후군과의 상관관계: 2009-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이용 (Association of Osteoarthritis with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based on 2009-2010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 오지은;임세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269-27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대표성이 있는 자료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요소들과 골 관절염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여성의 경우, 골 관절염군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 여성에서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허리둘레, 중성지질, 수축기 혈압, HDL-콜레스테롤과 골 관절염의 유병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또한 생활습관변수 및 사회경제적 변수로 보정하였을 때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소의 수가 증가할수록 골 관절염의 위험도는 더욱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p<0.0001).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제시되어진 바와 같이 대사증후군은 골 관절염의 새로운 위험인자로서 인식되어야 하며 골 관절염의 예방과 치료 시 대사증후군 역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의 하나로 사료된다.

X선 회절법에 의한 전남지역 천일염의 결정학적 특성 (Crystall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Solar Salts Produced from Jeonnam Area by X-Ray Diffraction Technique)

  • 정병조;김용;김창대;현승철;함경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284-1288
    • /
    • 2009
  • 본 연구는 천일염 결정 내에 함유된 무기물들의 화합물 결정 상태를 비파괴적인 방법인 XRD 방법으로 규명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남 서남해안의 12개 지역 염전에서 채취한 12종의 천일염들에 대하여 X선 회절선을 측정하고, 이 X선 회절선 스펙트럼을 EDX 측정 결과와 JCPDS 데이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천일염 결정 내에 함유된 무기물들의 화합물 결정 상태를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던 무기질 화합물 결정들이 천일염에 함유되어 있음을 밝혀냈는데, 신안 증도와 신의의 천일염에서 $Na_2S$, 신안 비금의 천일염에서 $KMgCl_3$, 신안 도초에서 $Ca(ClO_3)_2$, 해남 송지에서 $CaAl_4O_7$, 고흥에서 $CaSiO_3$, $CaCl_2$, 해남 토판 소금에서 NaKCl 등이 관측되었다. 또한 XRD 측정 결과는 천일염의 결정구조가 소금의 입방구조인 NaCl구조를 그대로 유지함을 보였으며, 격자상수도 정제염이나 시약염에 비해 거의 변화가 없는 비슷한 값을 보였다. 그러나 FE-SEM으로부터 조사한 천일염의 외형적 결정 구조는 정제염과 시약염에서 보이는 소금 NaCl의 결정구조인 정육면체의 결정 형태와는 달리 이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결정 형태의 특징을 보였다. 또한 결정 입자의 크기에 있어서도 정제염이나 시약염보다 수백 배에 이르는 특징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