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아기 아버지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영·유아기 자녀를 둔 남성의 부성경험에 관한 일 연구 (The Experience of Paternity : Fathers of Preschool Children)

  • 황정해;백경임
    • 아동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1-76
    • /
    • 2005
  • Using ethnographic methods, this study identified the meaning of paternal experience through 1 to 2 hours of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fathers of preschool children. The interviewees were 33 middle-class fathers from 28 to 41 years of age, Twenty had infants under 36 months of age the others had preschool children 37 months of age and older. Results were summed up with two statements : The first is that paternal experience with the under 36-month-old infants can be called "the stage of adjustment". The other statement is that paternal experience with 37-months and older preschool children can be called "the stage of model-building as a father".

  • PDF

영아기 아버지 양육참여,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영아 심리사회발달과 유아기 또래상호작용 간의 종단적 관계 분석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Paternal Involvement, Maternal Parenting Stress, Psychosocial Development of Infant during Infancy and Peer Interactions during Childhood)

  • 장효은;김춘경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7-102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아기 아버지 양육참여,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영아 심리사회발달과 유아기 또래상호작용간의 종단적 관계를 잠재성장 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PSKC)자료의 0세부터 2세까지와 4세부터 6세까지의 자료인 1차 ~ 3차 년도와 5차 ~ 7차 년도의 종단 자료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아버지 양육참여 초기값이 유아기 놀이상호작용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초기값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양육참여 초기값과 변화율은 유아기 놀이방해 및 단절 초기값과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 양육참여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유아기 놀이상호작용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영아 심리사회발달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 양육참여 초기값이 유아기 놀이방해 및 단절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영아 심리사회발달의 초기값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기질,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발달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 among Infants' Temperament,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Development)

  • 유지은;신애선;김경후;송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79-29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기질,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영아의 사회 정서 행동발달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J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55개 어린이집의 만 1~2세 영아의 부모 3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질은 아버지 양육참여 중 여가지도, 생활지도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사회 정서행동의 외현적 문제행동인 활동성/충동성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사회 정서행동의 주의집중, 모방/놀이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사회 정서행동은 영아기질 접근회피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최종모형의 변인 간 경로계수를 통한 적합도 검증결과, 영아기질은 아버지 양육참여와 사회 정서행동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경로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영아의 사회 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기질과 아버지 양육참여의 역할을 확인하고, 영아기 자녀의 사회 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구소득에 따른 부부관계와 자녀가치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연구 (Maternal Parenting Stress of Infants from Different Income Groups :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ther Involvement,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Meanings of Parenthood)

  • 옥경희;천희영
    • 아동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05-22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father involvement, marital happiness and conflicts, and meanings of parenthood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ompa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ose variables in three (low, middle, and upper) income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54 nuclear families which consisted of 3 family members, couple and their infant children aged between 4 months and 10 months. Data was taken from the 2008 Panel Data of Korean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maternal parenting stress, father involvemen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onfli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income levels. Seco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in predicting father involvement, and mother's marital conflict was the most significant one in predict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Third, the significance and numbers of variables which were impacted upo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father involvement varied according to income groups. Fourth, in all three income groups, the effects of father involvement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not significant when marital relationship and meanings of parenthood underwent in regression analysis. However, father involvement was impacted upon maternal parenting stress by itself.

아버지의 양성평등한 부모역할신념과 어머니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영아기 자녀와의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ender-equal Parental Role Belief of Fathers and Maternal Gatekeeping Recognized by Fathers on Their Participation in Play and Father-Infants Intimacy)

  • 김경희;김유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3-55
    • /
    • 2022
  • Objective: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surrounding fathers and to promote play-participation with children and father-Infants Intimacy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a father's belief concerning gender-equal parental role and the mother's roles as a gatekeeper.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91 fathers who had infants ranging from 1-36 months of age and were living in Seoul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4.0.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roles, livelihood keeper-father beliefs, importance of father rearing, and the mother's role as a doorkeeper affect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lay. This diff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la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father's gender roles and the mother's role as a doorkeep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imacy between the father and the infant.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fathers' belief in gender-equal parenting and mothers' encouragement through opening the door as gatekeepers affect the formation of intimacy between fathers and their children in infancy, and are factors that influence play participation.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Exploring Variables Effecting Parental Stress of Fathers with Infants)

  • 송나래;나종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87-202
    • /
    • 2018
  • Objective: The study aims to examine fathers' parental stress and the variables effecting parental stress of fathers with infants. Methods: One hundred seventeen fathers with 0 to 2 year-olds were recruited from daycare center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K-PSI-SF) by Lee, Jung, Park and Kim(2008),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by Jang and Ko(2005), and the Revised-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RKMSS) by Chung (2004) were used to measure fathers'parental stress, occupational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Results: Firs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at affected father's parental stress was their marital satisfaction. The fathers felt less parental stress when they felt higher marital satisfaction. Second, fathers felt less parental stress when their occupational environments were family friendly. Conclusion/Implications: Ways to improve mariatal satisfacation and a family friendly evironment at work should be sought out in order to lessen the parental stress of fathers raising infants.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결혼만족도 및 가정환경 탐색 -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Infant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Their Family Environment Focused on Employment Status)

  • 김진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63-79
    • /
    • 2015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족환경의 제반여건이나 심리적, 물리적 환경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어떤 요인들이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지 살펴보았다. 첫째,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가정환경 변인을 분석한 결과, 먼저 양육환경에서는 비취업모가 취업모에 비하여 양육스트레스가 높으며 남편의 양육협조를 받지 못했다. 또한, 어머니의 개인변인에서 취업모의 자아존중감이 비취업모에 비해 높은 편인 반면, 비취업모는 우울감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아버지 개인 변인에서 남편이 지각하는 부부갈등 수준이 아내가 취업한 경우에 높았다. 아동변인에서는, 비취업모가 자신의 자녀가 좀 더 부정적인 정서를 보이며 까다로운 편이라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모의 자녀가 발달 상태에 있어서는 정상발달 범주에 포함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부인의 취업여부와 관계없이 부부갈등은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남편의 양육협조와 남편의 결혼만족도는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취업여성의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부인의 최종학력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영아기 가정의 가정환경을 어머니의 취업여부를 중심으로 비교 모색하였고, 어떤 변수들이 영아기 자녀의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아버지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심리특성의 매개효과 (Effects of Fathers' Parental Involvement and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Infants: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s a Mediator)

  • 김상림;박창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51-464
    • /
    • 2016
  • This study had two purposes. One wa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fathers' parental involvement, social support, and the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other was to prove that the fathers' parental involvement and social support have an effect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at these effects are mediated by the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1,754 2-year-olds and their mothers from the 2010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analyzed using PASW ver. 21.0 and AMOS ver. 23.0 to carry out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ci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long with the Sobel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fathers' parental involvement, social support, and mothers' pos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also proved that not only the fathers' parental involvement, but also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at the mothers' pos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mediated these relations.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 연구 -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fathers and mothers on the Parenting Efficacy, Knowledge of Infant-care and Sensitivity)

  • 이영환;오미연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7-6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ing parenting efficacy, knowledge of infant-care and sensi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parents having 12-24 monthes old child in the city of Jeonju, Korea. Parenting efficacy was developed by Shin, Suk-Jae(1997) and consisting of 16 questions. The knowledge of infant-care was assessed using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KCDI) by Yoon Hyung Ju, which was modified by pedology Professor and 3 graduate school students in master's or doctorate courses. In addition, by using a tool made by Gwon, Mi-Gyeong(1998) centering on the literatures on infant cue in Barnard's NCAST program, the parents' sensitivity of infant cue is investigated.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s done with SPSS 10.0, an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F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re also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mother's parenting efficacy was higher than fat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ing efficacy by eudcational level of mothers. Second, knowledge of infant-care was higher in mothers than fathers. Areas that mothers have knowledge of infant-care in the order of the lowest areas are emotional development, sociality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Third, mothers reaction to infant cue is more sensitive and positive than father's. Fourth,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with father's parenting efficacy and knowledge of infant-care on emotional development, and paternal parenting uneasiness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his sociality development and emotional development.Meanwhile,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with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knowledge of infant-care on emotional development. Maternal parenting efficacy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her knowledge of infant-care on emotional development.

  • PDF

다 기관 설문 조사를 통한 알레르기 질환의 연령별 임상 양상 (Clinical manifestations patterns of allergic disease in Korean children under the age of 6 : multi-center study)

  • 김동일;양현종;박용민;나영호;정지태;편복양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6호
    • /
    • pp.640-645
    • /
    • 2008
  • 목 적 : 알레르기 질환이 알레르기 행진의 임상 양상을 보이며 이를 이해하는 것이 예방에 중요 한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알레르기 진행에 대한보고는 미미 한 실정이다. 방 법 : 2006년 5월 1일부터 30일 까지 서울에 위치한 4개 대학병원의 소아 알레르기 클리닉을 방문한 6세 미만 환아의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총 229명의 환아 중 여자는 122명 남자는 107명이였다. 2세 이하에서는 아토피피부염(79%)이 가장 흔했고 뒤이어 천식(13%)과 알레르기비염(13%)의 순이었다. 2-4세에서는 알레르기비염(38%), 천식(37%), 아토피피부염(19%)의 순이었다. 4-6세에서는 천식(72%)이 가장 흔했으며 알레르기비염(64%)과 아토피피부염(21%)의 순이었다. 73%에서 가족력이 있었고 이중 아버지 알레르기 병력이 가장 흔했다. 알레르기비염을 가진 환아의 50%에서 천식, 30%에서 아토피피부염을 경험하였고 천식을 가진 환아의 57%가 과거에 아토피피부염을 가지는 알레르기 행진을 볼 수 있었다. 알레르기 질환의 심각도 조사에서 부모들은 영아기에는 천식을, 유아기에는 아토피피부염을 가장 심각한 알레르기 질환으로 생각하였다. 결 론 : 국내에서 6세 미만의 소아에서 알레르기 행진이 진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