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Exploring Variables Effecting Parental Stress of Fathers with Infants

  • 투고 : 2018.01.17
  • 심사 : 2018.02.12
  • 발행 : 2018.02.28

초록

Objective: The study aims to examine fathers' parental stress and the variables effecting parental stress of fathers with infants. Methods: One hundred seventeen fathers with 0 to 2 year-olds were recruited from daycare center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Korean version of the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K-PSI-SF) by Lee, Jung, Park and Kim(2008),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by Jang and Ko(2005), and the Revised-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RKMSS) by Chung (2004) were used to measure fathers'parental stress, occupational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Results: Firs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at affected father's parental stress was their marital satisfaction. The fathers felt less parental stress when they felt higher marital satisfaction. Second, fathers felt less parental stress when their occupational environments were family friendly. Conclusion/Implications: Ways to improve mariatal satisfacation and a family friendly evironment at work should be sought out in order to lessen the parental stress of fathers raising infa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한나, 박혜원 (2013). 저소득가정 영유아의 발달과 부모의 양육특성 및 하루 일과시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51(6). 613-622. doi: 10.6115/fer.2013.51.6.613
  2. 고선옥, 이영환 (2006). 아버지의 창의적 성격특성, 양육신념, 유아의 창의성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47, 1-19.
  3. 공성숙 (2004). Gottman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부부관계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12(2), 141-171.
  4. 김경은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7), 4566-4575. doi:10.5762/kais.2015.16.7.4566
  5. 김기현 (1998). 아버지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9), 49-62.
  6. 김다래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와 직무만족 및 부모역할만족도에 관한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1(3), 175-204. doi:10.20437/koaece21-3-07
  7. 김연하 (2015, 11).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결혼만족도 변화궤적. 한국아동학회 제37차 추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8. 김유경, 구혜령 (2016). 기혼남성근로자의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향상.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 99-117.
  9. 김재엽, 최수찬, 최보라, 김혜영 (2009). 기혼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7(10). 51-61.
  10. 남효정, 이숙현 (2011). 아버지의 자녀 양육 참여정도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107-121.
  11. 박은혜 (2015).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 개발과 참여자들의 결혼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학회, 12(1), 57-90.
  12. 박화윤, 마지순, 안라리 (2011). 가족 친화적 남편 및 아버지의 역할수행을 위한 문화조성방안. 열린부모교육학회, 3(2), 81-99.
  13. 서지원 (2015, 5). 아버지의 자녀돌봄에서 나타나는 세대별.소득계층별 차이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제57차 공동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14. 서혜영 (1998). 남성의 일-아버지 역할 갈등과 부모 역할 만족도 및 부모로서의 유능감.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송혜림 (2012, 6). 자녀 돌봄 지원정책의 추이와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 제51차 공동춘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16. 양경수 (2011).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9(2), 75-84. https://doi.org/10.6115/khea.2011.49.2.075
  17. 여성가족부 (2017. 1). 2016년 일.가정 양립 우수사례집 최종본. http://www.mogef.go.kr/cs/eag/cs_eag_s005d.do?mid=gnr107&bbtSn=1000000120에서 2017년 11월 20일 인출
  18. 연은모, 최효식, 홍윤정, 김정아 (2014). 영유아 아버지의 결혼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 양육협조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특성의 매개효과와 배우자의 취업유무의 조절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86, 51-78.
  19. 유우영, 최진아, 이숙 (1998).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 51-61.
  20. 이경숙, 정경미, 박진아, 김혜진 (2008, 8). 한국형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 축약형(Korean-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KPSISF)의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2008년 연차학술발표대회, 포스터 발표 논문, 서울.
  21. 이슬기, 전귀연, 김수경 (2007).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일-아버지의 역할 갈등과 양육 스트레스가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5(1), 35-49.
  22. 이주옥 (200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비교. 영유아교육연구, 11, 41-61.
  23.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등 (2005).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학직업환경의학회, 17(4), 297-317.
  24. 정현숙 (1997). 결혼만족도 연구와 척도의 고찰을 통한 새로운 연구방향과 척도의 모색. 대한가정학회지, 35(1), 191-204.
  25. 차기주, 김민정, 정미라 (2016). 영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영아발달 간의 관계-어머니의 부모역할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99, 111-138.
  26. 통계청 (2017. 9) 2017년 기준 중위소득 추이.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62에서 2017년 11월 30일 인출
  27. 홍길회, 황정해 (2006). 자녀양육 스트레스 및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아동학회지, 27(3), 301-317.
  28. 황현주 (2012). 영아에 대한 아버지애착 관련변인. 한국영유아보육학. 73, 81-99.
  29. Bigner, J. J. (2002). Parent-child relations parenting: An introduction to parenting. NJ: Merrill Prentice Hall.
  30. Durtschi, J. A., & Soloski, K. L., & Kimmes, J. (2016). The dyadic effects of supportive coparenting and parental stress on relationship quality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43(2), 308-321. doi:10.1111/jmft.12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