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22.18.05.033

The Effects of Gender-equal Parental Role Belief of Fathers and Maternal Gatekeeping Recognized by Fathers on Their Participation in Play and Father-Infants Intimacy  

Kim, KyungHee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im, Yumi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8, no.5, 2022 , pp. 33-5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surrounding fathers and to promote play-participation with children and father-Infants Intimacy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a father's belief concerning gender-equal parental role and the mother's roles as a gatekeeper.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91 fathers who had infants ranging from 1-36 months of age and were living in Seoul and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4.0.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ender roles, livelihood keeper-father beliefs, importance of father rearing, and the mother's role as a doorkeeper affect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lay. This diff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pla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father's gender roles and the mother's role as a doorkeep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imacy between the father and the infant.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fathers' belief in gender-equal parenting and mothers' encouragement through opening the door as gatekeepers affect the formation of intimacy between fathers and their children in infancy, and are factors that influence play participation.
Keywords
Parental Role Belief of Father; Maternal Gatekeeping; Father's Participation in Play; Father-Infants Intimac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은실, 최혜영 (2009).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양육 참여도 및 배우자의 지지. 대한가정학회지, 47(5), 13-22.
2 곽은희 (2011).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 성역할 고정관념, 유아 사회성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권정윤, 정미라, 이방실 (2015). 아버지의 놀이상호작용이 유아의 인지, 동작,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5(1), 333-350.   DOI
4 고선옥, 이영환 (2006). 아버지의 창의적 성격특성, 양육신념, 유아의 창의성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47, 1-19.
5 고지민, 이승연 (2010). 만 2세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상황에서의 반응성 분석. 유아교육연구, 30(2), 147-165.   DOI
6 김가윤, 신혜영 (2013). 아버지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참여,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의 상대적 영향력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2), 191-213.
7 김경희, 김세곤 (2021). 유아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와 양육참여가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27, 117-142. https://doi.org/10.37918/kce.2021.3.127.117   DOI
8 김명순, 조항린, 박영림, 신혜영 (2013). 부모와 유아 자녀의 놀이에 관한 연구: 부모의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5(1), 37-54.
9 김애숙 (2019). 어머니의 문지기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희, 이소영 (2014). 유아기 아버지 자기결정성과 부모역할 동기 및 역할만족도가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논총, 18(1), 25-38.
11 김은주. (2009). 유아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및 참여수준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정신 (2000). 아버지 양육태도와 양육참여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지원 (2022). 아버지 양육참여와 부모역할 신념, 가족친화제도, 어머니 문지기 행동의 관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지원, 김낙흥 (2011). 영아기 자녀 아버지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6(6), 189-210
15 김태희 (2016). 아버지 아동기 경험 및 부모역할 만족감이 아버지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형민, 조은영 (2019). 부부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양육참여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 모형(APIMeM)의 적용. 열린유아교육연구, 24(4), 49-65. https://doi.org/10.20437/KOAECE24-4-03   DOI
17 윤영주 (2014). '놀이하는 아빠'로서의 지나온 경험 탐색.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박희숙 (2016)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와 영유아기 발달 간 관련성에 대한 메타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251-272.
19 송은혜 (2008). 아버지의 놀이참여도 및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원희영 (1998). 아버지의 놀이참여 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수재, 이영환 (2010). 아버지-유아 상호작용 유형 및 아버지 통제전략이 유아의 자기통제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99-118.
22 이진숙, 조복희 (2001). 유아의 애착 표상과 교사-유아관계 및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3), 17-29.
23 장수희 (2001). 한국가족법상 양성평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전선영, 이희선 (2022). 어머니용 부모공동양육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8(3), 37-59. https://doi.org/10.14698/jkcce.2022.18.03.037   DOI
25 조윤진 (2017).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부모역할신념과 어머니의 문지기역할, 부부공동양육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민지혜 (2014). 아버지 양육참여 유아의 정서지능 유아 문제행동간의 관계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김혜련, 윤은주 (2019). 영아기 자녀와의 신체동작 놀이가 아버지 되기 경험에 주는 의미 탐구: G 영유아 놀이 교육 기관 경험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40(4), 29-52. http://doi.org/10.5723/kjcs.2019.40.4.29   DOI
28 나성은 (2014).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내재한 젠더 위계와 '신 도구적' 부성의 구성: 맞벌이 중간계층 아버지들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6(1), 1-39. http://doi.org/10.21478/family.26.1.201403.001   DOI
29 남도향 (2005). 영아놀이성과 아버지-영아상호작용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박신영, 이진희 (2013). 어린이집-가정 연계를 통한 아버지 놀이참여 활동이 놀이신념 및 영아-아버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8(1), 29-56.   DOI
31 배정민, & 김소향. (2016). 아버지의 놀이신념 및 훈육방식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5(3), 23-49.
32 설경옥 (2005). 아버지의 심리적 자세 및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송혜림, 고선강, 박정윤, 권혜진, 김유정, 김미정 (2010). 남성의 아버지역할 수행 실태-가족친화 문화조성을 위한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개발에의 제안. 한국가정관리학회 2010년 춘계학술대회 논문, 서울.
34 신소영 (2018).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간의 관계: 아버지의 양육신념 매개효과.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오로라 (2018).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양육참여의 관계: 양육효능감과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박선주 (2017).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어머니 문지기역할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박세영 (2015). 아버지와 자녀의 여가활동과 자녀 행복감의 관계: 아버지와 자녀 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DOI
39 최혜영 (2021). 육아휴직을 경험한 아버지의 부모역할 전환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1), 125-150.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1.125   DOI
40 황윤하 (2015).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 참여 및 양육 효능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Cabrera, N., Tamis-LeMondana, C. S., Bradly, R. H., Hofferth, S., & Lamb, M. E.(2000). Fatherhood in the 21st century. Child Development, 71(1), 127-136. https://doi.org/10.1111/1467-8624.00126   DOI
42 Fagan, J., & Barnett, M.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gatekeeping, paternal com- petence, mothers' attitudes about the father role, and father involvement. Journal of Family Issues, 24(8), 1020-1043. https://doi.org/10.1177/0192513X03256397   DOI
43 Gaunt, R. (2008). Maternal Gatekeepin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family issues, 29(3), 373-395. https://doi.org/10.1177/0192513X07307851   DOI
44 이숙재 (1984). 유아의 상상놀이와 제변인과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5 유성경, 방지원, 임인혜, 최보윤, 김수영 (2020).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부모역할신념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여성연구, 107(4), 109-141.   DOI
46 윤상인 (2011). 맞벌이 부모가 지각한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만 2세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이강이, 최인숙, 성미영 (2007). 부모의 정서사회화와 유아의 정서.사회성 발달의 관계. 아동학회지, 28(3), 187-199.
48 이영환 (2008).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부모 공동 양육의 관점에서. 아동과 권리, 12(2), 189-210
49 이영환, 김정희, 차평, 한지현 (2016). 한국과 중국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부모의 양육신념 및 어머니의 문지기 행동 비교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6), 207-226.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6.207   DOI
50 이숙현, 권영인 (2009). 기업의 가족 친화적 문화와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일-가족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1), 1-28.
51 이지영 (2008). 아버지의 양육 효능감과 자녀 양육 참여: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을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인구보건복지협회 (2019. 08). 2019년 1차 저출산 인식 조사- 아빠들이 말하는 육아경험과 의미. http://www.ppfk.or.kr/sub/population/issue/issue1.asp에서 2019년 08월 21일 인출.
53 임정순 (2002).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성평등의식과 자녀교육지원.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장영애 (2008). 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어머니,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양육 참여도 영향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1), 87-99.
55 양은지 (2018). 부부 공동양육하는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아버지 역할수행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 장영애, 이영자 (2008). 아버지의 양육행동,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자아개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187-206.
57 조윤진, 임인혜 (2016). 한국판 어머니.아버지 역할 신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69-100.
58 전혜영 (2018). 아버지의 놀이성이 아버지-유아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아버지의 놀이참여 매개효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 정순심, 문혁준 (2019). 아버지가 인식한 부모역할신념과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 양육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11(1), 71-94.
60 김지영 (1994). 아버지의 신생아에 대한 애착정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조은영 (2017). 영유아기 아버지의 상호작용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활동구성:TREASURE Talk 코칭모델의 활용.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2 한영숙 (2006).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아버지 관계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189-212.
63 한정현, 심미경 (2011). 유아의 정서지능과 아버지의 양육행동과의 관계. 생애학회지, 1(1), 19-31.
64 황지현 (2012). 아버지의 놀이성, 놀이참여도 및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구조모형분석.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 Allen, S. M., & Hawkins, A. J. (1999). Maternal gatekeeping: Mothers' beliefs and behaviors that inhibit greater father involvement in family work.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1), 199-212. https://doi.org/10.2307/353894   DOI
66 Bonney, J. E., & Kelley, M. (1996). Development of a measure assessing maternal and paternal beliefs regarding the parental role: The beliefs concerning the parental role scale. [Unpublished manuscript]. Old Dominion University. Norfolk, VA.
67 Bronstein, P., & Cowan, C. P. (Eds.). (1988). Fatherhood today: Men's changing role in the family. John Wiley & Sons.
68 Capuozzo, R. M, Sheppard, B. S., & Uba, G. (2010). BOOT CAMP FOR NEW DADS: The Importance of Infant-Father Attachment. YC Young Children, 65(3), 24-28.
69 Doherty, W. J., Erickson, M. F., & LaRossa, R. (2006). An intervention to increase father involvement and skills with infants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0(3), 438-447. https://doi.org/10.1037/0893-3200.20.3.438   DOI
70 Goodsell, T. L., & Meldrum, J. T. (2010). Nurturing fathers: A qualitative examination of child-father attachment.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0 (1-2), 249-262. https://doi.org/10.1080/03004430903415098   DOI
71 Feinberg, M. E. (2003). The internal structure and ecological context of coparenting: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3(2), 95-131. https://doi.org/10.1207/S15327922PAR0302_01   DOI
72 Fox, G. L., & Bruce, C. (2001). Conditional fatherhood: Identity theory and parental investment theory as alternative sources of explanation of fathering.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3(2), 394-403.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1.00394.x   DOI
73 Gaunt, R., & Scott, J. (2014). Parents' involvement in childcare: Do parental and work identities matter?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8(4), 475-489. https://doi.org/10.1177/0361684314533484   DOI
74 Goldberg, J. S. (2015). Identity and involvement among resident nonresident fathers. Journal of Family Issues, 36(7), 852-879. https://doi.org/10.1177/0192513X13500963   DOI
75 Hofferth, S. L. (2003). Race/ethnic differences in father involvement in two-parent families: Culture, context, or economy? Journal of Family Issues, 24(2), 185-216. https://doi.org/10.1177/0192513X02250087   DOI
76 Lamb, M. E. (1976). Interactions between two-year-olds and their mothers and fathers. Psychological Reports, 38(2), 447-450.   DOI
77 Lamb, M. E. (2010). How do fathers influence children's development? Let me count the ways. In M. E. Lamb (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5th ed., pp. 1-26). John Wiley & Sons, Inc. https://doi.org/10.2466/pr0.1976.38.2.4   DOI
78 Parke, R. D. & Tinsley, B. J. (1987). Family interaction in infancy. In J. D. Osofaky (Ed.),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John Wiley & Sons.
79 Marsiglio, W., Amato, P., Day, R. D. & Lamb, M. E. (2000) Scholarship on fatherhood in the 1990s and beyon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4), 1173-1191.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1173.x   DOI
80 Maurer, T. W., Pleck, J. H., & Rane, T. R. (2001). Parental Identity and Reflected-Appraisals: Measurement and Gender Dynamic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3(2), 309-321.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1.00309.x   DOI
81 Schoppe-Sullivan, S. J., Brown, G. L., Cannon, E. A., Mangelsdorf, S. C., & Sokolowski, M. S.(2008). Maternal gatekeeping, coparenting quality, and fathering behavior in families with Infant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3), 389-398. https://doi.org/10.1037/0893-3200.22.3.389   DOI
82 Pianta, R. C., & Nimetz, S. L. (1991).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Associations with classroom and home behavio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2(3), 379-393. https://doi.org/10.1016/0193-3973(91)90007-Q   DOI
83 Sarkadi, A., Kristiansson, R., Oberklaid, F., & Bremberg, S. (2008). Fathers' involvement and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of longitudinal studies. Acta Paediatrica, 97(2), 153-158. https://doi.org/10.1111/j.1651-2227.2007.00572.x   DOI
84 Schoppe-Sullivan, S. J., & Altenburger, L. E. (2019). Parental gatekeeping.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3rd ed., Vol. 3, pp. 167-198). Routledge. https://doi.org/10.4324/9780429433214-5   DOI
85 Smilansky, S. (1968). The effects of sociodramatic play on disadvantaged preschool children. John Wiley & Sons.
86 Stevenson, M. D., Thompson, R. H., & Roach, M. A. (1988). Social relations model analysis of parent and child play. Developmental Psychology, 24(1), 101-108. https://doi.org/10.1037/0012-1649.24.1.101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