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국성

Search Result 1,22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nglishness represented in a Cottage Garden (코티지 가든에 표상된 영국성)

  • Cho, Hye-Rye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5 no.1
    • /
    • pp.63-72
    • /
    • 2017
  • Gardening activities, plant raising, and general flowerbeds the public makes today can be found in the original form of cottage gardens in the United Kingdom. A cottage garden is a popular garden style of modern Britain, implying unique Englishness including ethnic sense and vernacular.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odern movement in the United Kingdom in the past 200 years and read Englishness of cottage gardens through style differentiation and background of occurrence of cottage gardens appearing in this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view of nature of the Englishman loving freedom and landscape acts as a key part of patriotism and is connected to the preservation of idyllic England. For this ideal of the Englishman of the country, idyllic British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various literatures and artistic fruits; cottage gardens, that is a form of new garden, were made with invigoration of supply and collection of plants. Second, an early form of cottage gardens was the domestic garden, in which there is a vegetable garden by middle-class move to a suburb according to urbanization, but evolved into a form of garden having both artistry and regionality, vernacular,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various situations of modern society(handicraft promotion movement, preservation of remains, and ancient building restoration movement). Wild gardens occurring in this process are a type of garden realizing wild fields and forests in the United Kingdom;they have made a big impact on many garden designers up to now. Cottage gardens, reflecting a variety of Englishness, is a subject of city planning and flower shows and is a culture symbolizing the United Kingdom.

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ies (종설 : 동물의 전염성 해면형 뇌증)

  • 강영배;권창희;조상래;이재진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2 no.4
    • /
    • pp.206-219
    • /
    • 1996
  • 동물의 전염성 해면형 뇌증에는 양과 염소의 스크래피, 사슴과 엘크의 만성소모형, 밍크의 전염성 밍크 뇌증, 소 및 소과 야생동물의 소 해면형 뇌증 그리고 고양이의 고양이 해면형 뇌증등이 알려져 있다. 전염성 해면형 뇌증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스트레인간의 차이는 숙주의 프리온 유전자에 있어서의 대립유전자의 차이에 의존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러한 동물의 전염성 해면형 뇌증들은 우리나라에서의 발생보고가 없는 해외 가축전염병이며 현재 영국에서 문제되고 있는 소 해면형 뇌증 즉 일명 광우병은 영국에서 1986년 최초로 확인된 새로운 가축전염병으로서 사람의 크로이츠휄트-야콥병과의 어떤 연관 가능성 때문에 수의학계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질병이다. 영국정부 보건장관 스티픈 도렐은 최근(1996년 3월 20일)에 과거 10년 동안 영국의 소에 감염되어 온 소 해면형 뇌증이 사람의 희귀한 뇌 질환인 크로이츠휄트-야콥병의 새로운 스트레인과 관련성이 있는 증거가 있을 수 있는 것으로 과학자문위원회가 믿고 있다고, 영국하원에서 보고한 바 있다. 한편, 영국의 농업장관 더글러스 호그는 영국에서 30개월 이상된 소를 도살할 때에는 모든 뼈를 제거하여야 하며, 모든 포유동물의 조직은 농업용 사료로 사용해서는 아니된다는 새로운 규정을 공표하였다. 그러나 영국의 쇠고기는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고 발표하면서 만일 문제가 된다면, 영국에서 사육하는 1천 1백만 마리의 소를 전부 도살할 용의가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영국정부 견해는 다음 날 CNN News 등 세계 각 매스컴을 통하여 보도되었으며, 아직까지 과학적인 증거가 확립된 바는 없지만, 수의학이나 의학적인 사실 확인의 여부를 떠나, 사회 경제적인 문제로 큰 놀라움과 많은 의문사항을 남겨둔 채, 영국산 소와 쇠고기의 수입금지 조치 등 국제적인 문제로 확대되었다. 본편에서는 동물의 전염성 해면형 뇌증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영국의 노숙자 연구: 원인과 정책을 중심으로

  • Yun, Il-Seo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235-275
    • /
    • 2005
  • 이 글은 영국 홈리스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홈리스의 세 가지 측면을 고찰한다. 첫째, 홈리스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홈리스에 대한 서로 다른 정의와 홈리스 규모에 대한 여러 추정치를 비교 검토한다. 이 글은 또한 거리노숙자 규모를 측정하는 방법을 둘어싼 논쟁을 정리한다. 둘째, 홈리스의 원인을 분석한다. 홈리스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다섯 가지 접근이 있다. 이 글은 이런 다섯 가지 접근들의 등장 배경, 내용, 그들 사이의 논쟁을 정리한다. 셋째, 영국 홈리스 정책을 고찰한다. 영국 홈리스 정책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홈리스에게 임시주택 혹은 안정적인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글은 1960년대 이후 영국 홈리스 정책의 변화 과정을 정리한다. 1997년 집권한 노동당 정부는 거리노숙자 정책을 정부의 최우선 정책과제들 가운데 하나로 설정하면서 거리노숙 문제의 해결에 적극적으로 개업했다. 그 결과 2000년 이후 거리노숙자가 대폭 줄어들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거리노숙자 정책은 주거지원 뿐만 아니라 다양한 차원의 지원을 포함한다. 홈리스 예방도 중요한 정책으로 다루어지고, 정보와 인간단체가 협력해서 거리노숙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거리노숙자를 줄이는데 성공한 영국의 거리노숙자 정책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줄 것이다.

The Recent Interconnection Policy and Current Issues in UK (영국의 상호접속제도 동향 및 최근 이슈 분석)

  • Jung, C.Y.;Byun, J.H.;Kim, P.R.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5 no.3 s.63
    • /
    • pp.62-72
    • /
    • 2000
  • 영국은 그동안 사업자간 협상에 맡겨 두었던 고정망에서 이동망으로의 호에 대한 접속료 정산체제를 원가주의로 전환함으로써 이동망에 대한 규제에 있어서 큰 변화를 불러 일으켰다. 또한 광대역서비스에 대한 접속의 필요성이 급증함에 따라 그동안 가입자회선 세분화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던 OFTEL은 점차 가입자회선 세분화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규제를 추진중에 있다. 본 고에서는 최근까지의 영국의 상호접속제도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최근의 주요 이슈에 대해 면밀히 검토해 보고자 한다.

자산 포트폴리오 효율성 향상을 위한 상품선물의 공헌도에 대한 연구

  • Kim, Tae-Hyeok;Park, Jong-Hae;Gong, Bong-Jae;Gwon, Il-J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4 no.1
    • /
    • pp.15-3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한국 금융시장의 주식, 회사채, 국채, 부동산지수와 상품지수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에서의 상품지수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일반적인 금융상품으로만 구성된 포트폴리오와 상품지수가 포함된 포트폴리오의 수익률과 위험을 비교 분석하여 상품지수의 포트폴리오 구성요소로서의 타당성을 검증했다. 또한, 국가별 통화정책의 변화에 따라 분석기간을 긴축정책기와 확장정책기로 구분하여 그 성과를 비교함으로써 상품지수가 인플레이션 헤지수단이 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국과 영국의 경우 GSCI지수는 긴축기에 다른 금융자산에 비해 위험대비 수익률이 높아 포트폴리오 편입비중이 크며, 포트폴리오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국의 경우 환율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분석결과가 크게 상이하지 않으나, 한국의 경우 환율을 적용한 GSCI지수의 포트폴리오 편입비중은 미국, 영국시장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나, 환율과 GSCI지수를 각각 독립적인 자산으로 편입하여 분석할 경우 그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환율을 적용하여 편입한 GSCI지수의 포트폴리오 수익률 상승효과 중 상당한 부분이 환율로 인한 것이며, 해외시장의 경우와 단순히 비교하기는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는 미국, 영국과 달리 환율을 적용한 상품지수가 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지수단이 되나, 환율효과가 지배적이므로 상품지수 자체의 공헌도는 높지 않다고 평가된다.

  • PDF

Learning from the UK Disaster Management and Risk Assessment Systems (영국의 재난관리체계 및 재난위험성 평가제도의 도입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Kim, Hak-Kyong;Kang, Wook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50
    • /
    • pp.11-32
    • /
    • 2017
  • The Civil Contingencies Act 2004 in the United Kingdom provides a comprehensive definition of "Emergency", calling upon the Uk's emergency management to deal with any disaster risk regardless of cause or source. Old contingency plans for civil defense and peacetime emergencies have been integrated into current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In the UK, emergencies are managed by emergency services and other responders at the local level without direct involvement of central government. On top of this, a classified assessment of the risks of civil emergencies is also conducted on a regular basis, not only at the local level but also at the national level.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Uk's emergenc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recent changes, and its risk assessment systems. Finally, the research draw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disaster management mechanism as follows: 1) Korea should adopt an 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 system and combine civil defense with peacetime emergency planning, 2) it should create inter-operability between emergency responding organizations such as police, fire and ambulance, and finally 3) it must develop risk evaluating tools, such as a Community Risk Register and National Risk Register, both at the local and the national level. Last but not least, the UK emergency management system cannot be directly lifted from the UK and applied to risks and hazards faced by South Korea. Therefore, cross-cultural synthesis of many national approaches to emergency management is further required particularly for customizing policy to the particular needs of Korea.

  • PDF

A Critical Review of the UK's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in the Post-Brexit Era and its Implication (포스트 브렉시트 시대의 영국 지역발전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함의)

  • Jeon, Bong-Kyun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4
    • /
    • pp.446-462
    • /
    • 2021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ong-standing regional disparities and social division in the UK which are considered one of the crucial facts of Brexit. Since Brexit, also, the changed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are reviewed. Regarding policy perspective, we delve into the process of the UK government's strategic policy choices, such as privatisation of public enterprises and financial reform, amid the neoliberal globalisation in the late 1970s, drawing its implication to us having similar problems. Besides, the UK's self-sustaining regional development fund, policy, and changed governance are dissected with several ongoing debates. Finally, this study asserts the necessity of the social consensus of regional disparity policie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spatial environment particularly in regions left behind, giving the quality and equity of life.

소통+섬기는 마음 - 세계 속 건강 - 세계는 지금 비만과의 전쟁 중 영국의 비만세 도입, 혹시 우리도?

  • No, Ho-Seong
    • 건강소식
    • /
    • v.35 no.1
    • /
    • pp.42-43
    • /
    • 2011
  • 세상이 뚱뚱해지고 있다. 수많은 국가에서는 비만 인구 비율이 지난 몇 십 년 만에 두 배가 되었다. 미국의 성인 절반이 비만이다. 멕시코 성인의 3분의 1이상, 호주와 영국 성인의 4분의 1 이상이 비만이다.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서 조차도 도시 주민들 사이에서 비만인구가 급속히 증기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 PDF

원자력산업의 국제협력 -영국 우라늄연구소 심포지움의 개관-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8 no.12 s.70
    • /
    • pp.11-15
    • /
    • 1988
  • 영국 우라늄연구소가 지난 9월 런던에서 개최한 심포지움에서는 원자력산업계의 국제적인 공동사업 추진에 대한 유용성이 강조되었다. 다음은 Wendy Peters씨가 이 심포지움에서 발표된 논문을 요약하여 Atom지 11월호에 게재한 내용이다.

  • PDF

광우병 공포 - 유럽에 악몽 재연

  • 축산물등급판정소
    • KAPE Magazine
    • /
    • no.52
    • /
    • pp.18-19
    • /
    • 2000
  • 유럽에 다시 '광우병 panic'이 확산되고 있다. 영국의 악몽에서 4년반이 지나 프랑스를 진원지로 한 이번 소동은 영국으로부터의 불똥을 주변국이 막지 못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광우병은 소의 뇌가 스펀지모양이 되고 사람에게 옮길 위험성도 높다. EU는 각국에서 감염된 소가 늘어나 대책마련에 몰두하고 있다.

  • PDF